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반이 아니었을 수도 있겠지만..
찬성이는 에반이라고 직감한 것 같은데..
할머니와 함께 그 자루를 잘 묻어주었길 바래요..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5. 바깥은 여름
D-29
GoHo
GoHo
머릿속에 난데없이 ‘용서’라는 말이 떠올랐지만 입 밖에 내지 않았다. 찬성이 선 데가 길이 아닌 살얼음판이라도 되는 양 어디선가 쩍쩍 금 가는 소리가 들려왔다.
『바깥은 여름』 노찬성과 에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파이프에서 물이 새듯 미래에서 봄이 새고 있었다.
『바깥은 여름』 건너편,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그러다보면 우리는 오늘도 헤어지지 못할 것이다.
『바깥은 여름』 건너편,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김태리 배우가 코멘트에서 '일곱 개의 단편 중 유일하게 죽음을 다루지 않는 단편' 이라는 말을 합니다.
건너편은 일상의 이야기였는데 다음 이야기는 얼마나 더 슬플지.......... 들어보겠습니다.

꼬리별
“ 이들은 깊이를 알 수 없는 어둠과 침묵 속에서 자신에게 일어난 일을 이해하려 애썼다.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스스로를 다독이고 설득하는 데 다 썼다. 누구든 세상에 홀로 남겨질 수 있고 마지막 화자가 될 수 있지만 그게 하필 '나'라는 걸. ”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이곳 사람들은 '혼자'라는 단어를 닳아 없어질 때까지 만지고 또 만졌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그들은 잊어버리기 위해 애도했다. 멸시하기 위해 치켜세웠고, 죽여버리기 위해 기념했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천여 명의 화자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채 존재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 이들은 전시실에 있을 때나 자신인 척할 뿐 해가 지면 중앙식으로 지어진 기숙사에서 중앙식으로 잔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꼬리별
지독한 외로움이 느껴지는 단편이었습니다. 살아있지만 살아있지 않고, 외쳐보지만 답이 없는 고립.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고민해봤지만 천여 명의 화자와 마찬가지로 전시되다가 쓸쓸히 죽어가지 않을까 싶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꼬리별
A-4. 침묵의 미래 - ‘미래의 침묵’이라는 말이 작품에서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꼬리별
[8.14 - 8.17 / 파트 B / 풍경의 쓸모 - 작가의 말]
B-1. 오늘은 어디에서 이 책을 읽었나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꼬리별
B-2. 밑줄 그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댓글 창 아래에 있는 문장 수집 기능을 이용해주세요.)
GoHo
“ 명학의 서글서글한 눈에 선의와 호기심이 가득했다. 도화는 속으로 ‘아직 덜 실패한 눈……’이라 중얼거렸다. 오래전 저 눈과 비슷한 눈을 가진 사람을 본 적 있다고. 자신도 가져본 적 있는 눈이라고 생각했다. ”
『바깥은 여름』 건너편,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동 안에서 여러 번의 봄과 겨울을 난, 한 번도 제철을 만끽하지 못하고 시들어간 연인의 젊은 얼굴이 떠올랐다.
『바깥은 여름』 건너편,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나에게는 오래된 이름이 있다. 그 이름은 길다. 그 이름을 다 부르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평생이 필요하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 중앙은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를 보호하고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이 단지를 세웠다.
...
그들은 잊어버리기 위해 애도했다. 멸시하기 위해 치켜세웠고, 죽여버리기 위해 기념했다. ”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단어가 소리에 반사돼 정신에 무지개를 비춘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나는 나무에 그려지고 돌에 새겨지며 태어났다. 내 첫 이름은 ‘오해’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자기들 필요에 의해 나를 점점 ‘이해’로 만들었다.
『바깥은 여름』 침묵의 미래,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GoHo
아마 무척 평범한 사람, 좋은 일은 금방 지나가고, 그런 날은 자주 오지 않으며, 온다 해도 지나치기 십상임을 아는 사람이 아니었을까 싶다.
『바깥은 여름』 풍경의 쓸모, 김애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