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

D-29
정말 중요한 지적이십니다. 저도 뉴스에서 본 그 장면이, AI를 “국가 간 경기”처럼만 보는 시각이 너무 강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AI는 단순히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어떻게 살아가고 어떤 가치를 지켜갈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술인데요. 모 가우닷이 말했듯 제도적·사회적·개인적 차원에서 균형 잡힌 접근이 없다면, 기술은 곧바로 디스토피아로 흘러갈 수밖에 없겠죠. 국가와 기업들이 경쟁을 넘어 협력의 장을 열고, 인류 공동 번영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AI의 최종 목적지는 “누가 이기느냐”가 아니라, 모두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미래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Whoever gets to AGI first will have the technology to develop super intelligence where the AI can rapidly increase its own intelligence and it will basically leave everyone else behind.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36:43
Why do I say that? Because there are ideological shifts and concrete actions that need to be taken by governments today rather than waiting until COVID is already everywhere and then locking everyone down. (Governments could have reacted before the first patient or ........) They didn't.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55:52
듣다보니 분량을 넘어가버렸네요. 삭제방법을 몰라 그대로 두는데, 두번째 인용구절은 무시하셔도 됩니다. 저는 뒷부분으로 갈수록 흥미롭게 봤습니다. 아무래도 해결책을 제시하는 부분이어서 그런 것같아요. 영상을 보다보면 "그래서요? (뭘 해야 하나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란 생각을 자꾸 하게 되거든요. 뒤이어 simple decision 이라고 언급하는 부분이 곧 나오지만, 국제 정치가 정말 "간단한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제게는 이상적으로 들리기도 했구요. 여담으로, 며칠전 생성형 AI 관련 강연을 듣다가 머스크가 설립한 회사의 MacroHard 라는 이름이, MicroSoft 반대 뜻으로 지은 거란걸 듣고. 하물며 나라들끼리야.... 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에서 언급된 단어는 아니지만 저는 이번 영상을 보면서 unpredictable 이란 단어를 떠올렸습니다. 제게는 여전히 달나라 이야기같은 영상, 다음편도 계속 보겠습니다.
그래서 뭘 어떻게 해야 하나요? 라는 질문 정말 와닿습니다. 파국으로 가는 것인가.... 어떻게 되는 것인가 너무 혼란스러워요. 와 그리고 MacroHard => Microsoft의 반댓말인지 정말 몰랐습니다. ㅎㅎㅎㅎ
The real challenge is not technology — it’s mindset. Why would elites give that abundance away for free, if they can keep feeding their hunger for money, ego, and power?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저는 이 문장에서 ego가 나와서 정말 놀랐어요.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었던 것 같아요. money와 power만 나올 줄 알았거든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9/9-9/14까지 (53:09–01:26:36) 분량 들어볼게요! 기간 : 9/9(화) ~ 9/14(일)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atch?v=S9a1nLw70p0 Spotify : https://open.spotify.com/episode/7ilRnOKcAc5C7dnEZcCuFr 🔹 Part 3: 인간과 AI의 역할 변화 (53:09–01:26:36) 핵심 주제: 인간의 역할 변화, 인간 vs. AI, 미래 직업 세계의 해체 ⏱ 53:09–01:26:36 53:09 Will New Jobs Be Created? – 새로운 일자리는 생겨날까? 01:01:28 What Do We Do in This New World? – 새로운 세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01:04:17 Will We Prefer AI Over Humans in Certain Jobs? – 어떤 직업에서는 인간보다 AI를 선호하게 될까? 01:08:11 From Augmented Intelligence to AI Replacement – 증강 지능에서 AI 대체로 01:17:34 A Society Where No One Works? – 아무도 일하지 않는 사회? 대본 : https://www.gmeum.com/blog/3266/6783 그리고 나서 다 들으신 분은, 인상깊었던 문구를 1개씩 나눔해보고 의견도 자유롭게 나누어볼게요! 문구를 캡처하시고 싶으신 분은 위의 '대본'을 참조해주세요. + 그리고, 여러분께 궁금한 게 있어요! (함께 나누어 주실 수 있나요? ) 저희 듣고 있는 팟캐스트 내용이 좀 충격적이잖아요. 현실에서 이런 변화를 실감하고 계신가요? 저 먼저 나누자면, 제가 속한 IT업계는 진짜로 '신입개발자 채용'이 급격하게 줄었어요!! 그리고 예전보다 한 사람에게 요구하는 작업량도 커졌고요. job displacement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지요. 이런 사례가 있는 지 너무 궁금해요!
I hope I’m wrong. Are there scenarios you see that avoid this? Mustafa Suleyman talks about “pessimism aversion”—that tech and business people feel obliged to say, “The future will be amazing!” My post “Broken Promises” asked: how often did social media really connect us—and how often did it make us lonelier? Did mobile phones make us work less, as promised?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거는 도대체 무슨 말이죠. Pessimism aversion, 누구를 겨냥한 말일까요
can you imagine two superintelligences getting together to explain string theory to us? >>>끈이론, 이게 뭐죠 ㅎㄷㄷ구글링해봐도 참 어렵네요
[ 끈이론] https://naver.me/GYp51veU https://naver.me/5f55FREf [초끈이론] https://naver.me/58hnjPLj 우주를 '점' 입자가 아닌 '끈' 입자의 파동으로 설명하려는..@,.@!!! 물리학 어려워요..ㅎ
오오. 감사해요. 결국 ..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 입자들은 더 이상 점처럼 작고 단순한 입자가 아니라, 사실은 아주 작은 ‘끈(string)’이 진동하는 모양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이론이라는 이야기라고 하더군요. 히히.... 역시 물리는... 저 땀흘리고 있습니다...
수서동주민님께선 일상에서 피부로 와닿으실 그런 변화들을, 사실 저는 거의 느끼지 못하고 사는데요. chatgpt나 gemini 를 어쩌다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하다보니, AI와 관련된 부정적 미래 예측은 hallucinations 정도밖에 생각할줄 모르는 저와, 영상속에서 국제 정치와 엮어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영상속 전문가의 격차를 그래서 어마어마하게 느낍니다. 국내 취/창업자를 위한 조언 정도의 성격을 지닌 AI관련 강연을 최근에 들었는데요. 저와 영상사이, 그 중간 정도의 관점(국내 한정)을 가지기에 좋다는 생각이 들어 간략하게 공유해볼까 합니다.
hallucinations 라는 단어가 어려워서 살짝 찾아봤더니 환각이군요. ㅎㅎ 영어는 저에게 정말 갈 길이 먼 것 같습니다.
Many people we should care about — travel agents, assistants — may not be fully replaced, but will see a reduction in their tasks and requests.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아니, 그 많은 직업 중에 왜 이 둘을 특히 뽑았을까요. ㅋㅋ 이해가 잘 안가네요
Some argue humans are wired to expand, conquer, and achieve. But the truth is, Homo sapiens succeeded because they could form tribes, communicate, and cooperate. Not because of superior intelligence.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이 문단 동의하시나요 ㅎㅎ 저는 some argue의 some에 속하는 듯 해요.
The truth is like when you walk into an electronics shop and see 60 TVs. You look and say, “This one is better than that one.” But in reality, if you take any of them home, it’s superior quality to anything you’ll ever need. That’s the truth of our life today: there isn’t much more missing.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 증정] 우리의 일상을 응원하다 이송현 작가 신작《제법 괜찮은 오늘》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탄젠트>(그렉 베어)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죽음에 관해 생각합니다
[책 나눔] 송강원 에세이 <수월한 농담> 혼자 펼치기 어렵다면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18. <어떻게 죽을 것인가> 읽고 답해요 죽음을 사색하는 책 읽기 1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
[도서 선물] <알고리즘 포비아> 현 인류에게 꼭 필요한 질문, 편집자와 함께 답해요🤖[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
노벨문학상이 궁금하다면?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책 증정]2020 노벨문학상, 루이즈 글릭 대표작 <야생 붓꽃>을 함께 읽어요.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작품 읽기
삶의 길을 밝히고 미래를 전망하는 한겨레 출판
[한겨레출판/책 증정] 《쓰는 몸으로 살기》 함께 읽으며 쓰는 몸 만들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11월의 책 <말뚝들>, 김홍, 한겨레출판올해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멜라닌>을 읽어보아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내일의 문학을 가장 빠르게 만나는 방법! <셋셋 2024> 출간 기념 독서 모임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 느리게 천천히 책을 읽는 방법, 필사
[책증정] 더 완벽한 하루를 만드는『DAY&NIGHT 50일 영어 필사』함께 읽고 써요필사와 함께 하는 조지 오웰 읽기혹시 필사 좋아하세요?영어 필사 100일의 기적 / 모임이 100일동안 이루어지지는 못하겠지만 도전해봅니다.[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수학은 나와 상관없다?! 🔢
[김영사/책증정]수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세상은 아름다운 난제로 가득하다》함께 읽기문학편식쟁이의 수학공부! 50일 수학(상) 마저 풀어요.[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