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 대목 읽고서 '앗!' 했잖아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
D-29

YG

도롱
덕분에 후주에 있는 아일린의 시, ‘세기말, 1984’를 읽어보았어요. 아일린의 재능이 묻힌 것이 아쉬워요!

YG
“ 변기가 역류해 앉는 자리며 화장실 안에 오물이 온통 넘쳐흐르자, 오웰은 자신은 그 상황에 대해 그냥 아무것도 못 하겠다고 했다. (그의 건강이 좋지 못한 건 사실이었지만, 누군들 그런 상황에서 상태가 좋았을까 싶다.) 배관공을 부를 돈은 없었다. 아일린은 오웰의 방수 장화를 신고 정원용 장갑을 끼고 양동이를 들고 그 일을 해냈다. 그건 정말이지 노라에게는 말할 수가 없다. 오빠에게도. 리디아에게도. 말하지 않음으로써 오웰을 보호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건지, 아일린은 알 수가 없다.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81쪽,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꽃의요정
본인의 유전자로 태어난 아기의 '똥기저귀'는 도저히 못 갈겠다는 아빠들이 생각나는 대목이네요~남자분들이 비위가 더 약한 걸까요?

YG
@꽃의요정 사람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라고 변명해 봅니다.) 저는 제가 다 갈았어요. 심지어 예사로 손으로 닦는 걸 보고 같이 여행 갔을 때 여동생이 "안 더러워?" 하면서 신기하게 보더라고요. 하하하! (정말 우리 집 식구들은 엄마, 여동생 다 제가 작은 동거인한테 지극 정성인 거 보면서 저런 게 '유전자의 힘'인가? 하고 놀랍니다. 저는 원래 아이라면 질색이었거든요. 아, 조카는 예뻐하긴 했었습니다만.)

stella15
이 글 읽고 처음엔 좀 충격을 먹긴했는데 생각해 보면 이런 사람 많지 않나요? 뭐 화장실 변기까지는 아니어도 집에서 꼼짝도 안하는 사람. 요즘엔 좀 덜한 것 같긴하지만, 암튼 꽤 있어요. 그나마 오웰이 시대를 잘 타고 났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요즘에 태어났으면 오웰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이렇게 사생활은 문란과 무능력인데 평생 파시즘과 싸웠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네요.
근데 글은 정말 잘 쓰는 거 같아요. 왜 몰랐지...? ㅎㅎ 그래서 사람을 평가할 땐 공과를 나눠서 보라는 말도 있잖아요. 근데 또 그런 말도 있어요. 내 가까운 사람도 챙기지 못하면서 무슨 인류를 위한다냐고.

꽃의요정
저야말로 이중적인 태도를 너무 많이 취해서...조지 오웰을 욕하지만은 못하겠어요. 제 모든 진실을 까발리면 가정파탄이 나기 때문에 여기까지만...ㅎㅎ
아직 범죄 수준의 행각까지 안 읽어서 그런 거 같네요.

새벽서가
제가 새벽 출근 길에 이 부분을 들었는데, 순간 짜증이 확 나면서… 차선 바꾸기를 계속 하는 앞차에게 오웰같은 “🐥끼“ 라고 저도 모르게 욕을… ㅠㅠ

stella15
그러니까요. 아일린이 변기 뚫어주러 자기한테 시집 왔냐고요? 요즘 같으면 조지 뼈도 못 추스렸죠. 조리돌림을 당해봐야 정신 차리는! ㅎㅎ

새벽서가
제 말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맨 뒤에 후주를 보면 전문을 읽어볼 수 있어요. 여러분! 가끔 심심할 때 후주를 살펴보세요. 상당히 유용한 자료와 논평이 많이 있습니다. :)

향팔
후주는 추가 내용이 궁금할 때만 열어보는데, ‘검은 상자’의 20번 주석도 재밌더라고요. (아일린을 보는 실비아 톱과 애나 펀더의 시각 차이!)

Nana
저도 그 부분이 많이 흥미로웠어요. 같은 자료로 이리 다르게 해석하다니요. 레베카 솔닛도 이 자료를 알고 있었을 텐데 오웰의 장미에서 아일린에 대해서, 젠더 문제에 관해서 약간의 언급외에는 별다른 문제제기가 없었다는 것이 놀라웠는데, 좋아하는 작가에 대한 마음이 해석에 영향을 줬을까요.

YG
@Nana 리베카 솔닛이 "시대적 한계"라고 언급하고 넘어간 대목을 애나 펀더는 집요하게 파고든 거라고 생각했어요. 솔닛은 팬심을 극복하지 못했거나 혹은 굳이 안 하려고 했던 것 같고요. 펀더도 분명히 솔닛의 작품도 읽었을 텐데, 아예 언급을 안 한 것도 유명한 에세이스트인 솔닛과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기 위함이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Nana
맞습니다. 팬심으로 이해하려면, 혹은 팬심으로 덮어버리려면, 인간은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거겠죠. 추천하신 ‘작가와 작품을 분리할 수 있는가?‘ 가 너무 관심이 가지만 읽기 힘들 것 같아서 망설여집니다… (YG님이 경고하신 거 보면 )
2025 젊은 작가상 수상집에서 본 ‘길티 클럽; 호랑이 만지기‘ 생각도 나더라고요. 읽고 있는 ‘복미영 팬클럽 흥망사‘ 도요.

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한국문학의 새로운 미래를 함께하고자 2010년 제정된 젊은작가상이 올해로 어느덧 16회를 맞이했다. 데뷔 십 년 이내의 젊은 작가들이 한 해 동안 발표한 소설 가운데, 지금 여기에서 창발하는 문제의식을 가장 예리한 시선으로 포착해낸 작품에 주목하고자 한다.

복미영 팬클럽 흥망사<현대문학 핀 시리즈> 쉰다섯 번째 소설선. 문화공간 ‘동네북살롱’에서 자신의 팬클럽을 만든 ‘용맹하고 경솔한’ 복미영이 그녀의 1호 팬으로 낙점된 김지은과 함께 자신의 안티 팬 ‘멍든 하늘’을 위한 역조공 이벤트에 나서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 소설이다.
책장 바로가기

borumis
여권운동가이자 Men Explain Things to Me의 작가인 솔닛이 이런 것을 시대적 한계로 넘어갔다니 놀랍네요. 하긴 그 책 자체에서도 이 책은 조지 오웰의 전기가 아니라고 처음부터 못박고 들어가긴 했죠.

새벽서가
둘의 관점(?)이 다른 걸 보면서 이래서 같은 주제나 인물을 다뤄도 여러 사람의 글을 읽어야하는구나 하고 새삼 느꼈어요!

꽃의요정
조지 오웰 좋아하는 분들이 제 주변에 많은데...이 책 얘기하면 "이건 음모야!!!"라고 울부짖을 거 같네요 ㅎㅎ

연해
저는 향팔님 덕분에 '검은 상자' 20번 주석을 찾아 읽어봤어요. 어마어마하(게 화가 나?)네요(하하하). 표현을 이렇게 하다니? 싶어서. YG님 말씀처럼, 앞으로는 후주도 꼼꼼히 살펴 읽어야겠다 싶습니다.

롱기누스
와... 후주를 보는 이런 맛이 있었네요. 역시 벽돌책에서는 배우는 것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