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 째, 저는 50년 넘게 이 동네 살고 있는데 보자마자 반가워서 오프 신청하러 가니 그새 마감 이네여
그믐은 참 여러모로 저를 챙기는지 맞춤형 같아 감사합니다
기대감 가지고 참여합니다.
[서강도서관 x 그믐] ①우리동네 초대석_장강명 <아무튼, 현수동>
D-29

승환

거북별85
40쪽 이중섭이 신수동에 살며 개인전을 연 1955년 김수영 시인이 서울 성북구에서 구수동으로 이사를 왔다 시인 부부의 그 유명한 양계 생활이 시작된 곳도 이곳이다 부인 김현경 여사가 병아리 11마리를 사 왔는데 나중에 이게 750마리로 불었다 닭을 키우는 것은 취미가 아닌 생계 수단이었다 김 여사는 시인에게 "닭이 알만 낳게 되면 당신도 그 지긋지긋한 원고료 벌이 하지 않아도 살 수 있게 돼요"라고 말했다
: 예술가의 삶과 양계농장주인의 삶은 아주 다를텐데 김수영 시인이 양계생활을 했다니 놀랍습니다 그 중 김수영 시인 부인, 김현경 여사의 말이 너무 멋지고 예뻐서 와 닿았어요 사랑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자하는 마음과 어떻게 병아리 11마리를 750마리로 불릴 수 있는지 놀랍습니다 여러모로 여사님을 배우고 싶네요 ^^

장맥주
김수영 시인과 이중섭 화가의 이야기는 『아무튼, 현수동』을 쓰면서 더 쓰고 싶은데 꾹 참고 자제한 부분입니다. 이 자리에서 풀어놓으면, 일단 김수영 시인이 닭을 최대 몇 마리까지 쳤는지 좀 궁금합니다. 산문 「양계변명」에는 천 마리라는 수 치도 나옵니다. 그런데 그것보다는 사모님인 김현경 여사님의 기록이 함께 나오는 한겨레 기사가 보다 정확할 거 같아서 750마리로 적었어요. 「양계변명」에 나오는 수치는 꼼꼼히 읽으면 광흥창역 일대에서 부인과 함께 키운 닭의 수가 아니라 창동에서 김수영 시인 어머니가 키운 닭의 수를 말하는 것 같고요.

장맥주
이중섭 화가가 신수동으로 이사 온 것은 1954년 11월 1일이고, 대구로 간 것은 1955년 2월 24일입니다. 김수영 시인이 구수동으로 이사 온 것은 1955년 6월이니까 두 사람이 현수동에 산 시기는 겹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장소를 보면 참 아슬아슬하기는 해요. 이중섭 화가의 집은 노고산 자락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주소는 알려져 있지 않고, 김수영 시인의 집 은 구수동 41-2번지입니다. 신수동이 큰 동네는 아니고, 구수동은 신수동 바로 옆이라서, 신수동 끝에서 구수동 끝까지 걸어서 20분이 안 됩니다.

장맥주
김수영 시인이 이중섭 화가를 알았던 것은 분명합니다. “좋은 전람회가 열리고 있는데 뭘 하느냐”고 평화신문 기자였던 이활 시인을 다그쳤으니까요. 이중섭에 대한 기사가 하나도 나오기 전이었습니다. 문화부 기자보다도 더 미술계 소식에 밝았고 안목이 있었던 김수영... 그런데 이중섭 화가가 김수영을 알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특히 두 사람이 서로 구수동 주민, 현수동 주민인지 알았는지는 더 모르겠습니다.

거북별85
김수영 시인의 안목이 대단하시네요 이중섭 화가를 챙기시는 걸 보면요~ 위대한 예술가는 뛰어난 예술가를 알아보는 능력도 있으신걸까요??
장강명 작가님의 더 많은 이야기들도 감사합니다^^
멋진동네에 멋진 사람들은 왠지 한몸 인거 같습니다~

사장님
서강도서관에서 작가님을 뵙고 싶었는데 벌써 마감이네요..ㅠㅠ 아쉽지만 오프라인에서라도 뵙겠습니다.^^!!

장맥주
아... 연초 첫 강연 행사라서 신청자가 많았나 봅니다. 다음에 또 인연이 닿겠지요? 아쉽지만 그믐에서라도 이야기 나누기를 기대하겠습니다. ^^

sol
친구와 마포에서 보기로 하고, 조금 일찍 나와 일부러 광흥창역에 내려 잠깐 거닐어봤어요. 와우근린공원도 보고, 서강도서관도 지나치고요. 모르고 다녔을 때와 확실히 느낌이 다르네요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