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듯 기후 결정론은 기질의 원인을 지역적 환경으로 규정하지만, 그 철학은 이상적인 문명과 (암암리에) 그러한 문명을 책임지는 우월한 ‘인종’의 존재에 대한 논쟁으로 쉽게 이어진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단지 이러한 이론의 우스꽝스러움(고유하고 본질적인 ‘인종’이 동질적이고 순수하다고 가정하는 것, 보편적 이상에 대한 검토되지 않은 개념, 구체적 증거가 없는 방대한 일반화 등)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이해하는 것이다. 몽테스키외 이후, 임마누엘 칸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데이비드 흄을 비롯한 여러 세대에 걸친 서구 사상가들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기후와 인종 사이에 추정되는 연관성을 더욱 강화하려 했다. ”
『일인분의 안락함 - 지구인으로 살아가는, 그 마땅하고 불편한 윤리에 관하여』 246쪽, 에릭 딘 윌슨 지음, 정미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