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

D-29
역시 향팔님:) 저도 이 대목에서 물음표가 떴는데(여기서 여학생 교육이 왜 나오지? 잘못 읽은 건가?) 너무 뜬금없다 생각해서 흐린눈을 했었다지요. 그런데 이렇게 딱! (감사합니다) 이 책은 제가 전자책으로 읽고 있어서 '교육'과 '여성'의 키워드를 검색어로 넣었더니, 향팔님이 말씀하신 ‘여성 아동·청소년의 교육권 확대’와 비슷한 맥락인 것 같았어요. '친환경적 선택이나 출산율 감소 등 여러 개선이 일어나면서 기후 위기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해주신 것처럼요(후반부에 살짝 나오는 것 같던데, 아니면 어쩌나...). 하지만 번역의 아쉬움은 있네요(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좋았을걸).
@밥심 @향팔 네, 맞습니다. 저도 향팔 님과 같은 의미로 이해했어요. 그런데, 저자가 언급한 『플랜 드로다운』 한국어판이 있거든요. 저는 출판사와 협업해서 한국어판 홍보 해설 영상도 찍었는데, 디테일한 내용은 기억이 하나도 안 나네요. ㅠ. (제가 집에서 책을 못 찾아서 확인을 못했는데, 드디어 오늘 아침에 책을 찾고서 출근했어요. 제가 책 확인해서 자세한 내용 올릴게요.)
플랜 드로다운 - 기후변화를 되돌릴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계획기후변화의 심각성과 더불어, 그것을 되돌릴 전 지구, 전 인류, 전 분야에 걸친 기후행동 계획을 이야기할 때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전 세계 22개국 70명의 과학자와 120명의 자문단이 한데 모였다.
해당 부분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문은 “Educating Girls”입니다. We’re used to hearing about wind turbines, solar energy, food waste, and afforestation—all categories within the top ten—but “Refrigerant Management” crowned a list with far more compelling ideas like “Educating Girls,” “Electric Vehicles,” “Indigenous Peoples’ Land Management,” and “Bioplastic.” “Refrigerant Management” must also appear strangely impersonal to the average person. Who is to manage this refrigerant? Not I! It’s not a solution, in other words, in which we feel we have much agency.
한국어판이 있군요. 원문까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책도 (언젠가) 읽어보고 싶네요. (읽는 속도는 거북인데 읽을 책은 왜케 많은지요!) 에릭 딘 윌슨이 “야심 찬 제목이지만 그럴 만하다”고 한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 그치만 일단은 말씀하신 해설 영상을 찾아보는 걸로 갈음을… 하하 https://youtu.be/rsqjJBGdxrk?si=3uECvebV-VA6NomW 우리가 알아야 할 기후변화 대책 『플랜 드로다운』 1. 에너지 편
안락함이란 무엇이며 누가 그것을 누릴 수 있을까? 현대 미국에서 냉매의 역사는 안락함의 상승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안락함을 권리로 생각한 후에는 무엇이 뒤따를까? 냉방air-conditioning은 특권일까 아니면 점점 당연해져 가는 필수불가결한 것일까? 이 나라에서 안락함을 추구하는 것이 어떻게 세계를 변화시켰고, 냉매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기후 위기 대처에 어떤 도움이 될까?
일인분의 안락함 - 지구인으로 살아가는, 그 마땅하고 불편한 윤리에 관하여 27쪽, 에릭 딘 윌슨 지음, 정미진 옮김
아무리 좋게 봐도, 배출권 거래제가 환경 파괴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발견하기 어려웠다. 최악의 경우, 오염의 발생이 돈을 만들어내고 큰 회사들이 평소처럼 사업을 계속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이 제도는 오히려 오염물질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일인분의 안락함 - 지구인으로 살아가는, 그 마땅하고 불편한 윤리에 관하여 28쪽, 에릭 딘 윌슨 지음, 정미진 옮김
저 늦었지만 오늘부터 시작할게요!!
지구 파괴에 대한 갑작스러운 관심은 “환경 파괴가 문명, 진보, 현대화, 자본주의라는 명목 아래 흑인과 갈색인 사회에 떠맡겨진 역사의 결과로 생겨났다”. 더 나아가 유소프는 기후 위기가 “세상의 종말을 고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제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계속되는 제국주의와 정착민에 의한 식민주의는 그들이 존재하는 한은 지속적으로 세상을 종말로 이끌어 왔다”라고 말한다. 지금 내가 글을 쓰는 역사적 땅의 레니 레나페Leni Lenape족에게 이 세상은 강제 이주와 인구 분열과 함께 수 세기 전에 끝났다. 비록 지금도 여전히 우리와 함께 몇 번이고 다시 종말의 생존자로서 살아가고 있지만 말이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이 위기는 누구에게 ‘전례 없는’ 일인가?
일인분의 안락함 - 지구인으로 살아가는, 그 마땅하고 불편한 윤리에 관하여 35쪽, 에릭 딘 윌슨 지음, 정미진 옮김
나는 한때 에어컨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생각했던 내가 자란 이 도시 속에 무질서하게 자리 잡은 산업 지대로 차를 몰았고, 약 0.55km²에 달하는 캐리어Carrier 에어컨 회사의 제조 공장을 지나쳤다. 1989년 독성이 너무 강해 미국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이 슈퍼펀드 사이트Superfund site*로 지정한 곳이었다. 캐리어는 에어컨을 만들면서 도시의 지하수에 발암물질로 알려진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이라는 독성 물질을 방출했다. 이 회사는 2019년까지만 해도 도시의 식수원인 멤피스 모래대수층Memphis sand aquifer꙳에 유독성 폐수를 버리게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다행히도 셸비 카운티 보건부가 이 요청을 거부했다. * 유독성 폐기물이 버려져 EPA로부터 정화 명령을 지시받은 현장. ꙳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
일인분의 안락함 - 지구인으로 살아가는, 그 마땅하고 불편한 윤리에 관하여 38쪽, 에릭 딘 윌슨 지음, 정미진 옮김
CFC가 성층권의 오존(Ozone, O₃)을 파괴하는 메커니즘을 가장 잘 설명한 이미지라서 참고로 올려둡니다. 혹시 보시고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 되시면 다시 물어봐 주세요. :)
@YG 오른쪽 맨위에 탄소원자 하나가 다시 연쇄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이해했는데 홀로남은 산소원자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활성산소로 돌아다니다가 O2 로 결합되는건가요?
2부 7장에서 자세하게 설명되고 있습니다만, 좀 더 부연해볼게요. (탄소가 아니라 염소죠?) 염소에 의한 오존 파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반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진행됩니다. ​염소 원자(Cl)가 오존(O₃)을 공격하여 일산화염소(ClO)와 산소 분자(O₂)를 생성합니다. 이 반응으로 오존 분자 하나가 파괴되어 산소 분자로 변합니다. ​생성된 일산화염소(ClO)는 주변의 산소 원자(O)와 반응하여 다시 염소 원자(Cl)와 산소 분자(O₂)를 생성합니다. 성층권에는 자외선에 의해 산소 분자(O₂)가 쪼개져 생성된 산소 원자(O)가 존재합니다. ​이 두 번째 반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존을 파괴했던 염소 원자가 다시 자유로운 상태로 돌아와 또 다른 오존 분자를 공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Cl - ClO -Cl로 이어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하나의 염소 원자가 연쇄적으로 수많은 오존 분자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6장 287페이지를 읽어보니 CFC가 없는 원래 상태에서는 오존분자가 자외선을 흡수하면 O2, O 로 분해되었다가 안정화를 위해다시 오존 분자로 결합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한다고 이해했거든요. 음.. 그래서 설명해주신 내용에서 염소원자가 오존을 공격한다기 보다.. 분해된 오존이 결합하기 전에 산소원자를 납치를 계속 하다보니..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도찐개찐인가요?
아, 말씀하신 그 과정을 오존을 공격한다라고 표현했네요. 정확한 이해세요. 좀 더 욕심을 내보자면 오존은 산소 원자 두 개는 이중 결합으로 강하게 결합해 있고 나머지 산소 원자 한 개는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예요. 그래서 산소 하나는 자외선에도 쉽게 쪼개지고 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상대(염소 원자)가 주변에 있으면 얼른 거기로 가려고 해요. 그러니 염소 원자가 오존을 공격하는 루트도 있는 거죠. :)
오존 구조 보시면 바로 아! 하실 거예요.
오. 명확하게 이해되네요~. 고딩때 물리,지구과학 파였다는 것이 새삼 기억나는 하루입니다. 하하
아무래도 @연해 님 말씀이 맞는 듯해요. (과학 선생님!) 답도 없는 과알못이라 혼자선 교양 과학 도서 한권 읽기 버거운 저 같은 사람에게 큰 힘을 주고 계십니다. 예전에 이정모 관장님의 칼럼을 보고 뽕이 차서 뿌리와이파리에서 나온 오파비니아 1권 <생명 최초의 30억 년>을 섣불리 읽다 머리털을 몽창 뜯어본 경험이 있는 자로서 더욱 감사 드립니다. 오파비니아 시리즈가 아주 많던데 난이도가 다 비슷비슷한지 궁금하네요 하하.. 그후론 겁이 나서 도전을 못해보고 있답니다..
생명 최초의 30억 년 - 지구에 새겨진 진화의 발자취, 뿌리와이파리'우주와 지구와 인간의 진화사'에서 굵직굵직한 계기를 짚어보며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는 오파비니아 시리즈 첫번째 책. 이 책은 갓 태어난 지구에서 탄생한 생명의 씨앗에서부터 캄브리아기 대폭발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기나긴 역사를 탐구하면서, 다양한 생명의 출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오, 계속해서 이렇게 상세한 설명이라니...! 저도 YG님 설명 덕분에 더 꼼꼼히 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과학은 역시 어렵네요(하하하).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이번 벽돌 책은 지금까지 읽었던 다른 벽돌 책들보다 확실히 술술 재미있게 읽고 있어요. 아무래도 생활과 직접 맞닿아 있는 내용이라(긍정적이진 않지만) 더 흥미로운 것 같기도 합니다.
부연 설명 감사드립니다. 아직 2부 7장까지 못 갔는데 부지런히 따라가 보겠습니다. 학부때 일반화학 재수강, 유기화학 2학기 수강을 했음에도... 20년이 넘게 지나니 탄소와 염소를 헛갈리는 무지렁이가 되었네요. ㅠㅠ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도서 증정] 《아버지를 구독해주세요》마케터와 함께 자유롭게 읽어요~! [도서 증정] 우리의 일상을 응원하다 이송현 작가 신작《제법 괜찮은 오늘》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죽음에 관해 생각합니다
[책 나눔] 송강원 에세이 <수월한 농담> 혼자 펼치기 어렵다면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18. <어떻게 죽을 것인가> 읽고 답해요 죽음을 사색하는 책 읽기 1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
[도서 선물] <알고리즘 포비아> 현 인류에게 꼭 필요한 질문, 편집자와 함께 답해요🤖[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
노벨문학상이 궁금하다면?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책 증정]2020 노벨문학상, 루이즈 글릭 대표작 <야생 붓꽃>을 함께 읽어요.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작품 읽기
삶의 길을 밝히고 미래를 전망하는 한겨레 출판
[한겨레출판/책 증정] 《쓰는 몸으로 살기》 함께 읽으며 쓰는 몸 만들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11월의 책 <말뚝들>, 김홍, 한겨레출판올해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멜라닌>을 읽어보아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내일의 문학을 가장 빠르게 만나는 방법! <셋셋 2024> 출간 기념 독서 모임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 느리게 천천히 책을 읽는 방법, 필사
[책증정] 더 완벽한 하루를 만드는『DAY&NIGHT 50일 영어 필사』함께 읽고 써요필사와 함께 하는 조지 오웰 읽기혹시 필사 좋아하세요?영어 필사 100일의 기적 / 모임이 100일동안 이루어지지는 못하겠지만 도전해봅니다.[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수학은 나와 상관없다?! 🔢
[김영사/책증정]수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세상은 아름다운 난제로 가득하다》함께 읽기문학편식쟁이의 수학공부! 50일 수학(상) 마저 풀어요.[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