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함께하고 싶어 신청합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
D-29
우물

챠우챠우
매번 눈팅만 하다가 지난달 처음으로 벽돌책읽기에 도전했고, 크루분들과 @YG 님 덕분에 완독을 했습니다. YG 님이 이끌어주시는 독서모임은 배경지식도 충분히 알 수 있고, 가지치기 독서도 할 수 있고 여러모로 유익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지난 모임에서 추천해주신 <아인슈타인의 냉장고>를 읽고 있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책이라고 추천해주셨는데, 물리학관련 책을 안 본지 너무 오래되어서 이것도 어렵긴 하네요.
이번에는 진도표도 뽑아서 붙여놓고 열심히 따라고 보려고 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챠우챠우
아 그리고 부끄럽지만 저는 조지 오웰 의 작품 중 <나는 왜 쓰는가> 만 읽다가 말았고 소설은 하나도 읽지 않았습니다. 이번 모임 후 읽어보면 더 재미있을까요?

YG
@챠우챠우 님, 반갑습니다. 제가 조지 오웰 작품 중에 제일 좋아하는 건 소설이 아니라 오히려 『나는 왜 쓰는가』와 『위건 부두로 가는 길』 등에 묶인 에세이라서 오히려 반가운데요? 이참에 조지 오웰과 아일린의 내밀한 흔적을 접하신 다음에 소설 등을 읽으시면 더욱더 이해가 깊어지리라 생각됩니다.

씩씩한
안녕하세요. 벽돌책 읽기모임 처음 함께 합니다. YG소개로 알고는 있었는데 바쁘다며 이제서야. 부지런히 같이 읽어 보고 싶습니다.
어제 읽으면서는 글의 전개방식이 독특해서 흥미로웠네요. 에일린의 이야기를 주욱 적을 줄 알았더니, 글쓴이의 이야기와 교차하며 쓸 계획인가 봅니다. 에일린과 글쓴이. 글쓴이와 독자가 같이 하는 한 달이 되겠어요. 기대됩니다. ^^
문장수집으로 모은 글들, 제가 읽으며 머물렀던 곳들이 많아요. 다른 사이트와 달리 '좋아요'가 없다는 걸 새섬 님의 팟캐스트를 통해 들었는데도, 문장수집에 '좋아요' 누르려고 찾았네요. 이런이런...

YG
@씩씩한 님, 환영합니다! 이번 달에는 읽기에 부담스러운 책도 아니라서 틈틈이 함께 하셔도 충분히 즐겁게 완독하실 거예요.

YG
@새벽서가 반갑습니다. 앞으로 읽으면서 확인해 보겠지만, 실제로 아주 심각한 문제가 있었더라고요; ㅠ. 앞으로 함께 읽고 토론하고 그래요!

새벽서가
심각한 문제…. ㅠㅠ
일단 금요일 진도표까지 맞춰 들었어요. (영어판 오다오북이 동네 전자도서관에 있어서 출퇴근길에 들었는데, 아직까진 흥미롭습니다. 아일린과 러시아계 친구가 만난 부분까지 듣고 작가가 어떻게 보지 오웰의 아내에 대해서 글을 쓰겠다 마음 먹었는지 배경이 언급되었는데, 저도 두 아이 출산라고 육아하면서 경험했던 감정들이라 공감이 많이 되더군요. 앞으로 오웰에 대해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걱정스럽습니다.

YG
저는 오늘 읽을 분량 읽으면서 장기 좀 발휘해 보았어요. 아일린의 친구 리디아의 존재는 이 책에서 처음 접하신 분이 많으시죠. 저도 같은 처지라서 리디아에 대해서 파봤습니다.
*
리디아 잭슨(1899~1983)의 본명은 리디아 비탈리예브나 지부르토비치(Лидия Витальевна Жибуртович). 1899년 러시아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나 혁명 이후 1925년 영국으로 이주했습니다. 192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법학 강사였던 리처드 메러디스 잭슨과 결혼했다가 1936년 이혼합니다. 이 과정에서 결혼으로 영국 시민이 되었습니다.
영국에 정착하고 나서 1949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아동 심리학자로 명성을 쌓았습니다. 특히 놀이 치료(The Therapy of Play)의 권위자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안톤 체호프의 희곡을 포함한 러시아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했고, 자기의 러시아 경험을 담은 『A Russian Childhood』(1961), 『A Girl Grew Up In Russia』(1970)도 발표했고요.
그와 이른 결혼을 했던 리처드 메러디스 잭슨(Richard Meredith Jackson, 1903~1986)도 영국 법학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학자였나 봅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연구했고 특히 1940년에 처음 펴낸 『The Machinery of Justice in England』는 현재까지 개정판을 거듭하면서 영국 법학도의 필독서라고 합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의 2015년 판 확인.)
*
리디아와 아일린은 1930년대 초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에서 함께 심리학을 공부하며 처음 만나서 우정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책에서 언급하듯이, 리디아는 아일린과 조지 오웰의 결혼에 반대했습니다. 특히 총명하고 재능 있던 아일린이 오웰과의 결혼을 통해서 그에게 속박당하는 게 안타까웠겠죠.
리디아는 1960년 8월 「George Orwell's First Wife」라는 글을 잡지 <The Twentieth Century>에 발표해서 조지 오웰 뒤에 가려진 아일린의 삶을 조명하고, 오웰의 작품에서 그녀의 기여를 재평가하길 촉구했죠. 그러니까, 리디아는 애나 펀더가 지금 하고 있는 작업의 선구자인 셈이죠.
*
참고로, 조지 오웰은 무슨 생각인지 리디아에게도 계속 관심을 보이면서 지분거려요;

stella15
조지 오웰 그렇게 안 봤는데 거참 꽤 거시기하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디아와 아이린은 계속 사이가 좋았던가요? 여자의 적은 여자라면서 둘이 앙숙이 되지는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며칠 전, 영화 <프리다>를 봤습니다. 프리다 칼로의 전기 영화. 남편 디에고가 바람기가 있다는 걸 알고 결혼했지만 다른 건 다 용서해도 자기 여동생과 붙어 먹은 건 용서를 못해 결국 이혼하잖아요. 그래서 예술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건 고려 대상이긴 한 것 같습니다. 건전하게 사는 사람도 없진 않겠지만.
솔직히 영화는 객관적으로는 잘 만들었다고 인정은 하겠는데 저 개인적으론 그다지 추천은 못하겠더군요. 좀 퇴폐적인 장면이 의외로 많이 나와서. ㅋ
오늘 조지 오웰의 <나는 왜 쓰는가>를 앞에 조금 봤는데 좀 흥미로웠습니다. 에세이라곤 하지만 약간 소설 느낌도 나고. 요런 에세이 좋아하긴 합니다. 근데 왜 조지는 가난한 사람에 대해 천착했을까요? 전엔 그게 별로 궁금하지 않았는데 새삼 궁금해졌습니다. 아이린이 과연 이런 조지를 순순히 받아들였을까도 궁금하네요.

새벽서가
살마 하이엑 주연의 영화요? 전 멕시코 시에 살 때 프리다 박물관을 종종 갔었는데, 한 사람의 인생이 저렇게까지 기구해도 되나 싶고… 차은우정도 생긴 것도 아니면서 대체 그 얼굴에, 그 몸매에 바람은 어삐 그리 자주 핀건지 희한하기도 하고… 암튼 그랬습니다. 쩝~

stella15
그러게요. 프리다 박물관도 있군요. 영화 객관적으론 잘 만들었어요. 혹가다 좀 난잡해서 그렇지. 전 프리다가 평생 불구의 몸으로 살았던 것으로 아는데 영화에선 그렇게 심한 불구로 나오지 않아 실제로 그런가 아니면 감독의 해석인가 잘 모르겠더라고요.

새벽서가
저는 영화에서는 프리다의 신체적 결함이나 고통이 거의 표현을 안한 것처럼 느껴지더라구요. 일단 어릴 때 소라마비를 앓아서 한쪽 다리랑 발이 얆기도 하고 다리를 절게 했다고 하는데, 전차 타러 갈 때 뛰어가서 올라타지 않았던가요? (영화 출시되자마자봐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전차사고 이후에는 수술도 서른번 넘게 하고 서고로 된 코르셋(?)같은 장치로 척추가 버틸 수 있게 도와주고, 나이 들어서는 다리도 한쪽 절단했던 걸로 알고 있어요

롱기누스
맞습니다. 저도 영화를 봤는데, 참... 디에고는... 참... 대단했더라구요... 영화에서 표현된 것은 그나마 순화되고 알려진 것이었을 텐데 말이죠... 영화를 보기 전에는 왜 프리다가 디에고를? 말도 안돼... 프리다의 순정, 모성애 뭐 그런거가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영화에서는 크게 부각시키지는 않았지만) 프리다도 결국 디에고의 명성이 필요했던 것을 알고서, '아.. 그래... 그랬구나. 그래서 그 많은 바람기를 참을 수가 있었구나... ' 싶더라구요.

새벽서가
서로 취한게 있고, 공생관계같다는 생각은 했지만… 그래도 디에고는… 하아… ㅠㅠ

향팔
와, 새벽서가님 멕시코에도 계셨군요? 프리다는 보고 싶었던 영환데 아직도 못 봤어요. (그러게요, 유명 예술가는 몬 생겨도 언제나 인기가 많은 것 같더라고요. 하하;)

새벽서가
네에. 멕시코 시티에서 6개월정도, 과달라하라에서 일년 있었습니다. ^^

오구오구
영화도 있군요. 전 프리다 칼로 , 다큐를 봤었는데.. 둘과의 관계가 흥미롭더군요

프리다 칼로She was a prolific self-portraitist, using the canvas as a mirror through all stages of her turbulent and, at times, tragic life. This highly engaging film takes us on a journey through the life of one of the most prevalent female icons: Frida Kahlo. Displaying a treasure trove of colour and a feast of vibrancy on screen, this personal and intimate film offers privileged access to her works and highlights the source of her feverish creativity, her resilience and her unmatched lust for life, men, women, politics and her cultural heritage.
책장 바로가기

stella15
오, 다큐도 있군요. 그녀의 인생은 너무 유명해서요. 그래도 책은 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은 했어요. 다큐도 좋겠네요.

바나나
나원참...와이프 친구한데 지분거리다니, 사람 참 그렇게 안봤는데...ㅡ.ㅡ;;; 첫날부터 위기입니다. 제 사랑이 식어가는 한달 예상되어요.흐하하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