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니안님의 대화: 동의하기 어려워요. 여름이 더워서 힘들지만 도시에서 지내긴 사실 많이 힘들진 않습니다. 카페, 지하철, 사무실, 도서관, 식당, 쇼핑몰, 다니는 공간 대부분이 시원하고 쾌적하거든요. 물론 이상적으로 만족스럽진 않고 냉방이 너무 강하거나 약하거나 할 때도 있죠. 하지만 냉방이 안되는 공간의 불쾌함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쾌적한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실외에서 일을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냉방의 효과는 불평등하게 제공되죠. 하지만 이건 불평등의 문제이지 냉방의 문제는 아니지 않을까요?
저자가 8장에서 지적하는 문제들이 그다지 문제로 여겨지진 않아요. 예를 들어, 편안함을 느끼는 방식은 당연히 변화하는것이지만, 우리는 현재의 우리로서 편안함을 추구하지 내가 바뀌면 편안함과 불편함이 바뀔 수 있다는 것까지 상상해서 어떤 결정을 하지는 않잖아요. 문명의 이기가 부족한 오지에 가서 살면 적응이 되면서 불편함이 줄어들겠지만, 현재의 자기자신을 기준으로 상상과 판단을 하게 되는 건 자연스러운 일 같습니다. 기업이 수요자의 욕구를 알기 위해 평균적인 수치를 파악하려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일이고 예전에는 평균적인 백인이 타겟고객이었더라도 인도에서 에어컨을 팔려면 인도인들을 기준으로 하고 세네갈에서 팔려면 그에 맞는 현지화를 하게 되지 않을까요? 물론 수요조사나 신상품 기획 때 돈을 많이 쓸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건 당연한 일이겠지만, 다른 대부분 상품과 서비스가 그러할 것이고 이 역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이지 냉방의 문제는 아니겠지요. 저자가 어떤 부분에 문제의식을 갖는 것인지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어요.
저는 전반적으로 8장에 대한 저자의 언급에 많은 수긍이 갔습니다. 편안함이란 것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이며. 이에 따라 보편적인 편안함을 이끌어 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닌가 하는 관점으로 이해했습니다.
또한 “열적 단조로움(thermal monotony)”이라는 개념은, 지속적이고 균일한 온도 유지가 오히려 쾌적성 향상에 실패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관점으로 많이 인용되고 있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열적 단조로움은 오히려 높은 에너지 소비를 수반하면서도 쾌적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