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어이쿠야...그 정도일 줄은 몰랐는데....제가 아직 그 부분까지 안 읽어서 모르겠지만, 벌써부터 실망지수 많이 올라가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
D-29

꽃의요정

stella15
헉, 정말요? 충격적이네요. 저 이책 여기서 예습하고 후에 천천히 읽으면서 복습하겠다고 했는데 여기서 뒷목잡고 복습 못할 것 같네요. ㅠ 함께 읽는 동안 조지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바꿜 것 같습니다. 딱히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가 20세기 지성사에 남을만한 인물이었는데 작가와 작품을 분리시켰으니까 지금까지 살아 남 을 수 있었겠죠? 그렇다면 애초에 그런 질문이 가능할 것 같지 않네요. 작가와 작품은 분리가 되는가 봅니다. ㅋ

새벽서가
아무리 부부나 커플의 일은 당사자들만 아는거라지만 객관적으로 봐도 대체 아일린은 어떤 생각/마음이었던걸까 싶네요

새벽서가
저도 이해를 하려고 노력해봐도 안되서 이 여자는 누군가를 구원하고 싶은 욕심이나 병이 있나 싶었어요. ㅠㅠ

롱기누스
그러니까요. 저도 속터지는 줄 알았습니다. 심지어 주변에서는 모두 말리는 분위기 아니었나요? 왜 자신의 커리어와 경제력을 포기하는 결정을 했을까요... 이걸 단순히 사랑이라고만 부를 수 있을까요? 정말 답답해하면서 1부를 읽었습니다.

borumis
아마 말리는 사람은 결국 아일린이 리디아처럼 거리를 두지 않았을까 싶어요.. 사랑 앞에 장사 없네요.. 전 그나마 그녀의 든든한 오빠가 말렸을 것 같았는데;;;

연해
“그리고 이건 다 어쩌고?” 오웰은 두 팔을 벌렸다. “우린 여길 맡아줄 사람을 찾아야 할 거예요.”
"그래요.” 아일린은 대답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우리’는 실은 나겠지.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말 꺼낸 사람이 하라고, 말 꺼낸 사람이... (에휴)

꽃의요정
아직 여기까지 읽지 않았고, 몇 줄 안 되는 대화이지만, 대충 무슨 상황인지 알 것 같아요. 근데 '그래요'라고 대답한 아일린이 정말 대단합니다!

연해
하... 근데 이건 현실고증이에요. 회사에도 이런 '공주님'들 종종 계세요. '왕자님'들은 아직 못 본 것 같네요(집에서들 그러시려나, 쩝). 저는 잡초처럼 마구잡이(?)로 자라서 그런가... 온실 속의 화초처럼 자라신 분들 보면 참, 부담스럽습니다.

Nana
말하지 않음으로써 오웰을 보호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건지, 아일린은 알 수가 없다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P.81,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이런 거 뭐 마조히즘이니 새디즘이니 하는 것도 좀 구태의연할까요? 나쁜 남자(여자)에게 끌리는 거 뭐 그런 거 아닌가요? 근데 왜 끌리느냐까지는 잘 몰랐는데 이런 거 인지심리학자들이 설명을 잘 해내더라구요. 특히 김경일 교수가 지난 번에 EBS에서 설명하는데 아, 그렇구나 싶은데 옮기려니 좀 그러네요. ㅋ
예전엔 심리학이 재밌었는데 언제부턴가 시큰둥하더군요. 너무 딱딱 떨어지까 재미가 없더군요. 김경일 교수는 심리학 첫 학기 수업에 상담 심리학을 들었는데 이렇게 재미없으면 괜히 전공했다고 후회했다고 하더군요. 무엇보다 상담은 입 다물고 듣는 건데 선천적으로 자신은 그게 안 된다고. 그런데 마침 인지 심리학은 그것과 정반대의 분야라 재밌게 공부할 수 있었다나 뭐라나.
아, 그러고 보니까 아일린이 심리학 전공이라고 하지 않았나요? 그럼 아이러니이긴 하네요. 흐흐

연해
저도 이 심리를 명확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막상 (이런) 상대와 연애가 시작되면 교묘하게 세뇌(?)를 당하는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몰랐는데, 지나고보니 그래요. 제 주변인들을 저에게서 한 명 한 명 떼어놓는 것(판단력이 흐려지도록)도 마찬가지인 것 같고. 근데 인간이 참 무서운 게 막상 그 안에 들어가면 상대가 이상한 사람이라는 게 잘 안 보이더라고요. 주변에서 계속 저를 말렸는데, 되레 제가 그 사람을 변호하고 있었거든요('아냐, 너네가 잘 몰라서 그래. 오빠 그런 사람 아니야'라고). 연애(나 결혼, 까지 쓰려다가 제가 미혼이라 일단 넣어두고)는 둘만의 서사일 때가 많으니까요.
심지어 상대가 '네가 날 화나게 하니까 내가 화내는 거잖아!'라고 당당하게 지속적으로 말하면, 제가 정말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고 있더라고요. '아 내가 맞을 짓을 했으니까 맞는구나' 뭐 이렇게? (실제로 맞지는 않았지만 위협적인 순간이 몇 번 있었습니다) YG님 말씀처럼, 스톡홀름 신드롬 같기도 하고. 아무튼 이제 이런 기미가 조금이라도 보이면 줄행랑칩니다. 그때 이후로 연애관(?)도 많이 달라졌고요. 그 전에는 다정한 남자에게 심드렁했는데(다정한 것보다는 똑똑한 사람 좋아했죠), 아무리 생각해도 일단은 다정한 게 짱인 것 같습니다.

연해
저도 김경일 교수님 좋아해서 인지심리학에 부쩍 관심이 생겨 잠깐 배웠던 적도 있는데요. 저는 반대로, 공부하는 내내 '내가 이걸 왜 시작했지' 싶었던 기억이 나네요. 심리학을 전공했던 지인에게 이 말을 했더니,
- 인지심리학 배우러 오는 사람의 생각 : 인지심리학을 공부하면 저 사람이 왜 저렇게 생각하고 내가 왜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지 심리를 알 수 있겠지?!
- 배우는 것 : 뇌과학
...
제 경우는 이상 심리학이 재미있었어요.

향팔
앜ㅋㅋ 빵 터졌습니다.

향팔
맞아요, 저도 어렸을 땐 똑똑한 남자가 좋았는데 이젠 안 그래요. 근데 다정한 남자도 항시 조심해야 해요. 나한테만 다정한 게 아니더라고요! (써글)

연해
하하, 그러네요(조심 또 조심!). 그 적정선을 맞추기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저는 밑에 제가 수집한 문장과 같은 딜레마도 있더라고요.

연해
“ 저도 언니의 분류를 보고 제 지난 연애들을 좀 복기해보았어요. 그냥 막연한 수준으로 정리라는 것을 해보니, 저는 주로 양쪽을 왔다갔다 오가는 연애를 해왔던 것 같아요. 한 번의 연애가 시작해서 끝이 아면, 그 다음 연애는 지난 연애 상대랑 정반대 느낌의 사람과 하곤 했어요. 저를 리드하고, 지적으로 자극하고, 기분좋게 혼란을 주는 상대를 사랑하게 되면 사랑의 속성이라는 게 늘 그렇듯이 꼭 제가 사랑했던 그 모습들에 상처를 입었죠. 무시당했고, 불안에 떨어야 했고, 영혼에 가시가 돋았어요. 그렇게 그 상대와의 사랑이 끝나면 저는 곧장 나를 포용하고, 지지하고, 안정감을 주는 상대에게 끌렸어요. 그러곤 또 시간이 지나면 내가 이끌렸던 잔잔하고 깊은 이해심에 하품이 나오기 시작했죠. ”
『여자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 요조와 임경선의 교환일기』 요조.임경선 지음

여자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 요조와 임경선의 교환일기두 여자가 있다. 한 여자는 솔직하고 '앗쌀하다'. 다른 여자는 자신이 대외적으로 하는 말과 행동에 가식이 많다고 생각한다. 매일매일 SNS 쪽지로 채팅하듯 시시콜콜한 대화를 나누던 두 여자는 어린 시절 다른 이들이 침범할 수 없는 우정을 나누던 단짝 소녀들이 그랬듯이 '교환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정도의 차이는 좀 있겠지만 누구나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그렇게되지 않나요? 저는 상대가 무슨 말을 했는데 (오래 전 일이라 기억도 안 나지만) 그 말이 좋은 뜻에서 하는 말인지 나쁜 뜻에서 하는지 몰라 오죽하면 친구한테 감정을 의뢰한 적도 있어요. 그러니까 오히려 친구가 펄쩍 뛰며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냐고 그 사람 정리하라고까지 하는데, 그게 그렇게 역정을 낼일인가? 이 친구조차도 못 믿게되더라구요. 소설 제목중 '사랑은 미친 짓이다'란 제목도 있잖아요. ㅎㅎ그래도 연해님은 잘 빠져 나오셨네요. 다행입니다. 그래서 사랑하는데 주도권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하하.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