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

D-29
오, 아버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borumis 님의 소신을 밀고 나가신 게 정말 멋있습니다. 저는 의사 선생님들 존경해요. 어떤 마음으로 그 험난한(?) 길을 선택하셨을까 싶고, 생명을 다루는 일이니만큼 고귀한 일이라 생각한답니다. 제가 @borumis 님을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외교관 하셨어도 잘 하셨을 것 같아요:) (부모님 직업이 외교관이라고 말씀하셨던 기억이 있는데, 제가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 것인지...)
아무튼 울아빠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드라마틱한 인생과는 전혀 멀다는;; 어느 직업이든 직업이 사람을 크게 바꾸지는 못하는 듯합니다 ㅋ 연예인이나 PD는 좀 다를까요?
제 지인 중에 그쪽 직업군이 없어 자세히는 모르지만, 가만히 상상해보기로는 하루하루가 굉장히 다이나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웬만한 멘탈로는 버텨내기 힘들 것 같기도 하고요. 월급사실주의 동인 작가님들이 한겨레신문에 연재 중인 '일하는 사람의 초상'이라는 칼럼을 제가 좋아하는데요. 여러 에피소드 중에 결은 살짝 다르지만 '예능 작가 18년, 망각하고 무뎌지는 방법을 깨달았다'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labor/1212435.html
ㅋㅋㅋ 모처럼 대동단결한 것 같아서 저는 좋던데요? 역시 남의 얘기하는 게 젤 재밌죠. 조지한테는 미안하긴 하지만. ㅎㅎ
조지에겐 그리 미안하진 않아요 ㅋㅋㅋ
ㅎㅎㅎ 맞아요!
전혀 미안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는 오늘 출근 길에 완독/완청했는데, 출근하자마자 1교시도 시작하기 전에 난이도 최상인 부모님과 학부형 상담 하면서 속으로 내내 그런 생각했어요. 아일린은 오웰같은 사람이랑 죽을 때까지 살았는데, 이정도 학부형쯤이야! 이건 일도 아니야… 오웰덕분에 제가 평소에 별로 참고 싶어하지 않는 인간들을 견뎌내는 훈련이 된거 같아 고마울 정도였습니다.
ㅎㅎㅎ 이거 웃으면 안 되는데... ㅋㅋ 아무튼 이들 부부가 새벽서가님께 공을 끼치긴 했네요. 힘 내십쇼! 피이팅!^^
감사합니다, 스텔라님!
‘쇼크’까지 읽었는데, 오웰의 언행이 어이가 없긴 하지만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 받지는 않습니다. 오웰의 작품에 아일린이 기여한 정도라든가, 오웰과 전기 작가들이 아일린의 이름과 업적을 애써 지우고 무시한 이야기에는 관심이 많이 갑니다. 21세기에 오웰 전기를 쓴 작가들도 옛날 작가들과 별로 다를 게 없는 것 같네요. (애나 펀더는 “아일린을 이야기에서 들어내 버린 건 오웰 자신으로 보이니”, “전기 작가들에게 공감은 간다”고 했지만요.) 저자가 중간중간 풀어놓는 가부장제에 관한 이야기, “작가와 작품 사이의 간극” 이야기도 좋습니다. 근데 아일린과 조지 두 사람 사이에 오간 대화나 아일린의 생각을 (‘물결(?)부호’ 안에서) 생생히 묘사하는 장면들은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저자의 상상일지 궁금하네요.
저도 솔직히 어느 정도는 저자의 상상이나 과장이 아닐까 싶지만.. 만약 사실이어도 그렇게 스트레스받지는 않을 것 같은 게 어느 정도 고전 작가들이 부인이나 기타 여자들에게 한 행각에 이미 너무 면역이 되서 그런 걸지도 모르겠어요;;; 예전 20대같으면 쇼크먹고 화났을텐데..;;; 그보다 사실이든 아니든 정말 흥미진진하게 잘 쓴다는 생각.. (어차피 작가 자신도 오웰과 전기 작가들이 어느 정도 fiction을 그려낸 것처럼 자기 자신의 글도 어느 정도는 fiction인 걸 counter-fiction이라고 하면서 인정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향팔님 말대로 중간 중간의 간극과 이런 사회적 모순에 대한 비평이 더 재미있는 것 같아요. 마치 동물농장이나 1984 등의 이야기로 사회를 비판하고 프로파간다의 fiction에 맞서는 것처럼 이 작가 또한 어떤 흥미로운 fiction으로 사회적 모순을 정당화시키려는 fiction에 맞서는 전략을 역으로 이용한 것 같아 보입니다.
오, counter-fiction이 그런 의미로…! @borumis 님 글을 읽으니 머리 속에 촛불이 반짝 켜지는 느낌입니다. 새로 깨닫게 되네요! 애나 펀더가 글을 잘 쓴다는 말씀에도 동감합니다.
저도 YG님 덕분에 이 작품을 알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인걸요. 읽으면서 화가 나는 건 어쩔 수 없지만 그만큼 생각이 뒤틀리고 있다는 거니까, 좋은 깨달음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리디아는 여성이 반복해 빠져드는 이중사고에 빠져들고 만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포함해 모든 것을 무의식적으로 남성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고방식이다. (…) 내숭 떠는 여자 아니면 걸레, 혹은 유머감각 없는 년 아니면 공범이다. 그 둘을 나누는 경계선은 여성이 자신의 욕망을 발견하고 나아가 충족시키기에는 너무나도 비좁은 공간이다.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어찌면 양쪽을 보는 그의 능력은 자신의 삶에서 경험한 분열에서 비롯된건지도 모른다. [....] 분열된 삶을 살아가기에, 그는 현실을 허울좋은 표면적 이야기로 보고 그 이면의 또 다른 진실을 찾아 나설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자신을 겉과 속이 같은 사람, 혹은 그의 표현대로 '고상한' 사람으로 여기기 힘들어진다.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YG님이 바람피운 것도 아닌데요 뭘~ ㅎㅎㅎ YG님이 아니었으면 한국에 있는 51명(이방 인원수)의 독자들조차 오웰의 뒷모습을 전혀 몰랐을 거 아니에요. 오웰을 좋아하는 독자일수록 이런 모습은 꼭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 그를 계속 인정할지 안 할지는 각자의 몫이고요. 전 사실 남성들도 같은 인간이니 많이 이해해 주자, 나도 뭐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입장인데 오웰은 시대상을 반영 안 하면(반영해도) 조리돌림 당할 수준으로 '이중사고'를 하시는 분이라 어느 정도 예상은 했어도 당황스럽네요. ^^;;
저는 남성들도 이해해주자.. 라기보다는 이런 남성들을 다 cancel하면 실제로 고전 중에는 읽을 작가가 얼마 없을 것 같은데 (물론 여성 작가가 많은 현재는 좀 다르겠지만) 여성 작가 또한 racism이나 기타 문제가 많겠죠. 그런데 워낙 오웰 씹는 게 재미는 있지만 실은 오웰과 아일린의 이야기보다는 더 중요한 게 이번 Mind the Gap 장에서 다루어진 것 같고 앞으로 어떻게 더 들어갈지가 궁금해집니다. Doublethink는 페미니즘의 문제 뿐만 아니라 어쩌면 작가와 작품 간의 모순을 바라보는 독자의 세상에서도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같아요. 솔직히 제 자신도 독자로서 과연 나 자신은 indecency나 doublethink에서 자유로울 수 있나?하는 문제에 부딪히거든요.
Patriarchy IS the doublethink that allows an apparently 'decent' man to behave badly to women, in the same way as colonialism and racism are the systems that allow apparently 'decent' people to do unspeakable things to other people.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221,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I put my best self into my work', he said, opening out his hands, 'and I am not my best work.' In the gap between his hands I saw the gap between an author and their work. This is not an empty space. It's full of dark matter, matter that holds together the writer, the work and the reader.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223,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I" is only a convenient term for somebody who has no real being.' .... She is not, in Woolf's words, 'harassed and distracted with hates and grievances', legitimate and important as those might be. That inner 'I' is both known and unknown to a writer.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224,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책 나눔][박소해의 장르살롱] 25. 가을비 다음엔 <여름비 이야기> 스토리 수련회 : 첫번째 수련회 <호러의 모든 것> (with 김봉석)[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도서관에서 책을 골랐을 뿐인데 빙의해 버렸다⭐『겹쳐진 도서관』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극단 '피악'의 인문학적 성찰이 담긴 작품들
[그믐연뮤클럽] 8. 우리 지난한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여정, 단테의 "신곡"[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_텍스티의 네버엔딩 스토리
김준녕, 오컬트도 잘합니다. [다문화 혐오]를 다루는 오컬트 호러『제』같이 읽어요🌽[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텍스티] 소름 돋게 생생한 오피스 스릴러 『난기류』 같이 읽어요✈️[책증정] 텍스티의 첫 코믹 추적 활극 『추리의 민족』 함께 읽어요🏍️
나는 너의 연애가 궁금해
[📚수북플러스] 6. 우리의 연애는 모두의 관심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북다] 《나의 사내연애 이야기(달달북다02)》 함께 읽어요! [북다/책 나눔] 《하트 세이버(달달북다10)》 함께 읽어요!
각양각색!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과학의 언어로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작가, 김초엽
[라비북클럽] 김초엽작가의 최신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 같이 한번 읽어보아요[다정한 책방] '한국작가들' 함께 읽기5탄.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_김초엽[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8월의 책 <지구끝의 온실>, 김초엽, 자이언트북스방금 떠나온 세계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레슨!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지금보다 나은 존재가 될 가능성을 믿은 인류의 역사, 《자기계발 수업》 온라인 독서모임
한국의 마키아벨리, 그의 서평 모음!
AI의 역사한국의 미래릴케의 로댕최소한의 지리도둑 신부 1
🎬 우리가 사랑한 영화 감독들
[책나눔] <고양이를 부탁해><말하는 건축가> 정재은 감독 에세이『같이 그리는 초상화처럼』메가박스 왕가위 감독 기획전 기념... 왕가위 감독 수다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괴물」, 함께 이야기 나눠요
저항의 문장가, 윌리엄 해즐릿!
[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영원히 살 것 같은 느낌에 관하여』와 함께해요![아티초크/책증정] 윌리엄 해즐릿 신간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서평단&북클럽 모집[아티초크/책증정] 장강명 작가 추천! 해즐릿의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와 함께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축하합니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신간읽기클럽 )1. 세계는 계속된다/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공룡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기로!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밀리의 서재로 📙 읽기] 10. 공룡의 이동경로💀《화석맨》 가제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