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에서 끊임 없이 대두되는 쟁점이다. 각종 범죄, 혹은 한국에서는 친일 행적 등이 확인된 '작가'가 만들어낸 '작품'은 어떻게 다루어져야 하는가? 개인적으로 분리할 수 없다는 입장은 명확하지만, 복잡한 문화예술 감상과 소비 등의 실타래를 어떻게 풀 수 있을지는 항상 고민이어서 집어들었다.
독서기록용_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D-29

청명하다모임지기의 말

청명하다
“ 투자배급사, 출판사, 미술관, 비평가 등 작품 창작자와 관객, 독자, 청중 사이를 매개하며 창작물과 창작자의 경제적, 상징적 가치 생산에 참여하는 문화 매개자들이 논란을 앞에 두고 창작자나 소비자 뒤로 물러나서는 안 된다. ”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15,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런 문화 매개자의 자리 중 하나로서 책임감을 느끼는 부분.

청명하다
실제로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행정상 이름과 다른 '작가명'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37,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일단 '작가'라는 정체성의 구성과 작품과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다룬다.

청명하다
작품 전집 출간이 저자의 공인과 정전화의 과정에서 중대한 단계를 구성하는 이유이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41,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저자의 세계 중 작품은 일부라는 관점에 대한 뒷받침과 그 인식의 빈틈을 모두 다룬다. 뒤에 나오듯 작가의 사후에 모든 저작들이 공개되었을 때서야 '전체'라고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 생전에는 저자가 스타일을 바꿀 경우, 자신임을 숨길 경우, 비공개 저작이 있을 경우 등의 변수가 많다.

청명하다
사상은 모두의 것이라는 원칙으로 인해, 그 재산권은 작품의 내용이 아닌 형식의 독자성에 국한되었다. 즉 형식이 저자라는 사람에게 귀속하는 것이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58,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작가와 작품 간의 관계는 재산권을 비롯해 문학과 관련된 재판 과정에서 규정되었다

청명하다
플로베르가 괴테에서 영감을 받아 프랑스에 들여온 저자, 화자 인물 구별은 근대 문학에 관례가 되었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61,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저자가 부르디외의 지도를 받은 프랑스 기반의 사회학자라 예시도 유럽권 주로 프랑스이다. 그래서 (노벨 수상자이자 논란이 많은) 피터 한트케, (역시 노벨 수상자, 자전적 소설) 아니 에르노의 이름이 등장하며, 작품을 알면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겠다.

관객모독실험적 글쓰기의 대가 페터 한트케의 초기 희곡. 1966년 초연 때부터 관객들의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고 오늘날까지도 널리 공연되고 있다. 한트케는 <관객모독>을 통해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문학의 가능성을 보여 줌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여자아이 기억2022년 노벨상 수상 작가 아니 에르노의 2016년 작품, 『여자아이 기억』이 소설가 백수린의 번역으로 출간되었다. 자신의 삶을 이용해 보편적인 이야기로 만든다고 강조해온 작가의 작품 세계 속에서도 ‘기억 속 사건’으로만 남아 있던, 마지막 한 조각 퍼즐을 담았다.
책장 바로가기

청명하다
이렇듯 작품과 작가의 유사성은 정도가 다양하지만 다소 투명하고 가정된 형태를 주로 취하며, 작품 외재적 요소를 활용해야만 결정할 수 있는 해석의 공간을 연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73,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시인이 추구했던 목적과 거기에 이르기 위해 사용했던 수단 사이에 간극이 있다고 판단했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81,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 미학적 역량을 지녔으며 우리가 2차적이라 말하는 거리 두기 접근을 할 수 있는 소위 교양 있는 독자와, 그러한 거리 두기를 할 능력이 없다고 상정하고 그렇기에 자신과 동일시하며 모방을 통해 행동하기 쉬운 독자의 차이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86,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그녀는 폴란스키의 영화를 검열하자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세자르가 그에게 수여한 상에 반대하여 항의했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100,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4장 권력남용은 1부의 작품-작가와의 관계 검토와는 별개로 '공인(公認)'에 대해 다룬다. 비인간적인 범죄자로서 작가와 그런 범죄를 형상화한 작품에 대해 '검열'이나 '불매' 차원이 아니라 '수상'과 '기념'을 반대하고 비판한다는 측면인 것이다. 적어도 범죄를 지지하는 기존 시스템을 바꾸어나가야 한다-어떻게 보면 온건파로도 보이는 입장을 볼 수 있다.

청명하다
많은 사상가들은 그들의 저작과 현실 참여 사이 일관성을 주장했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123,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 관계는 죄책감을 이론적 또는 문학적으로 승화하는 방식에 있어 가능성의 공간을 보여 준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139,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이 (기념) 기획은 상징자본을 경제자본으로 치환하게 해 주는 상징 재화 경제의 전형으로서, 관련된 문화 생산물 시장 및 문화 관광 시장을 활성화한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p.149~150,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청명하다
스승 부르디외의 관점이 잘 드러난 부분이다.

청명하다
결국 공론이 이론과 실제에서 법의 진화를 돕는 기능을 한다.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p.200, 지젤 사피로 지음, 원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