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은 미완으로 남겨두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 미완이 작가 빅토리아 아멜리나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표현하는 것 같아서 슬프지만.. 그녀의 의도를 우리가 정확히 알 수 없고, 알 수 있는 방법도 없기에 현재 책이 구현된 방법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
D-29

꼬리별

한규
2장까지 마쳤습니다. 1장보다 확실히 끊어진 부분들과 완결되지 못한 원고들이 눈에 밟히더군요. 사실 저도 두어권의 책을 예전에 냈는데-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이야기를 발전시켜나가는 과정도 눈여겨 봤습니다. 작가 내면의 이야기와 타인의 이야기를 결부시키면서, 맥락에 따라 이어지지 못한 부분에 그녀가 어떤 구상을 했을지를 고민하면서 읽었습니다. 다음장을 읽어야 제대로된 감상을 적을 수 있을 거 같기도 합니다. 고인의 발자취를 좇으며 꾸역꾸역 읽고 있습니다.

pacho
@한규 글을 써보신 분이라면 미완으로 남은 부분이 글쓰기 과정의 일부로 보이기도 했겠군요. 어떤 글을 쓰셨는지 궁금합니다.

한규
전공 분야와 다르게 (Gobal Studies를 석사 전공했습니다. 번역자 분과 비슷한 결일 거 같아요), 십 년과 오 년 전에 여행 책을 두 권 썼고, 10월 달에 인터뷰 집이 한 권 나옵니다! 서울 상영회 다음날 지방 마라톤 일정이 있어서 고민이네요. :(

pacho
@한규 아, 저도 국제관계학을 공부했습니다. 여행 책을 쓰셨군요. 인터뷰 집은 출간되면 읽어보겠습니다. :-) 마라톤을 뛰려면 하루 전에 그곳으로 가야 하는가 보네요. 시간 되시면 신여성에 오셔서 다큐도 보시고 다과도 즐기세요.

부엌의토토
“ 나를 잡으러 오는 건가. 자신이 아니라 이웃이 잡히면 그들은 안도했지만 동시에 수치를 느꼈을 것이다. 적 의 포탄이 자신에게 떨어지지 않을 때 지금도 많은 이들이 같은 심정을 느낀다. 생존본능은 행복감을 느끼라고 강요한다. 그래도 행복해지고 싶지 않다. 대신 인간으로 남고 싶을 뿐이다. ”
『여성과 전쟁 -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107, 빅토리아 아멜리나 지음, 이수민 옮김, 곽보정.조유림 우크라이나어 감수
문장모음 보기

수달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