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D-29
이지유

바닿늘
아하! 그러면 글라라 님이라고 불러드리면 되겠네요??
뜻을 알고 나니 이름이 더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앞으로 잘 기억해두겠습니다!! ^^

박소해
@모임 @수북강녕
전설의 고향 예전 에피소드 기억 안나는 분들을 위해... :-)
https://namu.wiki/w/%EC%A0%84%EC%84%A4%EC%9D%98%20%EA%B3%A0%ED%96%A5/%EC%97%90%ED%94%BC%EC%86%8C%EB%93%9C
커피책
안녕하세요 커피책입니다!
그믐 모임은 이번이 두번째네요 (첫번째가 수북강녕님 연뮤클럽) . 첫모임이 너무 좋았어서 역시나
아직 낯설고 어색하지만 앞으로 너무 기대가 됩니다 !
책을 읽는 사람들과의 모임이라니.. 너무 낭만적이면서
멋집니다! 게다가 이번 책의 작가님들이 모임에
오셔서 무척 재미있을거란 생각이 드네여^^
커피책이란 이름은 제가 늘 생각해온게
제가 커피 관련 일을 하는 사람이기도 하고,
하루를 커피한잔과 함께 책 읽기로 시작하자! 가
저의 하루 목표인데,
실천해 오지 못했으나 이번 기회에 실천해 보고자
아이디를 이렇게 정해봤어요.
아 그리고 전설의 고향은 제 어릴적 최고의
프로였죠. 방송하는 날은 잠도 자지 않고
언니들이랑 동생이랑 이불덮고 눈만 빼곰히 빼고 봤던
추억의 시리즈물이였습니다.
다본 후 화장실갈때 꼭 동생을 불러 같이 갔던 기억이..
화장실이 먼것도 아닌데 ㅎㅎ
전설의 고향 이야기가 생각나는 것은 아닌데
마지막 부분이 늘 감동적이었던 것 같아요
문제가 해결되고 권선징악으로 착한사람이나 귀신(?)은 살거나 하늘로 가고, 나쁜 사람은 벌받는.. 나름 교훈적이었던 .. ㅎㅎ
귀신새 우는 소리 책을 구매했는데
표지부터가 심상치 않아 기대가 됩니다
앞으로 잘 읽고 잘 참여 해보겠습니다 !!

박소해
직업 + 책사랑의 결합이로군요~! 멋진 독서 모임이 될 것 같습니다. 🥹

무경
표지만큼 재미있는 책이길 바랍니다.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지유
커피책님 반갑습니다. 두 번째 그믐, 즐거운 시간 되시길요.^^

바닿늘
먼저, 제 소개를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도 모임이 너무 기대됩니다.
그리고 벌써부터 오고 가는 대화에~
시작이 좋다고 느낍니다!! ㅎㅎ
커피와 책은 너무 좋은 조합입니다!!
이건 어쩌면(??) 그믐에서 누릴 수 있는
하나의 혜택 일수도 있겠습니다.
(보통은 중복에 걸릴 것 같아서요. ㅎㅎㅎ)
계획하시는 목표 잘 이뤄내시길 응원하겠습니다. ^^
그러고 보니.. 전설의 고향..
저도 권선징악을 보기 위해 본 것 같기도 합니다. ㅋㅋㅋ
현대 버전으로 온 게 어쩌면 모범택시, 비질란테 같은..
류의 드라마 같기도 합니다. ㅋㅋㅋ
어쩌면 드라마 <악귀>도 그런 내용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요.
(맞나... 벌써 기억이 흐려졌습니다. ㅜㅜ)

물고기먹이
책 넘넘 잘 받았습니다! 서늘한 느낌 물씬 느껴보겠습니다 :D
이지유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김영민
책 감사히 잘 받았습니다 재미있게 읽겠습니다.^^

느티나무
책 잘 받았어요.
받자마자 절로 신이 나네요 !!
더운 날씨에 읽는 호러책은 언제나 옳죠 ~~~

화제로 지정된 대화

수북강녕
자자, 책이 준비되셨을 걸로 믿고! 이제 드디어 첫 작품을 읽어 보겠습니다
> 9.6~9.8 류재이 「금녀」
오늘부터 3일 동안은 금돼지 이야기를 읽습니다
(전설) 금돼지와 원
"강화도 철원군 김화읍에 전해 내려오는 설화로, 마을 사람들을 괴롭히는 금돼지를 고을 원이 기지로 물리친다."
「금녀」를 읽으면서 제가 궁금했던 점을 여러분께 질문해 볼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Q1. 일반적인 인신공희 신화는 괴물에게 '처녀'를 바치며 사회종교적 으로 '순결'의 상징성을 부각시키는데요
이 이야기에서 괴물은 '원님의 아내'를 데려갑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Q2. 박색이라는 이유로 아버지와 남편에게 버림받은 금녀는 동굴 커뮤니티에서 잠시 여성 연대를 이루는 듯 했지만 홍매와는 꼭 그렇지 못한 관계가 됩니다 금돼지와 금녀, 마지막에 등장하는 사내와 금녀의 관계 또한 가까우면서도 먼 관계가 됩니다 (스포일러 방지)
저는 금녀(金女? 禁女?)가 '동류(同類)' 없이 외로운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금녀와 가족, 금녀와 동족, 금녀와 다른 존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읽으셨나요?
✍️ 질문에 상관없이 읽으신 소감, 마음에 남은 문장, 어떤 내용이라도 편하게 나눠 주세요 :)
"그러다 버림받거나 죽으면 어떡하려고."
"버림? 다들 나를 데려가고 싶어 안달이던데. 만약 버림받으면 다른 사람보고 데려가라고 하면 되지. 아마 줄을 설 정도로 많을걸?" p.33-34
지니00
금돼지가 원님의 아내를 데려간다는 이유는 우월한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습니다!
금돼지는 본성만이 있는 금수라고 보여졌고, 아이를 가지는 것만이 목표인 것 처럼 보입니다. 원님이 선택한 여인은 마을에서 가장 뛰어난 여인이겠지요. 그래서 금녀가 아닌 정말로 원님이 사랑한 홍매를 데려간 것 같습니다.

바닿늘
오....
본성에 충실한 금수니까..
느낌적인 느낌도 탁월하겠네요. ㅎㅎㅎㅎ
류재이
@지니00 반갑습니다! 지니00님의 <'원님의 아내'를 데려간 이유가 우월한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서, 그리고 금돼지는 본성만이 있는 금수라고 보여졌고, 아이를 가지는 것만이 목표인 것처럼 보인다, 원님이 선택한 여인은 마을에서 가장 뛰어난 여인> 이라는 코멘트가 제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신 거라 놀랍습니다!! 사실, 홍매를 원님의 아내로 착각하고 금돼지가 데려간 것인데 이 역시 금돼지가 단순히 착각한 것일 뿐, 지니00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 정도 외양이 원님의 아내일 것이다라고 생각한 것이나 다름없겠지요!

바닿늘
금돼지 설화.. 전혀 몰랐습니다!! ^^
철원군 김화읍이면 제 고향인 포천과도 멀지 않은 곳인데 말이죠!!
(포천이 꽤 넓은 편인데 제 고향은 강원도에 가까운 포천이어서요.)
어떤 이야기인지 알아보려고 인터넷을 찾아봤습니다.
생각보다 이야기 구조가 단순하더라고요??
그리고 해당 이야기가 신라 후기 탄생 설화로도
이어지더군요.(바이럴의 위력이란....)
저는 일단 이번 <금녀>가 쉽진 않았습니다.
아직 훈련이 덜 된 측면이 있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다른 참여자분들의 참여와 류재이 작가님의 적극적인
답변 덕분에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간 것 같아요.
정말 고맙게 생각합니다.
그래도 질문에 답을 남겨볼까요?
Q1.
원님의 아내를 데려간 이유는 !!?
(위에 나온 말들의 컨닝이 반영되었지만..)
역시 느낌적인 느낌일까요..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 속 유오성의
대사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나는 한 놈만 팬다." 라는.... ㅎㅎㅎㅎㅎ
Q2.
금녀에 대한 직관적 생각은.. '금지'에 대한 느낌이
처음에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뒤늦게 든 생각은..)
"진짜... 나 빼고 다 했어..??" 요런 느낌입니다.
그런데 조금 더 여러 관점으로 이야기를 씹고 뜯고(??)
하다 보니 오히려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예전에 그믐 박장살에서 진행했던 양수련 작가님의 장편소설
<해피 벌쓰데이> 주인공이 떠올랐습니다.
스포일러가 될 수 있기에.. 말을 아끼긴 하겠지만~
결정적인 차이는 최악의 상황 속에 처했을 때
내 옆에 누군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너무 크다고 생각합니다.
금녀에게도 그런 이가 한 명이라도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소설을 다큐로 바꾸는..
몹쓸 생각을 덧붙이며~ 이쯤에서 줄일게요.
그래서 소감을 (이제 와서...) 짧게 줄여본다면..
"솔직히 어려웠다. 그래도 알아가는 과정이 즐거웠다!!"
이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이제 한 고개 넘어갔는데..
다음 작품도 만약 어렵게 느껴지면 그땐 제가
금돼지 모드로.. 돌변할 지도 모릅니다.
살려주십쇼. @이지유 작가님. ㅋㅋㅋㅋㅋ

수북강녕
말씀하신 부분, 다음 작품 발제에 백퍼센트 고려하겠습니다 :)
모임지기로 진행해 주신 <괘씸한 철학 번역> 책 이야기에서 '난해함을 뽐내지 않는' 부분에 대해 언급하셨었죠!
이지유 작가님 작품에 대해서도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무는 중이지만!
@바닿늘 님 금돼지로 돌변하시지 않도록, 이야기를 이야기 자체로 즐기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볼게요 ^^

바닿늘
백퍼센트!!!! ☺️
흐흐~~~ 점점 기대가 커져서 어쩌죠??
저는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한 걸 알기에..
솔직히 문학 작품 이해 못했다고 한 번씩
투덜거리고 나면 후회를 해요.
그런데 이렇게 말씀해주시니..
쬐끔은 더 해도 되겠다 싶기도 합니다. 😅
그런데.. 그건 분명히 있는 것 같아요.
저마다의 매력 포인트 라고 해야 할까요??
그래서 설명과 여러 해설이 곁들여지는
이런 모임에서 읽으면 더 의미가 깊은 것 같습니다.
류재이
@바닿늘 아고, <금녀>가 쉽지 않으셨군요...어렵게 느껴지신 것 같습니다!! ㅜ
Q1. "나는 한 놈만 팬다."ㅎㅎㅎㅎ그럴 수도 있겠네요. 위에 몇몇 분들께서 언급해주셨든, '원님의 아내'라는 상징성이 반영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님'은 한 고을의 수장으로서 '권위, 권력'을 상징하고 그의 아내는 수장의 아내로서 '가정을 지키고 돌보는' 느낌인데요...! 권위와 권력에 도전하면서 가정 자체를 무너뜨리기 위해 + @지니00님의 말씀대로 자신의 씨를 남기기 위해 나름대로 '검증?'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원님의 아내를 데려간 것으로 저는 설정을 하였습니다. 실제 설화에서도 원님의 아내를 데려갔고요....사실, 설화에서 차용했음이 제일 정확할 것 같습니다..
Q2. 제가 출판사측에 제출한 <금녀>의 제목은 원래 <금녀(金女)>였습니다. '금'처럼 반짝 빛나는 이름을 가진 금녀가 이름과는 걸맞지 않는 삶을 살아가면서 오는 반어적 효과를 노린 것이었는데요..! 하여, 바닿늘님께서 '금지'에 대한 느낌은 전혀 들지 않았다는 게 저로서는 맞게 느끼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금녀를 '금지'와 연관 짓지는 않았으니까요:) 밝고 빛나게 살 수 있는 여인의 삶이 이름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았고 중간 중간 다시 믿음을 키우려 했지만 되려 '금돼지'라는 존재와 또다시 얽히면서 비극적으로 삶이 이어지는 내용을 담고 싶었습니다.
양수련 작가님의 <해피 벌쓰데이>도 읽어봐야겠습니다! 사실, 금녀는 자신의 짚신에 '과거의 자신'처럼 산갈나무 이파리를 정성스럽게 깔아주는 아들의 정성을 보다 크게 봤더라면 든든한 버팀이자 위로가 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금녀는 끝내 자신의 곁에 있는 사람의 마음을 믿지 못했으니 아마 누구도 믿지 못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ㅜ
이지유 작가님의 <여우의 미소>는 어렵지도, 난해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제 작품만 그럴 것이니 전혀 걱정 마시고 남은 작품들 재미나게 즐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금돼지로 변하실 일은 없으실 겁니다! ㅎㅎ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