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ho님의 대화: 스탈린에 의해 처형당하지 않았더라면 우크라이나 작가들은 유럽에 더 널리 알려졌을 것 같아요. 현재 번역 중인 다큐 <슬로보 하우스>에 미쿨라 쿨리시와 레스 쿠르바스의 이야기도 등장합니다.
우크라이나 문화에 대한 인식도 그렇지만, 젤렌스키 연설 때 면전에서 스마트폰 보거나 자던 한국 국회의원들처럼 '댁들이 어려운 거 관심 없다'는 외부의 태도도 포함되는 말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저자의 태도에서 원망이 느껴지지 않아서 더 죄책감이 들기도 하고...그래서 이번 모임을 참 소중한 기회라 생각합니다. 혼자 좋은 책 읽었다고 끝내는 게 아니라, 번역가님과 다른 분들 말씀 듣고 뭘 할 수 있는지를 모임 마지막엔 발견할 수 있기만 바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