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님의 대화: 와, 이렇게 잘 정리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외선 차단제 잘 바르고(비타민 D 보충제는 아직이지만) 집을 나섰어요.
참, 이번 주말 제 병렬 독서는 『망가진 세계에서 우리는』과 함께 하고 있는데요. YG님도 혹시 이 책의 저자님을 아실까요? (웃음) 저는 이분의 책을 이번에 처음 읽었는데요. 정말 엄청나요(표현력의 한계인가...)! 제가 사실 SF를 그다지 선호하는 편은 아니거든요. 그래서 수록된 작품 중 제가 아는 작품이 거의 없는데도, 하나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심지어 작품 하나하나가 다 흥미로웠고(얼떨결에 몇 작품은 영업당하고(?) 말았다지요) 각 작품 속 의미를 통찰력 있게 잘 풀어내셔서 철학적인 느낌도 많이 들었어요. 개인적으로는 이 문장이 인상 깊었습니다(SF에 대한 제 편견을 깨는 문장이기도 했고요).
"그런 점에서 SF 미학이라는 게 있다면 그것의 핵심에는 '경이감'이 아니라 정교한 '사고실험'이 있어야 합니다. 지금 우리의 욕망과 과학기술이 데려다 줄 세계를 정교하게 그려 내고, 과연 그것이 최선인지 혹시 다른 가능성은 없는지를 상상하게 하는 그런 사고실험의 결과물이 바로 SF여야 합니다."
주말 동안 거의 다 읽어버렸는데, 남은 분량은 천천히 아껴 읽으려고요. 제가 평소, 이렇다 할 대안 없이 머릿속에만 둥둥 띄워놓고 다녔던 몇몇 주제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좀 더 부드럽게 언어화됐어요. 책 표지가 다소 낯간지럽긴 하지만(하하하)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책걸상에서 이미 들었던 터라, 대중교통에서도 당당하게 잘 들고다녀요(초롱초롱한 눈빛이 매력적입니다). 오래오래 간직하려고요. 앞으로도 좋은 책 차근차근 집필해주셨으면 하는 소망도 담아보고 싶습니다. 망가진 세계를 @YG 님만의 언어로 찬찬히 잘 지켜주세요:)
자칭 sf 소설 좀 읽었다고 자부해왔었는데 당황스럽게도 <망가진 세계에서 우리는>에 소개된 18편의 작품 중 6편 정도 밖에 안 읽었더라고요. 전 1/4 정도 독서 진도 나간 상태에요. 그나저나 표지에 대한 사연은 궁금하긴 하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