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이 미소하며 말했다. "그의 홀어머니가 외아들이 돌아오지 않자 폭포에서 떨어져 죽은 줄 알고 저 절벽 꼭대기에서 연못으로 투신했다지. 이선 마침 자네도 박 씨인데다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있으니까 조심하게." "그것참, 경치는 아름다운데 이야기는 음산하구먼. 민담은 민담일 뿐일세. 술이나 따르자고. ”
『귀신새 우는 소리』 p168,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이선이 피리를 불기 시작하면 용녀는 춤을 추었다. 백 결은 평소엔 냉담했지만 이선이 피리를 불면 눈빛이 달라졌다. 행복한 표정으로 이선 옆에 앉아 북을 쳤다. 그런 순간이면 이선은 흥겹고 즐거워, 이 오누이와 같이 천년만년 살아도 좋겠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홀어머니 걱정을 하지 않고, 서당 생각을 하지 않고, 맘 편히 피리나 불며 지내다 보니 살이 붙고 얼굴에 여유가 넘쳤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183,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두 번째로 이상한 점이 있었다. 면도를 하려면 잘 드는 칼도 있어야 하는데, 집안에 날카로운 칼이나 날붙이가 하나도 없었다. 잘게 채 썬 채소나 고기 요리가 나오는 것을 보면 분명 칼이 있을 텐데 집 안 어느 곳에도 칼이 보이지 않았다. '해괴하고 해괴하다. 손톱, 발톱, 수염이 전혀 자라지 않다니.' 이선을 깨달았다. 지금까지 신혼 재미에 홀려 망각했지만 이 집에서의 시간은 멈춰 있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187,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곁눈질하니 푸른 비늘로 둘러싸인 뱀의 몸이 꿈틀거리는 모습이 보이는 듯도 했다. 정신이 혼미해진 이선은 눈을 감았다. 열기가 몰려왔다. 피부가 불이 난 것처럼 뜨겁고 뜨거웠다. 온몸이 재가 되어 타들어 가는 듯했다. 그대로 그는 숨을 멈췄다. 이윽 고 암흑이었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215,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박살 난 문창호에 덕지덕지 붙은 부적 위로 핏자국이 시커멓게 튀어 글자를 읽기 어려웠다. 보는 것만으로도 피비린내가 훅 끼쳐오는 것만 같았다. 다른 고약한 냄새도 마구 풍겼다. 마당 구석에 파리가 잔뜩 꼬여 있었다. 파리는 목이 잘려 죽은 닭을 둘러싼 채 날고 있었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232,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그때야 어사는 시퍼런 남자 머리가 무엇인지 명확히 깨달았다. '저것은 창귀다.'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뒤 호랑이에게 지배당하는 사람의 혼령. 목소리를 꾸며 다른 이들을 홀려 호랑이에게 바치는 사악한 귀신. ”
『귀신새 우는 소리』 p238,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이방이 죽은 밤의 풍경이 선하게 떠올랐다. 온몸에 약 섞은 닭 피를 잔뜩 뿌려 피 칠갑이 된 채 홀로 어두운 산길을 걷는 이방. 돌연 눈앞에 나타난 커다란 호랑이. 향기에 홀려 맹렬한 눈빛으 로 덤벼드는 호랑이. 머리에 박히는 날카로운 송곳니. 사방으로 튀는 피와 살점. 그르릉거리는 울음소리와 제 몸과 머리가 박살 나는 소리. 그걸 들으며 웃음을 멈추지 못하는 이방. 그래, 이거다. 나는 이렇게 죽고 싶었다. 나는 드디어 천하에서 제일가는 권세를 얻는다! 고통보다 더한 환희를 느끼며 호랑이의 앞발로 서서히 빨려드는 혼령. 그렇게 이방은 창귀가 되었으리라. ”
『귀신새 우는 소리』 p258,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총을 내려놓으며 형이가 나직이 한숨을 쉬었다. 어사는 형이의 머리를 쓰다듬었다. "처음은 보통 총알, 그 다음은 요괴를 물리치는 총알로 장전했구나. 지시대로 잘해주었다." "헤헤" 형이가 웃었다. 관아에 밝은 빛이 들었다. 드디어 산 너머에서 해가 모습을 보였다. 햇빛은 어사와 형이와 사또, 호랑이의 사체를 내리비추었다. 빛 아래 산 자와 죽은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262,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큰 소동이 일어날지도 몰라서요." "큰 소동?" "사실 그 이야기 하려고 온 거거든요." "무슨 이야기?" 달래가 꽃님이의 귀에다가 소곤거렸다. "반쪽이가 온대요."
『귀신새 우는 소리』 p280,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이야기 속 죄지은 사람은 꼭 벌을 받은 것처럼, 산돌도 벌을 받았다. 잠만 자면 다리 하나 없는 산송장이 "내 다리 내놔" 외치며 기어오는 것이다. 다만 벌은 산돌만 받은 것이 아니었다. 꽃분도 벌을 받았다. 반쪽이를 낳은 것이다. ”
『귀신새 우는 소리』 p283,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반쪽이가 온쪽이에게 말했다. "좀 더 이야기를 하고 싶지만 때가 되었어. 귀졸 노릇이었지만, 잠깐이라도 한 몸이었던 너와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았네.
『귀신새 우는 소리』 p307, 류재이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전설을 바탕으로 6명의 작가님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보면서 책에 나온 인물들을 상상해보기도 하고 제가 주인공이면 어떤 선택을 했을지 고민해보면서 책을 읽었어요 !!
이지유
@느티나무 님, 대미를 장식해주셔서 감사드려요. 어디선가 또 뵙기를요. 추석연휴 잘 보내세요!:)
느티나무
너무 늦게 참여해서 죄송해요 ㅜㅜ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게요 ~~ 이지유 작가님도 추석연휴 잘 보내시구 맛있는 음식들 많이 드시면서 쉬시길 바랄게요 !!
만렙토끼
으아아..진짜 질문 답 올리다가 잘못해서 날려먹었어요...절대 12시 전까지 마감 못할거같아서 일단 보관 돌려두고 다시 작성중입니다!
https://www.instagram.com/p/DPT3nklko52/?igsh=MXV4dDFlZHZlMXAwMA==
링크는 내일 느지막히 놀러오시면 멀쩡히 올려져있을 것 같네요! 연휴가 깁니다. 다들 풍성한 명절 보내시고 건강조심하세요! 저는 밀린 일들을 처리하고 남은 4분기는 좀 느긋하게! 책을 읽는게 목표입니다ㅎㅎ 그래서 다른 모임에서 또 뵈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용! 다들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