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먹이님의 대화: 철학적 침묵..............................ㅋㅋㅋㅋㅋㅋ
가장 괴로워하실 것 같은데 말입죠
아아.....
저 방금 엄청난 사실을 깨달은 겁니꽈..
다들 사실은 철학적 침묵을.. 🥲
이렇든 저렇든 하나 공감되는 부분은..
(모임지기 표정: 🤯)
🤣🤣🤣
괜히 물어본 거 같기도 하고요. 😂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바닿늘
✅ 바닿늘북클럽 세 번째 안내드립니다
🎯 [미션 3]
읽기 범위: ~3장 마지막(p. 285)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눠주세요!
---
1. 가장 별로였던 단어를 찾아볼까요?(번역 전 단어)
지난 두 번째 미션에서 가장 와닿았던 번역을 요청드렸다면.. 이번에는 반대로 가볼까요? 여러 개를 골라주셔도 좋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선수를 쳐서 하나 먼저 골라본다면 저는 '오성' 이란 단어가 ... 정말 별로였다고 생각됩니다. 뭐랄까 반 직관적이라고 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찾아봐야 비로소 그 의미가 명확해지는 단어는.. 실용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많기에 하나만 먼저 골라봤습니다. ㅎㅎ
2. 아직 자기소개를 남기지 않으신 분들께 🙋♀️
간단한 소개도 충분합니다.
닉네임의 의미만 알려주셔도 좋아요.
(본 모임의 유일한 '필수 참여 항목'입니다!)
---
💬 [참여 방식]
'미션'이라는 표현을 쓰지만,
강요가 아닌 제안으로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모든 미션을 해주셔도 좋고,
마음에 드는 항목만 골라서 해주셔도 됩니다.
혹은 그 외적인 이야기로 자유롭게 참여하셔도 좋아요.
미리 읽고 한 번에 대화에 참여하셔도 좋고,
매주 호흡 맞춰 이야기 나눠주셔도 좋습니다.
다만...!!!
각자의 방식으로 '최소한의 성의'만큼은
꼭 보여주셨으면 합니다. 약속이니까요. 🙂
이 글에 달린 댓글 3개 보기
바닿늘
꽃의요정님의 대화: 이 책과 상관없이 영화 '서브스턴스'의 의미를 작가분께서 정확하게 짚어 주신 것 같아 문장 수집해 보았습니다. ^^;;
"직관적으로 와닿는 번역이 진짜 좋은 번역(혹은 다정한 번역)"이라는 생각을 이 책 읽으면서 정말 자주 했습니다. ☺️
가연마미
구입해서 읽고 있습니다. 너무 반가운 책입니다. 순수이성비판을 읽으면서 비판이 아닌데 왜 비판이며 산험적, 오성이라는 단어에 막혀서 한자를 찾아 뜻을 유추하며 보다가 접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단어들고 비교해서 또는 대채해서 읽으니 조금씩 진도가 나가고 있어 행복합니다. 오성, 선험적, 질료라는 단어들에 불편함이 많았습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바닿늘
가연마미님의 대화: 구입해서 읽고 있습니다. 너무 반가운 책입니다. 순수이성비판을 읽으면서 비판이 아닌데 왜 비판이며 산험적, 오성이라는 단어에 막혀서 한자를 찾아 뜻을 유추하며 보다가 접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단어들고 비교해서 또는 대채해서 읽으니 조금씩 진도가 나가고 있어 행복합니다. 오성, 선험적, 질료라는 단어들에 불편함이 많았습니다.
우와!!! 이런 반가운 인연이!!!!
너무 감동입니다. ☺️
책 읽으면서 문장 수집을 해주셔도 좋고
자유롭게 참여해주시면 됩니다! 😆
바닿늘
가연마미님의 대화: 구입해서 읽고 있습니다. 너무 반가운 책입니다. 순수이성비판을 읽으면서 비판이 아닌데 왜 비판이며 산험적, 오성이라는 단어에 막혀서 한자를 찾아 뜻을 유추하며 보다가 접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단어들고 비교해서 또는 대채해서 읽으니 조금씩 진도가 나가고 있어 행복합니다. 오성, 선험적, 질료라는 단어들에 불편함이 많았습니다.
이 모임의 특징은 모임지기가
무척이나 적극적이라는 점이 있습니다!!
장점인지 단점인지는 느끼는 분에 따라
다를거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저는 마음대로 장점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앞으로 잘부탁드립니다!!
우주먼지밍
바닿늘님의 대화: 늘 꼼꼼하게 읽고 참여해주셔서 감탄합니다.
이 책은 참고서의 성격도 분명 있는 것 같아요.
두고 두고.. 뭔가 번역어가 이해가 되지 않을 때
원문을 찾아보면서 요 책도 들춰본다면 여러모로
두고 두고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토폴로지가 직관적으로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의견이 다양한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저는 처음 읽을 땐 그냥 좋다고 느꼈는데~
다시 읽다가 보니.. "어?? 내가 이해한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솔직히..
아리까리 하다고 실토했습니다. ㅋㅋㅋ
제가 ’토폴로지‘에 대한 소심한 소감(수포자인 저는 행렬을 보자마자 살짝 움찔 >_<;;)을 남겼는데, 바닿늘님께서 콕 찍어 물어보니시 다시 쓸모없는 저의 소감을 남겨볼게용 흐흐
우선 저는 수포자였기에, 행렬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어!
학창 시절 제가 포 기한 단 유일한 과목이 바로 수학이었습니다.
코디정 작가님께서는 단어의 ‘위상‘을 본인께서 이해한 바를 최대한 정확하게 표현해보려다가..아마 행렬을 이용하셨나보다…내가 수포자라서 아쉽다…이렇게 생각했어요. 흐흐
제가 수학의 행렬에 대해 아는 것이 없기에 이 이상의 소감이 없어용.
저는 저자께서 영어로 번역된 칸트 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어떻게든 좀더 나은 이해로 제공하고자 노력하신 노고에 박수를 쳐드립니다.
제가 행렬에 대한 기초도 없어서… 아쉬울 따름이에요. ㅠ
써뉴
우주먼지밍님의 대화: 제가 ’토폴로지‘에 대한 소심한 소감(수포자인 저는 행렬을 보자마자 살짝 움찔 >_<;;)을 남겼는데, 바닿늘님께서 콕 찍어 물어보니시 다시 쓸모없는 저의 소감을 남겨볼게용 흐흐
우선 저는 수포자였기에, 행렬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어!
학창 시절 제가 포기한 단 유일한 과목이 바로 수학이었습니다.
코디정 작가님께서는 단어의 ‘위상‘을 본인께서 이해한 바를 최대한 정확하게 표현해보려다가..아마 행렬을 이용하셨나보다…내가 수포자라서 아쉽다…이렇게 생각했어요. 흐흐
제가 수학의 행렬에 대해 아는 것이 없기에 이 이상의 소감이 없어용.
저는 저자께서 영어로 번역된 칸트 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어떻게든 좀더 나은 이해로 제공하고자 노력하신 노고에 박수를 쳐드립니다.
제가 행렬에 대한 기초도 없어서… 아쉬울 따름이에요. ㅠ
저는 나름 이과였는데요..?ㅋㅋㅋ
그래도 모르겠더라구욬ㅋㅋㅋㅋㅋㅋㅋㅋ 사실 이런 문제에 대해선 수포자든 일반인이든 비슷할 것 같아요.
전 일반숫자가 아닌 상수(문자)로 표현되어있어서 좀 어렵게 느껴지더라구요..ㅠ
그래도 말하고자하는바는 좀(?) 느꼈으니 저자의 의도가
먹힌거 아닐까 자기합리화 중입니다...
써뉴
챗gpt로 이런 활용도 할 수 있군요?! 모임지기 골탕먹이기🤣ㅋㅋㅋㅋ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야반하마
드림코난님의 대화: 3장으로 들어가서 단어 하나하나 좀 꼼꼼하게 읽어보고 있습니다. 코디정님이 대안으로 제시한 단어에 끌리다가도 한편으로는 어색한 느낌도 들곤 하더라구요. 그래서 처음 나오는 mind에 대해 chatgpt 한테 물어봤습니다.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원문(독일어)에서는 사실 mind라는 영어 단어가 직접 나오지 않습니다. 주로 Verstand(지성, 이해력), Vernunft(이성), Gemüt(마음, 정신), Bewußtsein(의식) 같은 독일어 개념어가 쓰이고, 영어 번역 과정에서 이 중 일부가 mind로 옮겨집니다.
따라서 mind가 어떤 독일어 원어를 번역한 것인지에 따라 한국어 번역도 달라져야 합니다:
Verstand → 보통 “지성”, “이해력”
Vernunft → “이성”
Gemüt → “마음” (정서적·수용적 측면 강조)
Bewußtsein → “의식”
예시:
“the faculties of the mind” → “정신의 능력들” (보통 인식 능력을 가리킴)
“the human mind” → “인간 정신” 또는 “인간의 마음”
“the mind’s eye” 같은 경우는 “정신적 시야”
👉 요약하면, 『순수이성비판』에서 mind라는 단어를 한국어로 적절히 옮기려면 문맥에 따라
일반적/총체적 의미 → “정신”
사고 능력 강조 → “지성”
이성적 판단 강조 → “이성”
감수성·정서적 차원 → “마음”
이 가장 적합합니다.
---
라는 답변을 얻었습니다. 단순 mind라는 영단어를 생각했는데 실제 칸트는 여러 독일어로 표현을 했더라구요. 그래서 칸트가 언급한 mind의 의미를 물어봤습니다.
---
칸트의 사상에서 mind는 단순히 심리적 "마음"이 아니라, 인간 인식 주체 전체를 가리킵니다. 좀 더 세분하면:
총체적 의미: "인간 정신"(Gemüt) → 감각성, 지성, 이성 등 모든 인식 능력을 포괄
좁은 의미: "지성"(Verstand) 또는 "이성"(Vernunft) → 개념적 사고나 합리적 추론을 수행하는 힘
실천적 의미: 의지(Wille)와 결합할 때는 도덕적 실천의 주체
---
그래서 한번 더 mind를 머리로 바꾸었을 때 적절성에 대해 물었습니다.
---
칸트의 mind 의미와 비교
칸트가 말하는 mind (독일어 Gemüt, Verstand, Vernunft 등)는 단순히 지적 능력이 아니라,
감각을 받아들이는 능력(감성, Sinnlichkeit)
개념을 형성하는 능력(지성, Verstand)
궁극적 원리를 추구하는 능력(이성, Vernunft)
자기의식(Bewußtsein)
전부를 포함하는 “정신적 주체”입니다.
즉, “머리”는 mind의 일부(지능적 측면)만 반영할 뿐, 전체 의미를 담아내지 못합니다.
(eg. 이 부분에 대해서 일반인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포괄적인 의미로 머리를 생각하느냐 아님 일부 제한된 개념으로 머리를 생각하느냐가 해석의 차이를 가져올 것 같습니다 - 개인생각)
예를 들어 특정 문장을 본다면,
---
1. 영어 번역본 구절
칸트 『순수이성비판』(영역판) 중 잘 알려진 구절입니다:
“All our knowledge begins with experience, but it does not follow that it all arises out of experience. For it could well be that even our experiential knowledge is a compound of that which we receive through impressions, and that which our own mind supplies from itself.”
2. 번역 비교
(1) “머리”로 번역했을 때
“우리의 모든 지식은 경험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그것이 모두 경험에서 비롯된다고는 할 수 없다. 우리의 경험적 지식조차도 인상(감각)으로부터 받는 것과, 우리 머리가 스스로 공급하는 것이 합쳐진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 여기서 “머리”라고 하면 단순히 뇌가 정보를 만들어낸다는 느낌이 들어, 칸트가 말하는 정신적 능력들의 종합 작용이라는 의미가 축소됩니다.
(2) “정신”으로 번역했을 때
“… 우리의 경험적 지식조차도 인상으로부터 받는 것과, 우리 정신이 스스로 공급하는 것이 합쳐진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 여기서는 mind가 감성·지성·이성이 협력해서 형식과 개념을 부여하는 주체임이 드러납니다. 칸트의 원래 의도와 훨씬 잘 맞습니다.
--
뭔가 좀 더 적당한 단어가 있을까 싶어 검색을 해 봤는데 더 혼란스럽게 되버리네요 ^^
일부 단어는 직관적으로 좋다고 느껴지는 데 일부 단어는 모호한 부분이 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깊이 있는 내용과 명확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느티나무
바닿늘님의 대화: 오겡끼데쓰까~~ 😊😆
오랜만에 들어본 단어네요.
오겡끼데쓰까 ~~ 들으면 영화 <러브레터>가 바로 떠오르네요. 영화를 떠올리면 손편지가 쓰고 싶기도 하구요 ㅋㅋ
느티나무
바닿늘님의 대화: @물고기먹이
요즘 초등학생들은 즈그들 문제(??)
풀기도 무척 빡셀 거 같던데요.. 😂
뭔 초등 문제가 그렇게 어려운 지 모르겠어요.
제가 문해력이 아주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는데.. 🥲
(모르겠다고 가져오면 대체로..
저도 모르겠어서 해설을 보고 그제서야 이해합니다.
그러고 문제 누가 냈냐며.. 괜히 씩씩 거리고요. 🤣)
초등학교 문제도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새삼 나이가 먹은걸 느끼기도 하고 저도 제가 문해력이 떨어진건가 고민도 해보게 되요 ㅋㅋ
느티나무
바닿늘님의 대화: 아아.....
저 방금 엄청난 사실을 깨달은 겁니꽈..
다들 사실은 철학적 침묵을.. 🥲
이렇든 저렇든 하나 공감되는 부분은..
(모임지기 표정: 🤯)
🤣🤣🤣
괜히 물어본 거 같기도 하고요. 😂
ㅋㅋㅋㅋㅋ 철학적 침묵 너무 웃겨요
활발하신 모임지기님에게는 힘들겠네요.
바닿늘
우주먼지밍님의 대화: 제가 ’토폴로지‘에 대한 소심한 소감(수포자인 저는 행렬을 보자마자 살짝 움찔 >_<;;)을 남겼는데, 바닿늘님께서 콕 찍어 물어보니시 다시 쓸모없는 저의 소감을 남겨볼게용 흐흐
우선 저는 수포자였기에, 행렬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어!
학창 시절 제가 포기한 단 유일한 과목이 바로 수학이었습니다.
코디정 작가님께서는 단어의 ‘위상‘을 본인께서 이해한 바를 최대한 정확하게 표현해보려다가..아마 행렬을 이용하셨나보다…내가 수포자라서 아쉽다…이렇게 생각했어요. 흐흐
제가 수학의 행렬에 대해 아는 것이 없기에 이 이상의 소감이 없어용.
저는 저자께서 영어로 번역된 칸트 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어떻게든 좀더 나은 이해로 제공하고자 노력하신 노고에 박수를 쳐드립니다.
제가 행렬에 대한 기초도 없어서… 아쉬울 따름이에요. ㅠ
토폴로지가 확실히 받아들이는 이에 따라
난이도 다르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저는 평소처럼 아주 깊게 생각하지 않고
얕은 정도의 이해로 넘어갔기에..
오히려 이 모임을 통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절대 쓸모없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주 소중합니다.
앞으로도 의견 편하게 나눠주세요.
그때마다 소중하게 생각하고 읽겠습니다!! 😁
바닿늘
써뉴님의 대화: 저는 나름 이과였는데요..?ㅋㅋㅋ
그래도 모르겠더라구욬ㅋㅋㅋㅋㅋㅋㅋㅋ 사실 이런 문제에 대해선 수포자든 일반인이든 비슷할 것 같아요.
전 일반숫자가 아닌 상수(문자)로 표현되어있어서 좀 어렵게 느껴지더라구요..ㅠ
그래도 말하고자하는바는 좀(?) 느꼈으니 저자의 의도가
먹힌거 아닐까 자기합리화중입니다...
저도 비슷한 자기합리화의 과정을 경험했습죠. 😆
모든 걸 다 이해하려고 하면..
진입장벽이 너무 너무 높아져서;;;
읽을 수 있는 범위가 축소될 것 같습니다.
말이 나온 김에 적어본다면..
저는 '지식의 거름망' 개념을 좋아합니다.
배달의 민족은 이제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굳이 언급.. ㅋㅋ) 한 때 정말 좋아했거든요..?
과거 대표였던 김봉진 대표가 세바시에 나와서
강연을 여러편 했었는데 여러 소재로써 독서와
독서법이 소개되었어요.
그때 들었던 '지식의 거름망' 이 뭐냐면..
(아주 단순화해서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우리가 경험한 것들이 은근하게 무의식에
남는다는 거죠. 그래서 이해를 못하며
완독을 했어도.. 일단 끝까지 다 읽고..
다른 비슷한 분야의 책에서 비슷한 내용을
만나면 이해가 더 쉬워진다는 겁니다.
그걸 지식의 거름망이 더 촘촘해졌다고
표현했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바닿늘
써뉴님의 대화: 챗gpt로 이런 활용도 할 수 있군요?! 모임지기 골탕먹이기🤣ㅋㅋㅋㅋ
자아 들어오십쇼!! 🤣🤣
바닿늘
느티나무님의 대화: 오랜만에 들어본 단어네요.
오겡끼데쓰까 ~~ 들으면 영화 <러브레터>가 바로 떠오르네요. 영화를 떠올리면 손편지가 쓰고 싶기도 하구요 ㅋㅋ
저는.. 사실 아직도..
<러브레터>를 안 봤습니다. 😆
그래도 오겡끼 데쓰까 는 안다며.
종종 활용합니다.
이런 때를 위해서랄까요!! 😉
바닿늘
느티나무님의 대화: 초등학교 문제도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새삼 나이가 먹은걸 느끼기도 하고 저도 제가 문해력이 떨어진건가 고민도 해보게 되요 ㅋㅋ
문제가 어려운 게 분명합니다.
필요 이상으로 어려워서...
저는 조금 불만입니다. 🙄
(아니.. 사실은 조금 많이 불만입니다. 🤣)
바닿늘
느티나무님의 대화: ㅋㅋㅋㅋㅋ 철학적 침묵 너무 웃겨요
활발하신 모임지기님에게는 힘들겠네요.
이렇게 터져주시니...
제가 버릇이 나빠지는건데....
더 나빠지고 싶습니다!!
분발하겠습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바닿늘
@모임
여러분 제가 오늘 이소노미아 초대로..
'코디정 현장 편집자쇼'에 다녀올 예정입니다.
4시부터 시작하는 행사인데요..
너무 너무 기대됩니다 !!
4시 전까진 폰 확인이 가능하니..
혹시 코디정 작가님이나 이소노미아에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이 글에 댓글 남겨주세요!!
[책 증정] 심리 스릴러👠<뉴 걸> 도서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길속글속]
『잊혀진 비평』, 함께 읽어요:)
‘도서 증정 이벤트’도 하고 있습니다.[도서 증정] 《여성은 나약하고 가볍고 변 덕스럽다는 속설에 대한 반론》 함께 읽기[도서 증정] 『문명과 혐오』를 함께 읽어요.[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