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토리 탐험단 페어링 독서
『여자는 우주를 혼자 여행하지 않는다』 ×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 여성 서사의 길을 따라, 두 개의 여정 –
세상에 널리 알려진 ‘영웅의 여정’은 대개 남성 중심의 이야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도전, 전투, 정복, 귀환...
그러나 질문은 남습니다.
“여성은 이 구조 안에서 어떻게 살아남는가?”
“여성은 왜 이 여정에 불편함을 느끼는가?”
“그리고, 여성의 이야기는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이번 스토리 탐험단의 페어링 독서는
그 질문을 따라가는 두 명의 작가, 두 권의 책, 두 갈래의 여정으로 구성됩니다.
📕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 모린 머독
“영웅의 여정은 여성에게 맞지 않는다.”
심리치료사이자 여성주의 작가인 모린 머독은
조셉 캠벨의 전통적 ‘영웅 여정’ 구조가 여성에게는 상처와 왜곡을 초래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대신 여성 내면의 여신성과 자아 회복의 여정을 제안하죠.
분리 → 상처 → 시험 → 통합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치유와 정체성 회복의 단계
외부의 성공보다 내면의 통합과 회복에 초점을 맞춘 여정
딸, 어머니, 상처받은 여성, 회복자, 통합된 존재로의 변환
📌 이 책은 여성의 내면 서사, 심리적 치유, 자기통합의 구조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 『여자는 우주를 혼자 여행하지 않는다』 – 게일 캐리거
“여성 서사는 협력과 관계, 회복의 이야기다.”
장르 작가이자 베스트셀러 창작자 게일 캐리거는
‘여성의 여정’이 단지 치유나 내면의 이야기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서사 구조 자체가 다르고, 대중에게도 매혹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남성 영웅이 세상을 떠나는 이야기라면,
여성 주인공은 세상과 연결되는 이야기
독립보다 관계, 정복보다 협력, 전투보다 회복
웹소설, 로맨스, 성장물, 장르 픽션에서 여성형 서사가 어떻게 사랑받는가를 풍부한 예시로 설명
📌 이 책은 현대 스토리 시장에서 여성 서사가 어떻게 작동하고 매력을 발휘하는지를 이야기하며, 창작자에게 실전적인 힌트를 줍니다.
🎯 함께 읽으면,
‘여성의 여정’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심리학적 깊이와 서사적 기술 양쪽에서 조망할 수 있어요.
여성 주인공의 이야기 구조를 창작, 분석, 감상 모든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 모임 안내
모임명: 스토리 탐험단 – 여성 서사의 두 갈래 여정
페어링 도서:
1️⃣ 『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 모린 머독
2️⃣ 『여자는 우주를 혼자 여행하지 않는다』 – 게일 캐리거
참가 대상:
여성 서사, 페미니즘 서사, 성장물, 로맨스 서사에 관심 있는 분
캐릭터 중심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만들고 싶은 창작자
감정 중심 이야기와 구조 분석에 균형감 있게 접근하고 싶은 분
📚✨
이번 탐험은 여성형 서사를 바라보는 두 갈래의 길.
그 안에서 당신만의 이야기 여정을 설계해보세요.
스토리 탐험단,
당신을 기다립니다.
스토리 탐험단 9번째 여정 <여자는 우주를 혼자 여행하지 않는다>
D-29

이기원모임지기의 말

강작가
기대됩니다^^ 잘 읽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부리
늘 좋은 책 선정해 주셔셔 감사합니다. ~~ ^^
Ieon
완독 신고합니다. 하나 더 알아갑니다.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 작가는 세계관의 규칙, 범주, 한계 등을 설정해 자신이 창작하는 신화가 정당성을 얻도록 합니다. P71
-모든 선원은 보물을 향한 항해에 직 간접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존재여야 합니다.
주인공은 보물을 향한 여정에서 수많은 시험과 시련을 만납니다. 항해 중에 만나는 폭풍우, 바다 괴물, 적대적인 해적선 등, 시련들을 통과하며 주인공은 보물을 발견할 자격을 더 갖추게 되죠. 모든 시련은 보물을 찾기 위한 필수 관문으로 기능합니다. 작가의 메시지는 보물 상자를 여는 순간 드러납니다 83
- '장르물'은 무엇인가를 뚜렷이 원하는 사람들을 전제로 만들어집니다.
어떤 결핍을 채우는 이야기에 자신이 가장 만족 하는지를 뚜렷이 아는 독자들이 선택하죠. 장르물의 독자들은 주인공이 노력 끝에 작가의 메시지를 찾아내 결핍을 해소하는 이야기를 보며 대리 만족합니다. 157
세계관은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질서가 작동하는 시공간입니다.
'돌아온 탕아' 나 '목자가 잃어버린 새끼 양' 같은 비유를 떠올려 보세요. 세계관에 설정된 메시지를 모르던 인물이 마침내 깨닫는 이야기 구조에는 이토록 강렬한 매력이 있습니다 158
주인공이 세계관의 규칙에 따라 문제를 풀다가 함정에 빠지지만, 그 과정에서 진짜 힌트를 얻고 최종적으로 세계관의 메시지에 도달하는 것이 스토리텔링의 기본 설계입니다.
이때 함정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비롯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인공의 미숙함, 오판, 오해, 정보, 리더십, 전략, 의지부족, 타인에 대한 과신 등이 하마르티아가 됩니다 223
주인공이 추구해야 하는 진짜 메시지를 오해하도록 가짜 보스전을 교묘하게 배치하는 겁니다. 함정에 빠진 플레이어는 잘못된 전략과 목표를 설정한 뒤 게임 속에서 헤매게 됩니다. 고생 끝에 얻은 상자는 꽝이죠. 분노와 좌절을 겪은 플레이어는 조이스틱을 쾅쾅 두들기거나 마우스를 던진 뒤 지금까지의 플레이를 곰곰이 되짚어 봅니다. 그러고는 드디어 어떻게 해야 진짜 엔딩을 볼 수 있을지를 깨닫습니다. 무심코 지나갔던 스테이지들과 지금의 함정 스테이지에 힌트가 숨어있었죠. 힌트를 알아본 플레이어는 전략을 수정하고 다시 도전해 진짜 보물 상자를 찾습니다
이렇게 발견한 보물 상자 속에는 작가의 메시지, 즉 세계관의 질서가 담겨 있습니다. 225
사랑 받고 살아남은 플롯의 6가지 원형
-결핍을 향한 여정
-도플갱어와의 대결
-극적인 성장
-사랑의 덫
-운명적 선택
-질서의 회복 혹은 파괴 236
- 저는 한가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수많은 이야기가 결국 비슷한 질문에 닿아있다는 사실입니다
왜 이 세계는 이렇게 불공평할까?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질까?
왜 이런 시련을 나만 겪을까? 313
kristine
제목부터가 기대되네요 ~~ ^^
바림
저도 기대 됩니다!! 책 주문부터 미리 해둬야겠네요 :)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