마광수는 필화사건으로 감옥에 가고 사람들이 배신해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이혼도 하고 그래 그런 힘든 것이 글의 바탕이 되어 많은 글을 쏟아냈다. 힘듦이 이런 글을 쏟아내는 원천이 된 것이다.
광마잡담
D-29
Bookmania
Bookmania
마광수는 여자를 향한 마음이 지칠 줄을 모른다.
Bookmania
전의 아파트 단지가 더 낫다. 아파트들이 멀찍이 떨어져 있고 주변에 공터와 공원이 많아 더 여유롭다. 지금은 너무 콘크리트만 있어 숨이 막힐 지경이다.
Bookmania
나는 마광수의 글을 존중해 여기선이 아니고 여기서는 이라면 그걸 그대로 옮겨 적는다.
Bookmania
마광수
그가 50권 이상의 책을 내고 죽었지만
나는 그의 책을 거의 다 읽었다.
아마도 나와 비슷한 소음인의 체질을 타고나 그와
통하는 게 있어 그럴 것이다.
지금도 그의 책을 읽고 있고 앞으로 더 읽을 것 같다.
요즘엔 통 내 마음을 끄는 책이 없는 것도 그 한 이유다.
그는 시와 수필과 소설, 문화비평서, 문학 이론,
손수 그린 그림 등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26세에 홍익대에서 교수가 되어 30대부터
쭉 연대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1992년「즐거운 사라」라는 소설로
필화(筆禍) 사건을 겪으며 감옥살이까지 하는 고초를 겪었다.
그는 너무 앞서갔고 주변 관변 단체와 법으로
먹는 사는 인간들이 자기의 편협한 생각에 예술을
감히 끼워 맞춰 그렇게 된 것이다.
나는 그가 1951년에 태어난 2017년에 죽어
66세밖에 못 산 게 너무나 아깝다.
더 살아 자기 생각을 마구 글에 옮겼으면 한다.
주변을 의식하지 않는, 거리낌 없는 그의 생각을 더 듣고 싶다.
거의 모든 인간이 속의 생각을 그대로
글로 옮기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주변을 의식해 그렇고 교수라는 체면 때문에.
그는 어디에 소속되지 않고 오직 혼자 독고다이로
움직여 학계나 문단에서 왕따를 당했지만, 그는 조직에
굴복하지 않고 변절 없이 그대로 솔직성을
유지한 채 죽었다.
나는 그가 시퍼런 달빛 아래서 광활한 초원의 늑대가 되어
고독 속에서 홀로 사냥하는 모습을 좋아한다.
그런 모습을 하고 글을 쓰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가 주장하는 건 실용과 합리, 낭만, 권위가 아닌 유연성,
생산보단 재분배, 자유로운 상상력에 대한 사랑,
표현의 자유, 정신보다는 육체, 솔직성 이런 것을 좋아했다.
사회에서 욕 안 먹으려고 솔직하지 못하고
적당히 양다리 걸치는 글을 경멸했다.
에로티시즘(Eroticism) 글이면 그것으로 끝내라는 거다.
거기에 시대 정신, 이데올로기 같은 걸 넣지 말라는 거다.
그가 특별히 숭상하는 것은 아름다움, 유미(唯美)와 탐미다.
그리고 인간은 자기 정신, 신념 같은 걸 지키려고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몰살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성에 대해서도 삽입 성교보다 성희(性戲)와 애무에
중점을 두는 사랑을 외쳤다.
그는 사람에겐 성욕, 식욕, 파괴욕이 있는데 실컷
성욕을 자유롭게 충족하면 자연히 식욕, 파괴욕이
사라져 인간들 간의 전쟁도 사라진다는 것이다.
나는 그의 이런 생각들을 지지하고 존중한다.
Bookmania
시즌 2 나오듯이 일본 AV도 인기를 끌면 배우를 바꿔가며 계속 그 상황이 나온다.
Bookmania
일본인은 태국에서 많이 사는 것 같다.
Bookmania
나는 고기보단 이제 생선이나 나물과 시골에서 먹던 된장찌개 같은 게 먹고 싶다.
Bookmania
일본 남자들이 태국 여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Bookmania
일본이 한국보다 튀기가 더 많은 것 같다.
Bookmania
나이듦에 대하여
사실 나이 든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전엔 경험이라도 있어서 농사짓다가 어려울 때
노인에게 물었지만, 지금은 검색만 하면 다 나와 이제
그런 노인은 필요가 없는 것이다.
반기거나 환영하는 곳도 없다.
영화 제목처럼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좋은 게 하나도 없다.
아파 병원에 가면 생명을 존중해 치료하는 게 아니라
붙들어 놓고 돈 뜯어내려고 과잉진료하는 것에 불과하다.
돈 때문에 다시 살리는 것이다.
오래 살면 몸도 여기저기 아프고 잠을 자도 전처럼
개운한 것도 없고 기분이 좋을 때도 별로 없어
점점 삶의 질도 떨어져 자신도 힘들고,
긴 병에 효자 없다고 점점 가족들에게도 짐이 되고
젊은 세대에겐 연금만 축내는 기생충 취급받기 일쑤다.
요즘은 정년연장으로 젊은이들이 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젊은이들이 이전 세대보다 더 가난한 세대라서
젊은 층이 힘겹게 오늘을 견디고 있지만 그들의 세금으로
늘어나는, 부양해야 할 고령층만 점점 불어나
천덕꾸러기로 전락하고 말았다.
어쩌면 하루라도 일찍 죽는 게 그나마 그들을 돕는
유일한 길이란 생각이 들 정도다.
안락사 찬성도 늘고 있고,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는
죽음이라도 자기 자의(自意)로 하겠다며 겨우 숨만
붙어 있어 호스로 몸을 사방으로 연결하기 전에
움직일 수 있을 때 자살한다며 자신의 아파트에서
창밖으로 뛰어내렸다.
이젠 죽고 싶어도 맘대로 죽지도 못한다.
옛날 같으면 진작에 죽은 목숨인데
119에 실려 가 다시 살아온 게 도대체 몇 번인가.
그러니 나이 들어도 쓸모가 있어야 한다.
아니 쓸모는 없더라도 최소한 남에게 피해는 주지 않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에 대해 깊고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할
계제(階梯)에 놓여 있다.
실은 예전처럼 자연법칙에 따라 죽을 나이가 되면
죽는 게 제일이지만, 그것도 이제 맘대로 안 되니
자기 나름대로 방해가 안 되도록 노력해야
젊은이들의 눈총을 덜 받는다.
내가 보기엔 최소한 남에게 방해만은 안 되는 여생을
보내기 위해선 공부를 해야 한다고 본다.
이건 그 누구라도 주장하는, 나이들어 해야 할
필수품목으로 권장하고 있다.
그래야만 자신을 알고 이 시점에서 자기가 뭐를
해야 하는지, 지금까지의 인생 노하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조금이나마 답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별 쓸모없다지만 그래도 내세울 건 자기 삶의
노적(勞積)밖에 남은 게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공부는 실용적인, 다시 먹고살기 위한 그런
공부가 아니라(그건 도저히 젊은이들을 따라잡을 수 없다)
조금이라도 더 산 것에 대한 이점을 찾아 연구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다.
자기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공부를 하는 것이다.
그러면 적어도 그 시간만은 즐겁다.
즐겁지도 않고 재미도 없고 권태롭고 거기다가
내면 축적의 일천(日淺)으로 무시하고 우습게
보는 것 같은 사회에 “나, 아직 안 죽었어.”(억울함)를
호소하기 위해 엉뚱한 짓을 저지르는 것이다.
국보 숭례문이나 지하철 5호선에 불을 지르는 것처럼.
그러면 머리가 말랑해지면서 꼰대 잔소리도 차츰
줄어들고 생각도 보다 유연해질 거라고 본다.
나이 때문에 몸은 내 맘대로 안 되지만 정신만은
개방적으로 바뀌고 그럴 수도 있지 뭐, 하며
관대해진다고 본다.
철이 든다는 말을 아주 싫어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하나
좋은 걸 꼽자면 나이듦은 무슨 일이든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본다.
나이듦은 그것에 대해 너그러워지는 것이다.
공자가 말한, 나이 예순인 이순(以順)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그걸 조금이라도 눈여겨본 사람이라면 늙은 나에게
약간의 관심을 갖고 다가오기도 할 것이다.
남은 인생 진짜 공부, 자신을 구현하는 공부를 꾸준히
하는 것만이 그 길로 가는 첩경이라고 장담한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