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개인정보에 한국보다 민감하다. 그게 비록 국가기관이라도.
마녀와의 7일
D-29
Bookmania
Bookmania
꿈
“꿈은 무슨? 그냥 사는 거지.” 하지만,
인간은 뭔가 할 게 없고 그로 인해 무기력해지면
자기가 바라는 지금도 행복하지 않다.
느끼지 못한다고 해도 지금 자신이 사는 건
가슴 한구석에 뭔가 할 게 남아서 그런 것이다.
아무것도 할 게 없는데 어떻게 사나.
알아서 척척 잘하는 자식보다 뭔가 걱정을 끼치는 자식이
연로(年老)한 부모에게 결국 더
효도하는 것이라는 말도 있지 않나.
그 부모는 자식을 위해 아직은 뭔가 할 게 남은 것이고,
자식 걱정으로, 맘대로 죽을 수도 없는 것이다.
알고 보면 꿈은 무조건 큰 것만이 아니고 지금 내게
활기를 불어넣는 것이면 충분하다.
실은 이것 때문에 꿈을 꾸는 것이다.
지금을 활력 있게 살려고.
뭔가 희망(꿈)이 있으면 확실히 지금이 행복하고
생기가 인다. 얼굴에 화색(和色)이 도는 것이다.
인간의 굴레이고 한계다.
인간은 동물처럼 본능에만 의존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사회를 아직 모르고 철모를 때는 꿈을, 부모가
가르쳐 준 대로 꾼다.
사회적 성공이나 출세를 꿈이라고 여기고
그걸 위해 삽질한다.
부모가 자식에게 바라는 건 그저 편히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고 가능하면 군림(君臨)하며
살기를 바랄 뿐이다.
그런데 인간은 제각각이라 사람 위에 군림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인간이 있고, 차라리
그 밑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인간의 지시만을 따르는
마조히스트(Masochist) 기질의 인간이 있고,
(그래서 독재자(Despot)들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저 평범하게 사는 게 싫어
독고다이로 단독자(單獨者)로 밀고 나가는 인간이 있다.
그러니 진짜 자기 꿈을 펼치려면 부모가
하라는 대로 하지 않고
정반대로 해야 한다는 말도 있지 않나.
청개구리 심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는 자식이 오로지 고생 안 하고 무탈하게 무난히 살기만을
바라기 때문이다.
그런 자세로 어떻게 자기 꿈을 펼칠 수 있겠나.
물론 인간 세상에서 다 같이 추구하는 것을
나도 함께 추구할 수도 있다.
그런데 아직은 자신을 잘 모를 때 만들어진 꿈은
결국 이루어도 행복하지 않고 나중에 후회하는
지경까지 이를 수 있다.
뭔가 남의 옷을 입은 것처럼 불편하고 어색하다.
자기의 타고난 개성과 기질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꿈의 형태로 사회적인 성공도 좋지만, 추상적인 개념을
추구하고 그걸 향해 가는 것도 좋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자기만의 꿈을
창조(Creation)하는 것이다.
나만의 정신세계의 틀을 완성해보겠다, 같은 것.
나도 하나, 내 생각의 틀도 하나, 이렇게.
누구나 다르기에 불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그런데 완성은 없고 계속 완성하는 과정으로 생을
수놓는 것이다.
그건 이승에 없을 수도 있어 결국 이루진 못해도 그걸
자기 지향점 삼아 살면 꿈을 이룬 것에서 올 수 있는
허무함을 피해갈 수도 있다.
자기를 잘 몰라 남들이 가는 방향으로 가서 이뤘지만
“내가 바란 건, 이게 아닌데.” 하며 뭔가 부족함을 느끼면
그건 진정한 자기 꿈이 아닐 수도 있는 것이다.
후회만 밀려오고 지금까지의 생이 아깝다는
생각만 드는 것이다.
그냥 다수가 추구하는 것을, 생각 없이 따른 결과다.
꿈을 이루려면 우선 자기를 알고 자기 기질에 맞는 것을
골라 그걸 행해 가면 아마도 현실에서도
행복하고 활력 넘치게 프라이드를 갖고 살 것이다.
꿈
실제 인간은 꿈이 없으면 살지 못함
우선 자기 알기
나름의 깨달음 없이 다수 따르지 않기
자기 기질에 맞게 꿈꾸기
그래야 꿈을 다 이뤄도 허무하지 않고 현재, 진정한 행복 누림
Bookmania
일본도 이중삼중으로 문을 잠근다.
Bookmania
일본은 불륜이 많은데 그래도 섹스리스가 그렇게 많다고 한다.
Bookmania
여자에게 아름다운 시절은 15년 정도밖에 안 된다.
Bookmania
일본인은 어린 애들에게도 사과를 잘한다.
Bookmania
부역장은 부역장끼리, 차장은 차장끼리 뭔가 라이벌 의식이 있다. 그런 그 윗대가리는 공평하게 대해야 한다. 안 그러면 사람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Bookmania
오늘은 너무 매가리가 없다.
Bookmania
왜 이렇게 지루하고 시간이 안 가냐?
Bookmania
한 40분 자니까 훨씬 낫다.
Bookmania
전엔 변소에서 쪼그려 앉는 화변기가 좋았는데 이젠 양변기가 편하다. 서양식으로 몸이 변하고 있다. 그리고 방바닥에 앉을 때도 의자가 앉는 것이 양반 다리로 앉는 것보다 편하다. 서양식으로 변하고 있다. 양반 다리는 이제 불편하다.
Bookmania
동병상련
인간 사회에선 결국 좋은 뜻이 있어도
그걸 밀고 나가기가 쉽지 않다.
대부분은 그렇게 살지 않기 때문이다.
거대 조직에서 그 비리를 파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그는 순수한 내부고발자가 아니라 배신자로
낙인찍혀 그 조직에서 배기기 힘들어지게 된다.
그 배기기 힘은 것은 바로 생활이다.
이 생활이 이상(理想)보다 대개는 오래 가고 일상이다.
무슨 이유에선지 인간 사회에서 그 비리를 파고
정의를 지키기 위해 현실을 고통 속에서 버티면서
그 신념을 지키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드물다.
그러면서 그걸 간파하고 곁에서 응원하는 사람들이
자신처럼 소수지만 또 있다.
자기와 비슷한 것을 눈치챘기 때문이다.
자기 과(科)인지 금방 아는 것이다.
우연히 해후(邂逅)하면 기쁘고 반갑다.
지금은 한국 사람이 외국에 많이 나가 있어
그런 게 별로 없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외국에 나가는 게
드물어 거기서 혼자 서러움을 겪을 때 한국인을 만나
그걸 달래는 것하고 비슷하다.
서로의 어려움 잘 알기에 서로 돕는다.
아무 한국인하고도 대화가 통한다.
거기서 서로를 지지하고 응원하고 격려한다.
하여간 다른 많은 사람 중에 자기만 가진 것을
흔하는 않은 남이 가진 것을 보고 그를 돕는다.
사심(私心) 없이 진심으로 돕는다.
이게 유유상종이고 동병상련이다.
그러면서 서로의 신념, 나와 같은 그의 뜻을
지지해 주는 것이다.
그러는 것 자체가 자신을 돕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뭉치는 건 같이 같은 곳을 향해 가는 것,
정치를 하는 것이다.
자기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을 규합해 서로
도우며 힘을 합해 밀고 나가는 것이다.
삼풍백화점, 세월호나 이태원 참사 유족들이 잘 뭉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인간은 겪지 않으면 상대를 이해하기 힘들다.
인간 사회에서 자기와 뜻이 같은 사람들을 찾아
그들과 함께하면 서로 덜 힘들고
자기의 신념을 관철하기 쉽다.
같은 가치관과 생각을 가진 사람이
같이 이 세상에서 호흡하고 있다는
그 느낌만으로도 힘이 나는 것이다.
소수의 좋은 신념과 생각을 가졌다면
자기와 비슷한 인물을 찾아 그와 대화하고 생각을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힘이 나고 자기의 좋은 뜻을
더 힘차게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런 게 인간 사회에서 통하고 유용한
유유상종(類類相從)이고 동병상련(同病相憐)인 것이다.
Bookmania
부정적이지만 자기의 솔직한 심정을 기록해야 뭔가 더 글에 힘이 들어간다. 좋은 말만 쓰면 거짓말하는 것 같아 글에 힘이 좀 빠진다.
Bookmania
우리는 타인에게 악이고 죄인일 수 있다
장 폴 사르트르가 말한 대로 타인은 지옥으로
내게 있어 악(惡)이고 죄인일 수 있다.
왜 그런고 하니,
타인은 내가 아니기 때문이다.
타인도 내가 그 타인이 아니다.
인간을 다 이해하긴 불가능하다.
인간은 우선 자기 위주다.
자기가 여유가 있어야 남을 보고 돌보기도 한다.
우선 자기부터 챙긴다.
어떤 타인이라도 남에 대한 걱정으로 밤을 새우는
법은 없다.
지새우는 이유는 결국 자기 걱정을 걱정해서
그런 것이다.
자기부터 걱정에서 벗어나야 남에 대해 생각한다.
그 남이라는 것도 실은 자기와 비슷한 뭔가를
그 대상이 갖고 있어 그런 것이다.
자기와 너무나 다르면 그는 자기 걱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고 이웃 인간보단 차라리
나무와 같은 무감정물을 자기와 비슷한 처지라고 생각해
곁에 있는 인간에게서 느끼지 못하는 비슷한 것을
그 나무에게, 또는 강아지에게 이입(移入)하기도 한다.
이러니 같이 사는 타인은 지옥이고 내겐 악이고
죄인(罪人)일 수 있는 것이다.
그 타인에겐 차라리 내가 바라는 대로 피해나 안 주면
다행인 것이다.
타인은 나를 전혀 모르는 지옥으로 여겨 해를
안 입히기만 해도 인간 현실을 그나마 잘 살아가는 것이다.
생각은, 그를 없애고 싶지만 차마 안 그러는 것이다.
그도 나와 같이 나를 지옥, 악, 죄인으로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그를 그렇게 생각하는 것처럼.
서로가 서로에게 지옥이다.
자기도 남에게 악이고 지옥일 수 있다, 충분히.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내게 악인 그가 나에게
손해만 안 입히면 되는 것이다.
내가 그에 대해 함부로 이해 불가인 것처럼
그도 나를 이해 불가하다고만 생각해 줘도
고마운 것이다.
그건 어쩌면 자기처럼 남도 존중해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자기 생각이 옳다며 내게 주입하려고만 안 해도
그냥저냥 그를 존중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다 나와 다르기 때문에 그걸 전제로
내 생각을, 내 주장을 맞추라고 하면 안 된다.
상대의 생각도 나처럼 소중하다.
인간 사회에선 다 다르다는 다양성과 그 기준이나
가치가 고정불변하다는 절대성이 아닌
상대성만이 진리이다.
그리고 누구나 자기 편견과 선입관 속에서 살아간다.
이것만 알아도 남에게 적어도 해를 입히진 않는다.
Bookmania
나는 작가로서 예민하기 때문에 남이 하는 함부로의 말에 민감해서 그에 대한 글을 쓴다.
Bookmania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그게 어떤 큰 의미로 일어난 것처럼 계속 이야기를 전개하다가 결국 그건 별것 아닌 일로 인해 일어난, 반전을 꾀하는 소설이 있다. 이땐 허탈하다. 독자를 갖고 논 것인가, 독자를 마구 휘두른 것인가, 속인 것인가. 하긴 세상엔 별 거 아닌 일로 일어나는 게 대부분이긴 하다.
Bookmania
주민번호
외국은 개인정보를 중히 여겨
주민등록번호 같은 게 없다.
우리나라의 주민등록번호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주 이상하게 생각한다.
왜 그걸 허용하느냐고.
그런데 우리가 허용하는 건 박정희 독재가 그렇게
만들어서 할 수 없이 편하니까 그냥 쓰는 것이고,
우리나라는 땅이 좁아 조금만 거치면 다 관련이 있는
인간들이다.
그러니 나 외에도 다른 인간을 믿을 수 있어 그런 것이다.
흘린 남의 물건을 안 가져가는 것도
범인이 쉽게 잡히므로 그런 것이다.
외국처럼 도망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잡혀 망신당하느니 안 가져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는 건 거의 단일민족이라 그런 것이다.
Bookmania
개인 원한이나 그런 게 아니라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국가가 죽인 것이나 다름없다.
Bookmania
그냥 아무 사심 없이 글을 읽어보자.
Bookmania
나처럼 작가는 한계 뛰어넘는 소릴 잘한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