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팔님의 대화: @연해 6장을 보면 ‘쾌적 지대’와 ‘쾌감 선도’의 정의를 통해 이상적이고 보편적으로 안락한 온도를 가정하고 편안함을 과학화한다는 내용이 계속 나오잖아요. 그걸 읽으면서 요즘에도 가정과 회사, 지하철 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에어컨 설정 온도를 둘러싼 갈등과 연해님 생각이 났습니다. 저도 추위를 많이 타는 편이라 여름에 항상 얇은 가디건을 챙겨갖고 다녀야 되거든요. 그나마 적응을 했는지 더이상 냉방병(?)에 걸리진 않지만, 그래도 춥긴 엄청 춥습니다. 최근에 동네도서관 강의를 들으러 갔을 때도 저 포함 여성분 몇 분만 덜덜덜 떨었던 기억이…
개인의 체온이 다 다르니 이게 참 어려운 것 같더라고요. 다만 음식의 예로 들자면, 자극적인 음식을 먹다보면 그 맛이 무뎌져 더더 자극적인 맛을 찾는다고들 하더라고요. 그런 것처럼 에어컨의 온도도 쾌적함만을 좇다보면 어느 순간 그 강도가 올라가지 않을까(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조금의 더위도 견디기 힘든 수준의 절제력) 걱정스러운 마음이 듭니다. 습관적으로 에어컨을 트는 분들을 많이 보아요. 공백을 견디지 못해 쉼 없이 영상매체에 빠져드는 요즘 세태처럼요.
사무실에서도 제가 불편한 지점은 이런 것인데요. 에어컨을 잔뜩 틀고 가디건을 입어요. 그럴거면 가디건을 입지 않고, 에어컨을 끄면 될 텐데...?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와 향팔님처럼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더워서 트나보다 하는데, 저는 그 모습이 더워서 튼다기보다는(정말 더웠다면 가디건을 입지 않아야...) 습관 같아 보였어요. 냉방이든 난방이든 정말 필요한 곳에 설치해서 모두가 골고루 쾌적한 일자리를 가졌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저는 기술의 발전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과한 건 좀 화가 나는 것(?) 같아요(그걸 아껴서 진짜 필요한 곳에!). 휴... 말하고 나니 제 말이 좀 과한가 싶기도 하고.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