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함께 읽기] #5.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D-29
송지현 작가님 다른 팟캐에 나오신 것 들었는데 위트 넘치는 분이시더라구요. 이번 기회에 책도 읽어보겠습니다.
책걸상 방이니까 일단 발자국 찍고 가요:)
[작가] 송지현 201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펑크록 스타일 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당선되어 등단. 소설집 『이를테면 에필로그의 방식으로』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에세이 『동해 생활』이 있다. / 어, 저는 처음 들어보는 작가님이세요. / 담백하고 유머러스한 문체로 오늘날 이삼십대의 모습을 선명하게 그려내는 작가 송지현의 두번째 소설집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이 출간되었다. / 오.. 이런 책이 있었군요! +.+
박상영작가님이랑 절친이시던데 ㅋㅋ 영노자(팟캐스트)에서 듣고 궁금해서 동해생활 재미있게 읽었었는데 이번 기회에 소설도 읽어봐야겠어요~
박상영 작가님은 예전에 "방구석1열"이라는 프로그램에 나오셔서 알게된 분인데, 두분이 절친이시군요. 두분다 좋은 에너지와 개성을 지닌 분들인가보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소설집의 첫소설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을 막 읽었습니다. 작은 소리로 흘러가는 시냇물을 바라보는 느낌입니다. 재미있군요. 다음 소설이 궁금해집니다.
니나님은 송지현 작가님을 알고 계셨나요? 저는 처음 접해보는 작가님이라서, 작은 소리로 흘러가는 시냇물이라니.. 니나님이 남겨주신 글을 읽고 나니, 기대가 됩니다.
우앗 책걸상방이 또! 저도 발도장먼저 찍고가요. 일주일에 하나씩 방이 열린다는 사실에 얼른 적응해야 할텐데...ㅎㅎㅎ
책걸상과 함께 하는, 숨가쁜 2023년이 되려나요 ㅋㅋ ^^;;
@진공상태5 사실 책걸상 크루들도 정신 없어요. 일단 첫 방이 끝나서 안도의 한숨. 계속 하루에 한 번씩은 들락거려야 한다는 그런 의무감과 글이 안 올라오면 뭔가 해야 한다는 긴장감. :)
YG님, 절대 부담감 가지지 마시고 편하게 하시면 좋겠어요. 엄청 바쁘신거 다들 잘 아니까요. 기간도 꼭 29일 아니라 더 짧게 해도 되니까, 진짜로 편하게 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러실것 같아요. 저희도 이방저방 들락거리면서 글만 읽어도 정신이 없는데, 크루들은 오죽하실가 싶어요. 지속가능한 로딩어야 할텐데 무리하시다 퍼지시면 안됩니다~
무리하시지 마세요. ~ 방송되는 모든 책을 그믐 방에 만드시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근데 저 내일 <우리가 여름에 먹는것> 찾으러 도서관 갑니다.^^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이라는 제목에 흥미를 느껴서 읽었는데 잔잔한 일상에 담담히 말하는 주인공이 매력적이고 생동감이 느껴지는 소설이더라고요. 정말 재미있게 읽었어요 ㅎㅎ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누구나 둥지 안에서 눈을 뜹니다. 어미새가 아기새 목구멍에 먹이를 밀어넣는 만큼은 아니더라도 아사는 피할 수 있도록 세상은 우리에게 뭐라도 던져줘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 원통한 이십대 삼십대를 거치는 시대입니다. 세상은 늘 그 모양입니다. 우리의 할머니 세대도 이모 세대도 그 따위였습니다. 부드러운 알 속에서 깨어나 삐죽삐죽한 지푸라기와 딱딱한 나뭇가지에 부딪히면서 이리 저리 입을 한껏 벌려도 스스로 날기 전에는 모든 게 참 어렵습니다. 주인공은 떠나온 것 같다고 하지만 여행을 떠나는 사람의 필요 조건은 '돌아올 곳'이 있어야 합니다. 다만 멈추지 않고 견디다 보면 이리 채이고 저리 밀려 뒷걸음질 치다가 몰린 구석이 문득 편안하기도 하고 아무도 원하지 않는 빈자리를 차지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세월은 우연처럼 인연처럼, 나에게 '돌아올 곳'을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돌아갈 곳'도 '갈 곳'도 없는 젊은 세대를 '어쩌다 보니 자리를 잡은' 이모 세대가 응원합니다.
늘 그 모양인 세상.. 이모 세대의 응원.. 저는 시간의 힘으로 '돌아올 곳'을 찾았는데, 니나님은 어떠신가요?
@YG 가늘고 길게 가주세요, YG님! YG님은 소중하니까요.. ^^ (오래오래~ / 이거 왠지 책걸상의 모토가 된듯요. 건강 + 오래오래)
어, 이건 제 삶의 방식이자 모토인데요,, 책걸상도 같이 하면 더할나위없이 좋지요. 굵기 너무 키우지 마시고...
맞아요 가늘고 길게 갑시다^^ 방 하나가 끝나고 새로 여는 건 어떨지요..여러 이야기가 활발하게 오고 가서 좋은데 후반으로 가면 기운이 조금 떨어지니까 기간도 2주정도면 좋을 듯 싶어요. 방송 일주일 전부터 방송하는 주까지.
그나저나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에세이인가 했는데, 온라인서점에서 미리보기 읽어보니까 소설이네요. 문장이 슬슬 흘러가는 게 재밌어요. 1인칭 화자 성격때문인지 문장 끝에 약간 군더더기 같은 말들이 붙긴 하는데, 성격과 현재 불안정한 상황을 보여주는 거 같아요. 이건 1월 마지막 주 방송이겠죠? 일찍 퇴근하는 날 도서관 들러야겠어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북다/책 나눔] 《잠보의 사랑(달달북다12)》 함께 읽어요!<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권혜영 작가님이랑_7월 2일 수요일 저녁 7시 (라이브 채팅)
[북다] 《애정망상》 권혜영 작가와 함께하는 라이브 채팅! (7/2)
인터뷰 ; 누군가를 알게 되는 가장 좋은 방법
책 증정 [박산호 x 조영주] 인터뷰집 <다르게 걷기>를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 24. <작가란 무엇인가> 읽고 답해요[그믐밤] 33. 나를 기록하는 인터뷰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