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참 도서전에서 사온 책들을 격파하다가 두우꺼운 학술서가 읽고 싶다는 생각이 스멀스멀 들어서 오랜만에 책을 빌려왔습니다. '영화'를 참 재미난 매체이자 장르라고 생각하면서도 본 영화가 많지 않아서 관련된 책을 읽기도 어려운 감이 있었는데요, 소리를 중심으로 역사, 미학, 시학을 다룬다는 방향성이 분명해서 도전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과연?
영화, 소리의 예술_독서기록용
D-29

청명하다모임지기의 말

청명하다
영화가 암시하는 모든 소리를 꿈꾸고 이를 자기 안에서 들었기 때문이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25,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소리가 연상되는 제스처를 시 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청명하다
중간 자막은 대개 이질적인 형태[인서트]로 영화에 삽입된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34,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영상을 보면서 안의 소리를 그대로 옮긴 (아래)자막의 형태가 아니라 중간에 별개의 글 화면으로 들어가서 책을 읽듯이

청명하다
거리를 두고 바라보게 하는 중간 자막은 무성영화가 누린 사치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42,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유성영화가 기본인 입장에서 소리가 없는 영상이라는 건 부족함(-)으로 은연 중에 생각한 것과 달리, 저자가 말하는 무성영화는 함축성과 유연성을 지닐 수 있던 형식. '영화'라는 독립된 출발점이 아니라 회화-사진-영상으로 이어지는 시각 매체나 문학 소설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좀 더 이해하기 편할 듯.

청명하다
“ 리얼리즘적이고 동시녹음된 소리와 목소리가 사실상 영화에 가져온 핵심적인 기여가 실제 시간, 즉 계산되고 측정되고 불할되고 연대기적으로 고정된 시간이었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50,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예술을 크게 시간적인 음악과 공간적인 미술로 나누기도 했다는 점에서 '시간'은 영화의 시청각적 특성을 보는 하나의 키워드일 것

청명하다
“ "발성영화는 무성영화를 보면서 말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 아니라, 1920년대 소리 풍경을 최초의 현대적 소리 풍경으로 만든 다른 유성 매체들을 들으며 말하는 법을 배웠다." 여기서 그가 하고자 하는 말은, "전쟁 기간에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새로운 유성'의 결과 공적 공간의 유성화가 이루어졌다."라는 점이다. ”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64,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영화 장르에 한정해 선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의 매체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소리라는 것

청명하다
청각적인 것은 언제나 시각적인 것에 뒤쳐진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71,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뒤에 설명되듯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원인으로 두고 나오는 결과로서 '효과'이기 때문에, 그리고 소리를 전하는 전파가 느리기 때문에(번개와 천둥)

청명하다
인간과 기계의 직접적 연관이 사라지면서 음악은 더 이상 현대 세계의 리듬이라고 자처하지 못한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81,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악기(기계)를 때리고, 불고, 켜는 행위를 통해 소리를 일으키는 물리적인 행위의 인과는 사라지고 전자적으로 음을 찍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실제와의 연결성이 옅어졌다.

청명하다
“ 이는 단순한 '촬영한 연극'에 맞서 이 표현 방식의 독창성을 각인하려고 한 것이다. 먼저 언어적 자연스러움의 추구, 즉 [관객의] 이해를 염두에 두지 않은 집단적 대화의 추구가 있다. ”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82,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즉 소리는 영상의 변모를 모방하고 카메라 움직임과 같이 쓰임으로써 카메라에게 잠재적인 귀를 부여하게 되고, 이 카메라를 약간은 너무 생생한 인물로 만들게 된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92,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카메라의 움직임과 소리 간 거리가 연동되면서 어떤 인물의 입장에 서게 된다-일인칭으로 인식

청명하다
즉 피트 음악, 스크린 음악, 대사와 소음을 어떻게 공존하게 할 수 있을까?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100,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 영화는 내뱉지만 되돌아오지 않고 사라진 말들로 가득 차 있고,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103,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담배는 순간적으로 말과 같이할 수 없어나 같이 하기 힘든 입의 행위를 가리키며, 말을 변형시키기 때문이고, 언제든 이루어질 수 있는 말의 단절, 말의 휴지부를 시각화하기 때문이다.
『영화, 소리의 예술 - 역사, 미학, 시학』 p.127, 미셸 시옹 지음, 이윤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