챠우챠우님의 대화: 책은 아직 도착하지 않았지만 미리 참여합니다. <뤼미에르 피플>, <그믐...>, <재수사> 에서 이어지는 현수동 유니버스를 너무 좋아하는 한 독자입니다. 생각해보니 <산 자들>에도 현수동이 비중있게 나오네요.
저는 가장 친한 친구가 서강대 앞 신수동에서 10년가까이 살아서 거의 제 집처럼 드나들었습니다. 지금 찾아보니 광성고등학교 앞이고 재개발에 들어간거 같네요. 비번인 주말에 친구랑 진탕 술을 마시고 아침에 혼자 일어나서 신수동 언덕을 터덜터덜 걸어내려와서 일하러 가던게 생각이 납니다.
와, 챠우챠우님, 감사합니다. 그 근처가 은근히 언덕이 많은 동네지요. 그래서 걷다 보면 좀 지치기는 하지만 저는 그것도 묘미라고 생각합니다(콩깍지일까요).
신수동에 살았던 유명한 인물로 이중섭 화가가 있습니다. 신수동에서 첫 개인전을 준비했다고 『이중섭 평전』에 나오는데 정확한 위치는 아쉽게도 모릅니다. 이중섭의 첫 개인전은 1955년에 열렸는데, 그해 신수동 바로 옆 구수동으로 김수영 시인이 이사를 와서 부인과 함께 양계를 시작합니다. 이중섭과 김수영이 서로 만났는지는 모르겠지만 김수영은 이중섭을 확실히 알고 있었습니다. 자기가 아는 기자(평화신문 기자였던 시인 이활)에게 “좋은 전람회가 열렸는데 문화부 기자가 뭘 하느냐”라며 이중섭 개인전에 가라고 하거든요. 그렇게 해서 이활 시인이 이중섭 개인전에 대한 첫 기사를 썼는데, 김수영이 이중섭 개인전 홍보에 톡톡히 공을 세운 셈입니다. 김수영 시인이 구수동에 살았던 집 주소와 버스에 치여 사망한 정확한 장소는 『아무튼, 현수동』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