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말씀에 동의합니다. 흥미롭게 읽다가 어느 시점부터 이건 좀 과하지 않은가 싶은 해석들이 보였어요. 취사선택과 강조와 생략을 통해 작가의 관점을 드러내는 전기라는 장르의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 싶기도 하고 반대로 해석하면 그게 매력일 수도 있겠구요. 전기라는 장르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되기도 하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
D-29

알마

borumis
그쵸? 자의적인 잣대가 좀 심하긴 하죠. 그래서 이 책에 대해 혹평을 한 사람들도 너무 의도적으로 왜곡시키거나 근거 없이 허위로 만들어낸 게 많다고 지적하곤 합니다. 전 조지 오웰을 까는 것보다 다소 걱정되는 건 다른 전기 작가들을 모두 까내려가는 느낌이 좀 걸립니다. 제가 아직 그 전기들을 다 못 읽어서.. 미리 이런 글을 접하는 게 좀 조심스럽고 아직 작가의 말에 모두 동조하는 것은 아니지만... 확실히 여러 작가나 예술가 등의 삶에서 여성 조력가들의 자취가 억눌리고 지워진 것은 다른 경우에서도 많이 봐서 그걸 이렇게 풀어나가는 게 흥미롭더라구요. 어느 정도 좀 색다른 counterfiction? metafiction처럼 전부 다 사실에 입각했다기 보다 작가의 주관과 추측이 개입되었다는 걸 전제로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말고 작가가 오웰의 글과 전기들에서 오웰과 전기작가들의 숨은 의미를 파악하려고 한 것처럼 우리도 작가 펀더의 글에서 그녀의 의도하는 방향과 가정된 추측을 읽어내는 눈을 키워야하는 것 같습니다. 영어 표현 read between the lines과 take it with a grain of salt가 생각나네요.

연해
“ 피하고 속이는 말들이 가득한 이 편지는 너무도 무시무시하다. 한 여자가 자신의 필요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기다 못해 자신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의학적 치료조차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버리는 말들. 그럼으로써 남편이 오든 안 오든 그의 마음이 편해지게 해주는 말들. 아일린은 지난 몇 년 동안 오웰보다 많은 돈을 벌어왔고, 그보다 많은 돈을 상속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이 편지는 마치 아일린이 그 돈을 쓰려면 오웰의 허락이 필요하기라도 한 것처럼 쓰여 있다. 자기말소는 가부장제에서 여성에게 요구되는 덕목이지만, 결국에는 스스로를 드러내게 되고 범죄처럼 보이게 된다.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돈>,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프렐류드
근데 저만 궁금한게 아니었네요, 책을 읽으면서 어디까지가 픽션일까, 궁금했어요.

borumis
어머 이영애가 다시 나와요? 어쩐지.. 요즘 많이 보이는 것 같더라구요. 요즘 전지현도 그렇고 예전 배우들이 다시 많이 나오네요.. 낯익은 아줌마 아저씨들이 다시 많이 나오네요 ㅎㅎㅎ

꽃의요정
저도 그 드라마 선전만 보는데도 딱 <브레이킹 배드> 생각났어요. 근데 <브레이킹 배드>는 끝까지 봐야 이 드라마의 진가가 드러나는 작품 같아요.
다들 오웰 씨 욕하기 지치신 거 아닐까요? ㅎㅎㅎ

stella15
@borumis 아, 그게 브레이킹 배드랑 비슷한가요? 그렇지 않아도 보려고 찜 해놓긴 했는데 저는 본방 사수 안하고 좀 나중에 보기 시작합니다. 저도 이영애 좋아합니다. 작년인가 재작년에 이영애 씨 여자 지휘자로 나오는 무슨 드라마가 있었는데 스토리가 이영애 씨를 살려주지 못했죠. 이번엔 좀 기대하고 있습니다.
YG님 그러시니까 친근감 있고 좋습니다. 드라마 수다처럼 건전하고 좋은 게 어딨습니까? 남 흉보는 거 보다 낫지. 근데 YG님 호르몬 이 변하고 있나 봅니다. ㅋㅋ

YG
@stella15 앗, 제가 원래 심한 드라마쟁이에 수다쟁이인데요; :) 오죽하면, 우리 어머니께서 남자는 입이 무거워야 한다고 신신당부를...

stella15
@borumis 아유, 무슨. 아주 바람직 하십니다! 그래야 사람들이랑 친해지지 남자들 나이들수록 시회성 떨어지는 거 아시죠? 동네 아줌마랑 친하게 잘 지내려면 드라마 수다처럼 좋은 게 없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제가 요즘 YG님이랑 친해진 느낌입니다. 하하
근데 YG님은 저로선 좀 이해불가십니다. 매일 별돌책 읽으시고, 다른 책 읽고, 생업하시고, 주니어랑 축구장 가시고, 언제 드라마 보고. 잠은 주무시는지 의문입니다.

borumis
참고로 저희 남편도 저보다 더 드라마를 많이 봅니다. 그리고 만화도 드라마도 영화도 꼭 알콩달콩한 이팔청춘 로맨틱 코메디 엄청 좋아합니다. 이번에 '고백의 역사'보고 여고생처럼 까르르 웃으며 좋아하던 아저씨;;;; 전 주로 CSI나 셜록 등 범죄물과 법정물만 보는데;;;

YG
@챠우챠우 @알마 @프렐류드 흔히 결정판 평전이라고 불리는 것도 저자의 취사선택과 해석을 둘러싼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걸 보면, 이렇게 논쟁적인 평전을 놓고서 여러 의견이 나오는 건 불가피한 대목 같기도 합니다. 몇 가지 이유도 있어요.
1.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오웰의 사망 3개월 전에 결혼한 둘째 부인이 그가 남긴 일기장을 모조리 없애버렸답니다. 그러니, 실제로 오웰이 저런 행태를 보일 때의 그의 속마음, 또 오웰 버전의 아일린을 알 수 있는 길이 사라져버린 것이죠.
2. 그런데도 오웰은 저서를 포함해서 여러 기록이 남아 있는 반면에, 아일린에 대한 기록은 제한적이니 결정적인 사료(여섯 통의 편지)에다 저자의 해석과 기존 오웰 평전의 행간 읽기가 불가피했던 것 같아요. 처음에 애나 펀더가 소설로 기획했던 이유도 알 만하죠.
3. 하지만 펀더의 시각이 아주 뜬금없지는 않아 보여요. 기존 선행 연구와 그 작업에서 인용했던 사료를 재해석하는 데에 아주 공을 많이 들인 건 사실이거든요. 예를 들어, 챠우챠우님께서 잠깐 언급하신 오웰의 성 정체성을 놓고서도 앞에서 @borumis 님께서도 언급하셔서 찾아봤는데 상당히 논란이 되었던 대목이더라고요.
혹시 못 보였을까 봐서 댓글로 다시 확인해 드립니다. 이렇게 똑같은 책을 읽으면서도 다양한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것도 벽돌 책 함께 읽기의 묘미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borumis
저 근데 오늘 읽는 부분에서 편지를 보면서... 와아.. 이거 모르핀이 들어가서 이런 거겠지? 원래 이런 글씨였나? 이래서 어딜 가든 타자기로 쳤나..?했네요. 근데 마지막까지 힘이 빠지고 의식이 흐려지면서도 이 순간을 오웰과 함께 나누려고 글로 남기는 그녀의 모습이 안쓰럽네요..
지금 레미제라블을 읽고 있는데 그 지독한 Thenardier 부부마저도 마음은 멀어져도 몸은 가까이 있고 애정은 재가 되었지만 여전히 그를 부르는 정다운 호칭은 살아남았다고 하는데.. 마지막까지 Dearest라고 오웰을 부르는 아일린의 편지는 병실에 홀로 떨구어져있고.. 오웰은 어디에 있나요? 그의 답장은?
Dans la misère, les corps se serrent les uns contre les autres, comme dans le froid, mais les cœurs s’éloignent. ... Il n’y avait plus en elle pour son mari que de la cendre d’affection. Pourtant les appellations caressantes, comme cela arrive souvent, avaient survécu. Elle lui disait : Chéri, petit ami, mon homme, etc., de bouche, le cœur se taisant.

borumis
아, 밀리의 서재에 민음사 완역본이 올라와 있네요!! 번역이 좀 제 마음에 안 들지만..
"곤궁 속에서는 추위 속에서처럼 서로 몸을 바싹 붙이지만, 마음은 서로 멀어진다. ... 그 여자 속에는 더 이상 남편에 대한 애정의 재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세상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정다운 호칭은 살아 남아 있었다. 그녀는 마음은 잠자코 있으면서도, 입으로는 그에게 "여보, 당신"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9월 24일 수요일에는 4부를 마무리하면서 아일린을 떠나 보냅니다.ㅠ.
'즐거운 시간 보내기'부터 '예감'까지 읽습니다. 한국어판 종이책 기준 460쪽부터 475쪽까지입니다. 바로 5부로 넘어가지 마시라고 짧게 끊었습니다.
정말, 애나 펀더도 고약한 작가인 게 아일린의 최후와 그 시점에 방탕하게 놀고 있던 오웰의 모습을 대비시켰네요. 독자들 화나게 하는 재주는 확실히 인정입니다;;;

sbvrnc
“ 로런스는 이제 여섯 살이다. 아일린은 그 애에게서 자기 오빠의 모습을 찾아보려고 애쓰지만, 그 애는 캐나다에서 낯선 사람들과 지내고 온 뒤로 빈틈없이 공손해져 있다. 가슴이 아플 정도로.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p.442,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씩씩한
“ 아일린은 리디아에게 수없이 말했었다. 조지에게는 그 누구보다도 자기 작품이 먼저라는 걸 알기에, 자신이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은 언제나 오빠였다고 말이다. 오웰에게는 아일린 자신보다 작품이 더 중요하다는 걸 이해하려고 애쓸 때마다, 아일린은 로런스를 문장 속에 끼워넣어 곁에 두려 한다.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 쓰거나 말로 할 수는 있어도, 결혼 생활에서 그토록 외롭게 남겨진다는 건 또 다른 문제다. 당신을 괴롭게 만드는 원인이 당신을 그 괴로움에서 구해줄 수는 없다. P362-363’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씩씩한
“ 자신의 가장 심오한 자아를 해치는 일에도 괜찮다고 느끼게 되는 것. 그것이야말로 가부장에서 여성이 길들여지는 방식의 정점이 아닐까 싶다. 우리는 우리를 이용하는 체제에 동조하도록 길들여진다. 그러고는 결국 우리가 동의했다고, 기분 나쁘지 않았다고, 심지어는 우리 스스로 원한 일이라고 말하게 된다. 어떤 경우든 우리는 '분명 그것을 감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간주되고, 우리가 고통받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는 일로 남을 것이다. P.390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 리처드는 내 무릎에 앉아 성냥갑을 가지고 놀았는데, 팔이 붙잡히자 조금 놀란 눈으로 의사를 쳐다보았고, 이내 깜짝 놀라 내게 고개를 돌렸어요. 마치 이렇게 말하는 것처럼요. “왜 겉으로는 착해 보이는 이 아저씨가 내 몸에 주삿바늘을 찌르는 거예요? 이게 맞아요?” 괜찮다고 말해주자, 그 애는 다소 진지한 얼굴로 다시금 의사를 올려다보더니 이내 미소를 지었어요. ”
『조지 오웰 뒤에서 - 지워진 아내 아일린』 <즐거운 시간 보내기>, 애나 펀더 지음, 서제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