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청년님의 대화: 그나저나 2044년에 무슨 일이 있었던건지 궁금하네요~ 뭔가 세계가 크게 망한거 같은데, 복선만 던져주고 아직 이야기를 해주지 않으니.. ㅎ 다들 연휴와 주말 잘 보내세요~~
2044년에 무슨 일이 터지는지는 책 맨 첫장의 ‘일러두기’에서 미리 스포(?)를 해놓고 시작하던데요 :)
stella15
향팔님의 대화: 2044년에 무슨 일이 터지는지는 책 맨 첫장의 ‘일러두기’에서 미리 스포(?)를 해놓고 시작하던데요 :)
엇, 진짜 있네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났을 때 3차 대전의 조짐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었는데 뭔가 기류가 안 좋긴하죠? 2044년 전 그때되면 완전 꼬부랑 할머니가 되있을텐데. 으~
향팔
stella15님의 대화: 엇, 진짜 있네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났을 때 3차 대전의 조짐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었는데 뭔가 기류가 안 좋긴하죠? 2044년 전 그때되면 완전 꼬부랑 할머니가 되있을텐데. 으~
네, 그런 말들이 있었죠. 앞으로 어찌될진 알 수 없지만 세상엔 여러모로 어두운 조짐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꼭 전쟁이 아니더라도.. 인류가 언제까지 지금처럼 지구의 지배자로 행세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어요, 자기 무덤을 열심히들 파고 있으니..
향팔
“ 신념의 소멸과 함께 인류 최대의 문제가 떠올랐다. “우리는 과연 공통의 신념, 아니 신념의 힘 없이도 생산적이고 조화로운 삶을 유지할 수 있을까?” 그것이 바로 근대인들의 문제였단다.
물론 지금 우리는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으니까 그 해답을 잘 알고 있지. 하지만 설사 지금 우리가 아는 것을 당시 사람들이 알았다 해도 결국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을 게다. 2000년, 2025년, 아니 2044년 7월까지도 사람들은 마치 ‘근대성의 모험’이 수천 년 뒤의 필연적 귀결이라도 될 것처럼 그것을 맹렬히 밀고 나갔거든. 당대인들은 그들 회사의 로 고, 민족의 깃발, 형형색색의 상품들이 아무런 저항이나 제지도 받지 않고 미래를 향해 순항해 갈 것으로 예상했지. ”
『인류의 미래사 - 21세기 파국과 인간의 전진』 39쪽, W. 워런 와거 지음, 이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잡다청년
향팔님의 대화: 2044년에 무슨 일이 터지는지는 책 맨 첫장의 ‘일러두기’에서 미리 스포(?)를 해놓고 시작하던데요 :)
아 제가 주의깊게 읽지를 않았나봐요. ^^;
책 빨리 도착해 다행입니다! 즐거운 주말 독서 되시길요~~
향팔
“ 하지만 좀 더 넓은 의미로 보면 1990년대 이전 세계가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있었다는 생각은 망상이란다. 그래, 소련, 중국, 폴란드 같은 공산국가들의 당 지도부가 사회주의 건설을 자랑스러워했던 건 사실이야. 하지만 경제만은 자본주의 세계 질서에 완전히 통합돼 있었단다. 자본을 소유한 것이 개인이든 국가든, 중요한 것은 자본이 쓰인 방식과 목적에 있거든. ”
『인류의 미래사 - 21세기 파국과 인간의 전진』 42쪽, W. 워런 와거 지음, 이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향팔
향팔님의 문장 수집: "하지만 좀 더 넓은 의미로 보면 1990년대 이전 세계가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있었다는 생각은 망상이란다. 그래, 소련, 중국, 폴란드 같은 공산국가들의 당 지도부가 사회주의 건설을 자랑스러워했던 건 사실이야. 하지만 경제만은 자본주의 세계 질서에 완전히 통합돼 있었단다. 자본을 소유한 것이 개인이든 국가든, 중요한 것은 자본이 쓰인 방식과 목적에 있거든."
“ 그런 기준으로 보면 소련이나 미국이나 자본이 기능한 방식은 동일했단다. 두 나라는 물론이고 전 세 계 모든 나라에서 자본은 사용이 아니라 이윤을 얻기 위한 생산 활동에 쓰였고, 그렇게 만들어진 제품은 불평등한 결과를 낳을 게 뻔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세계 시장에서 교환되었다. 정신 노동자든 육체 노동자든 노동자 계급이 경제 문제의 상층부에서 조직적으로 배제된 것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본다면 사회주의 국가들을 지배한 것은 결국 사회주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였던 거야. 국가자본주의라는 말이 마음에 들든 안 들든, 좋든 싫든, 국가자본주의도 자본주의는 자본주의인 거지. ”
『인류의 미래사 - 21세기 파국과 인간의 전진』 43쪽, W. 워런 와거 지음, 이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향팔
책이 재미있어서 2장까지 후루룩 읽었습니다. ‘세계무역컨소시엄’의 ‘더티 더즌’, 민주주의의 죽음, 테크노크라시의 지배, 빈 회의와 ‘지구국가연합’의 전 세계 신탁통치, 저항자들의 등장까지 내용이 무척이나 흥미롭네요. 2장 마지막에 나오는 세계당의 창시자 미첼 그린월드가 뉴욕 주립대 빙엄턴 캠퍼스의 학생이었다는 설정도 재밌습니다.(저자인 워런 와거 선생님이 이곳의 교수였고, 이 책도 여기서 한 강의를 토대로 쓴 것이니ㅎㅎ) 앞으로의 내용도 기대됩니다.
향팔님의 대화: 제가 어릴 때 좋아했던 김규항 선생님이 이 책의 평을 쓰신 적이 있네요.
http://gyuhang.net/888
인류의 미래사
오, 미국의 이어령이란 말 마음에 드는데요? ㅎㅎ
이 책 재밌죠? 저도 2장까지 마쳤는데 앞으로의 내용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책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안 알려진 것 같아 아쉬워요!
잡다청년
향팔님의 문장 수집: "그런 기준으로 보면 소련이나 미국이나 자본이 기능한 방식은 동일했단다. 두 나라는 물론이고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자본은 사용이 아니라 이윤을 얻기 위한 생산 활동에 쓰였고, 그렇게 만들어진 제품은 불평등한 결과를 낳을 게 뻔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세계 시장에서 교환되었다. 정신 노동자든 육체 노동자든 노동자 계급이 경제 문제의 상층부에서 조직적으로 배제된 것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본다면 사회주의 국가들을 지배한 것은 결국 사회주 의가 아니라 국가자본주의였던 거야. 국가자본주의라는 말이 마음에 들든 안 들든, 좋든 싫든, 국가자본주의도 자본주의는 자본주의인 거지."
저도 이 문장들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국가자본주의로 얘기할수도 있고, 기후위기를 야기한 무분별한 성장주의 관점에서 보면,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나 '생산주의'를 추구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고 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잡다청년
향팔님의 대화: 책이 재미있어서 2장까지 후루룩 읽었습니다. ‘세계무역컨소시엄’의 ‘더티 더즌’, 민주주의의 죽음, 테크노크라시의 지배, 빈 회의와 ‘지구국가연합’의 전 세계 신탁통치, 저항자들의 등장까지 내용이 무척이나 흥미롭네요. 2장 마지막에 나오는 세계당의 창시자 미첼 그린월드가 뉴욕 주립대 빙엄턴 캠퍼스의 학생이었다는 설정도 재밌습니다.(저자인 워런 와거 선생님이 이곳의 교수였고, 이 책도 여기서 한 강의를 토대로 쓴 것이니ㅎㅎ) 앞으로의 내용도 기대됩니다.
오! 그렇게 연결되네요~~ ㅎ
잡다청년
향팔님의 대화: 제가 어릴 때 좋아했던 김규항 선생님이 이 책의 평을 쓰신 적이 있네요.
http://gyuhang.net/888
인류의 미래사
오 그랬었군요! 뒤늦게나마 이 책에 대한 신뢰가 한층 높아졌습니다! ㅎ
잡다청년
“ 만일 경제적 관점에서 자본주의가 도달하는 최고의 단계가 독점(마르크스의 말대로라면), 정치적 관점에서 제국주의(레닌의 말을 빌리면), 사회적 관점에서 자본주의가 도달하는 최고의 단꼐는, 관리자, 전문가, 행정가들의 새로운 지구 관료 체제에 의해 기업가와 정치인들로부터 나오는 최고의 힘, 즉 테크노크라시이다. ”
『인류의 미래사 - 21세기 파국과 인간의 전진』 93, W. 워런 와거 지음, 이순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잡다청년
2장 부록 같은 부분의 형식이 서평에 대한 논쟁 공방전이라니, 내용도 그렇지만 이런 설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싶고, 앞서 편지 형식에 이어 이런 다양한 설정이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을 상당부분 완화해 주는 것 같아요~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향팔
잡다청년님의 대화: 2장 부록 같은 부분의 형식이 서평에 대한 논쟁 공방전이라니, 내용도 그렇지만 이런 설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싶고, 앞서 편지 형식에 이어 이런 다양한 설정이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을 상당부분 완화해 주는 것 같아요~
맞아요, 서로 페이지 수 따져가며 싸우는 대목 읽으면서 웃음도 나오고 디테일이 쩐다고 생각했어요!
향팔
stella15님의 대화: 오, 미국의 이어령이란 말 마음에 드는데요? ㅎㅎ
이 책 재밌죠? 저도 2장까지 마쳤는데 앞으로의 내용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책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안 알려진 것 같아 아쉬워요!
내용이 너무 딱딱하거나 지루하지 않을까 염려했었는데 웬걸 너무 재밌습니다!
잡다청년
향팔님의 대화: 내용이 너무 딱딱하거나 지루하지 않을까 염려했었는데 웬걸 너무 재밌습니다!
넘 다행이네요~~ 저도 다 읽지 않은 책을 정해놓고, 이거 너무 딱딱하고 재미없으면 어떻게 하나 걱정했었는데.. ㅎ 3장도 기대되네요!
향팔
잡다청년님의 대화: 2장 부록 같은 부분의 형식이 서평에 대한 논쟁 공방전이라니, 내용도 그렇지만 이런 설정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싶고, 앞서 편지 형식에 이어 이런 다양한 설정이 딱딱할 수 있는 내용을 상당부분 완화해 주는 것 같아요~
“또한 간주곡을 통해 거시적 역사 조망이 생략할 수밖에 없는 개인의 미시적 삶을 포착하여 클로즈업함으로써 당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가쁜 숨결을 코앞에서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책날개의 문구를 보니 앞으로 나올 ‘간주곡’들이 더욱 궁금해집니다.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도서증정-고전읽기] 셔우드 앤 더슨의 『나는 바보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커리어와 나 사이 중심잡기 [김영사] 북클럽
[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구글은 어떻게 월드 클래스 조직을 만들었는가? <모닥불 타임> [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