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 참여 이벤트] 『대한규제혁신민국』 함께 읽고, 함께 세상을 바꿔요!
안녕하세요, 북클럽 닉네임 〈작가와책읽기〉 입니다.
드디어 제가 직접 쓴 책, 『대한규제혁신민국』 이 세상에 나왔습니다! 🎉
이 책은 단순한 정책서가 아니라,
“국민이 직접 설계하는 새로운 민주국가” 를 위한 청사진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는 것은 전염병도, 전쟁도 아니다.
▍❝그 이름은 ‘규제’다.❞
출산율 0.7명, 자살률 OECD 1위, 소멸하는 지방과 추락하는 국가경쟁력—
이 모든 위기의 뿌리에는 정치와 제도가 만든 ‘사회적 만성 고혈압’이 흐른다.
우리는 왜 지금 ‘규제’를 이야기해야 하는가?
그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대한규제혁신민국』은 20대 분야·2,000개 과제·헌법 개정안을 담아
국민이 직접 국가를 다시 설계하는 최초의 리빌딩 매뉴얼이자 체제 전환의 작전지도다.
▍정치인에게는 불쾌하고, 국민에게는 통쾌한 책—
국가 설계권을 되찾는 순간, 새로운 민주국가는 당신의 손에서 시작된다.
규제에 눌린 대한민국을 어떻게 새롭게 디자인할 수 있을지,
저와 함께 진지하지만 즐겁게 이야기 나눠 보실래요?
💡 북클럽 모임 안내 (1개월 집중 토론)
모집 기간: 08/28(목) ~ 09/06(토)
모임 기간: 09/07(일) ~ 10/05(일) (약 1개월, 국정감사 직전까지)
✔️ 매주 제가 직접 토론 질문을 올립니다.
✔️ 독자분들은 자유롭게 댓글로 생각을 나눠주시면 됩니다.
✔️ 가볍게 참여해도 좋고, 깊이 토론해도 좋습니다. 🎙️
🎁 도서 증정 이벤트 (5명) : 신청해주신 분 중 주요 인터넷 서점에 성의껏 리뷰를 작성해 주시기로 약속하고 설문에 응답해 주신 분을 선정, 총 5분께 『대한규제혁신민국』을 작가가 직접 서명하여 보내드립니다!
신청 기간: 08/28(목) ~ 09/04(목) / 발표: 09/05(금) / 도서 발송: 09/05(금)
👉 신청 링크 바로가기 https://docs.google.com/forms/d/1nLCSl5fDZ7YDRi0UpCOEvH5moKGyaaZhi5BhQDLZDWo/edit?pli=1
📌 이벤트에 당첨되지 않아도, 북클럽 참여는 언제나 가능합니다!
📚 도서 구매 링크 : 혹시 기다리기 싫으시다면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47038
✅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0286133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1856915
🙌 함께 하면 좋은 이유 :
✨ “규제 개혁” 같은 무거운 주제도,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이야기로 풀어갑니다.
✨ 정치·사회 문제에 대해 ‘나만의 생각’을 나누고 싶은 분들께 딱 !
✨ 책만 읽고 끝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대화’에 직접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언론 보도 기사 보기: Monday Times 기사 https://korea.mondaytimes.net/544
👉 모임에서 나온 좋은 아이디어들은, 앞으로 수정 증보판으로 나올 다음 책과 현실의 우리 사회 속에서 더 크게 울릴지도 모릅니다.
📌 정리: 이번 북클럽은 책 읽기 + 토론 + 이벤트 + 대한민국 미래 디자인이 합쳐진 자리입니다.
우리 나라의 주인인 여러분의 참여가 국민주권시대에『대한규제혁신민국』의 새로운 역사를 만듭니다. 😄
📢 [베스트셀러 작가 참여] 『대한규제혁신민국』 함께 읽고, 함께 바꿔요!
D-29

작가와책읽기모임지기의 말

작가와책읽기




작가와책읽기




작가와책읽기




작가와책읽기
2025년 8월 26일 현재, 교보문고 정치사회분야 베스트셀러 12위 랭킹~°


BOGO
@작가와책읽기 님, 훌륭한 저서를 집필하셨군요. 작금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민주시민 필독서라고 판단됩니다. 좋은 책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참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작가와책읽기
지금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는 것은 전염병도, 전쟁도 아니다.
▍❝그 이름은 ‘규제’다.❞
『대한규제혁신민국 - 국민이 설계하는 새로운 민주국가』 안종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가와책읽기
첫번째 신청자가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울러 우 리 독자님의 열정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BOGO
“ 이제 국민은 깨어나야 한다. 깨어 있는 규제 설계자가 되어야 한다. 설계하지 않으면, 설계 당할 것이다. 국민이 설계자일 때, 비로소 진짜 민주주의가 시작된다.
『대한규제혁신민국』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다. 이 책은 생각을 여는 철학이며, 길을 밝히는 지도이고, 행동을 촉구하는 초대장이다. 우리는 절대로 입법기술자와 정책 엘리트에게 국가의 모든 설계를 위임할 수 없다. 이제는 누구나 문제를 제기하고, 현장을 점검하고, 대안을 설계하고, 집행을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규 제는 곧 삶이며, 삶을 설계할 권리는 모든 국민에게 있다. ”
『대한규제혁신민국 - 국민이 설계하는 새로운 민주국가』 p.15, 안종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가와책읽기
훌륭하십니다. 첫 출발에 축포를 쏘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작가와책읽기
8월 26일 현재, 알라딘 정치사회분야 베스트셀러 랭킹 6위


작가와책읽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한규제혁신민국』 북클럽 운영 일정표 (주차별 안내글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 0주차 (8/28 ~ 9/6) : 오리엔테이션 & 모집
업로드 글: [공지] 『대한규제혁신민국』 함께 읽고, 함께 바꿔요!
도서 소개, 모집 일정, 이벤트 안내 (도서 증정 이벤트 포함)
참여 방법 설명
구매 링크 & 언론 기사 공유
✔ 1주차 (9/7 ~ 9/11) : 규제, 왜 문제인가?
업로드 글: [1주차 토론 안내] “규제, 왜 문제인가?”
질문1: 규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질문2: 일상에서 겪은 불합리한 규제 사례는 무엇인가요?
👉 참여 유도 멘트: “가볍게 경험담을 나눠주세요. 작은 이야기 하나가 큰 대화를 여는 열쇠가 됩니다.”
✔ 2주차 (9/12 ~ 9/18) : 국민이 설계하는 국가
업로드 글: [2주차 토론 안내] “국민이 설계하는 국가”
질문1: 대한민국의 정치·관료 시스템에서 꼭 바꾸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질문2: 국민이 직접 설계한다면 어떤 제도를 추가/폐지하고 싶으신가요?
👉 참여 유도 멘트: “이 주차에서는 독자분들이 ‘국가 디자이너’가 되어 보시는 겁니다.”
✔ 3주차 (9/19 ~ 9/25) : 규제 개혁과 나의 삶
업로드 글: [3주차 토론 안내] “규제 개혁과 나의 삶”
질문1: 규제 개혁이 내 삶(직장, 지역사회, 가족 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질문2: 『대한규제혁신민국』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은 무엇인가요?
👉 참여 유도 멘트: “책 속 문장을 직접 인용해 주시면 더 풍성한 토론이 됩니다.”
✔ 4주차 (9/26 ~ 10/2) : 갈등 조정과 시민 참여
업로드 글: [4주차 토론 안내] “갈등 조정과 시민 참여”
질문1: 규제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질문2: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규제 감시·참여 제도가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 참여 유도 멘트: “지금의 현실 문제와 연결 지어 자유롭게 이야기해 주세요.”
5주차 (10/3 ~ 10/6) : 대한민국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업로드 글: [5주차 토론 안내] “대한민국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질문1: 앞으로 10년 후, 대한민국의 규제 시스템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요?
질문2: 『대한규제혁신민국』에서 가장 마음에 남는 개혁 방향은 무엇인가요?
👉 참여 유도 멘트: “국정감사 직전, 독자 여러분의 비전을 모아 대한민국의 미래 지도를 함께 그려봅시다.”
✔ 마무리 (10/7 ~ 10/20) : 결산 & 국정감사 연동
업로드 글: [결산] 『대한규제혁신민국』 북클럽을 마치며
한 달간 토론에서 나온 주요 키워드 정리 (카드뉴스/요약본 활용)
국정감사와 연결된 핵심 메시지 공유
독자 후기 이벤트 공지 (한 줄평/리뷰 →감사인사로 마무리)

작가와책읽기
✔ 1주차 (9/7 ~ 9/11) : 규제, 왜 문제인가?
업로드 글: [1주차 토론 안내] “규제, 왜 문제인가?”
질문1: 규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인가요?
질문2: 일상에서 겪은 불합리한 규제 사례는 무엇인가요?
👉 “가볍게 경험담을 나눠주세요. 작은 이야기 하나가 큰 대화를 여는 열쇠가 됩니다.”

그믐총독
너무나 훌륭한 책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나 탁월한 책을 써주셔서 진정 존경합니다.


작가와책읽기
책을 잘 받으셨다니 저도 마음이 기쁩니다. 제가 올려야 할 금주 토론 주제도 솔선하시어 매우 감사합니다.

BOGO
안종일 작가님, 저도 책을 잘 받았습니다. 정말 훌륭하십니다. 현재와 미래의 대한민국과 국민들을 위하여 큰 일을 해 주셨군요. 새로운 민주국가를 여는데 혁신적인 로드맵으로서 탁월한 명저라고 생각합니다. 받자 마자 단숨에 읽어 내려갑니다.


작가와책읽기
책 잘 받으셨다니 저도 마음이 좋습니다. 아울러 정성의 댓글도 감사드립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총독
✔ 2주차 (9/12 ~ 9/18) : 국민이 설계하는 국가
업로드 글: [2주차 토론 안내] “국민이 설계하는 국가”
질문1: 대한민국의 정치·관료 시스템에서 꼭 바꾸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질문2: 국민이 직접 설계한다면 어떤 제도를 추가/폐지하고 싶으신가요?
👉 참여 유도 멘트: “이 주차에서는 독자분들이 ‘국가 디자이너’가 되어 보시는 겁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총독
[2주차 토론 참여] 국민이 설계하는 국가 ✍️
질문 1. 대한민국의 정치·관료 시스템에서 꼭 바꾸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저는 정치권과 관료 사회의 책임성 부재를 가장 먼저 바꾸고 싶습니다.
국회에서는 정책 심의보다 정쟁이 우선되고, 국민을 위한 법안보다 이해관계에 얽힌 법안이 더 빨리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료 사회는 여전히 위에서 시킨 일만 처리하는 수동적 구조에 머물러 있고, 잘못된 정책에 대해 책임지는 구조도 불분명합니다.
👉 따라서 “성과·책임 기반 인사 시스템”과 “정책 실패에 대한 명확한 책임 추궁 메커니즘”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질문 2. 국민이 직접 설계한다면 어떤 제도를 추가/폐지하고 싶으신가요?
추가하고 싶은 제도
“국민 참여 규제심사제” : 국민이 직접 불합리한 규제를 제보하고, 일정 기준 이상 모이면 자동으로 규제심사 절차가 개시되는 제도
“국회 정책 공론화 플랫폼” : 국민이 국정감사나 법안 심의 과정에 온라인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일정 수 이상이 지지하면 반드시 국회에서 논의하는 제도
폐지하고 싶은 제도
보여주기식 “위원회 난립 제도” : 실효성이 없는 각종 위원회를 정리하고, 꼭 필요한 위원회만 남겨 효율성과 책임성을 높여야 한다고 봅니다.
관료 사회의 순환 보직 관행 :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에 최소 3~5년 이상 한 자리를 지키며 정책을 설계할 수 있도록 바꾸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정리하면, 저는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더 만들고, 책임 없는 제도는 과감히 없애는 것”이 대한민국의 국가 설계 리셋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BOGO
질문 1. 대한민국의 정치·관료 시스템에서 꼭 바꾸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아유, 저는 말이죠… 정치인들이랑 공무원들이 국민한테 좀 솔직했으면 좋겠어요.
맨날 어려운 말만 하고, 뭐 하나 결정해도 국민한테 물어보는 척만 하잖아요?
솔직히 국민은 다 알고 있어요.
정치인들 자리 지키려고 쇼하는 거랑, 관료들이 책임은 안 지고 자리만 돌려먹는 거.”
👉 “이제는 국민 앞에서 제대로 책임지는 정치·행정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국민이 낸 세금으로 일하면서, 국민한테는 보고도 안 하고, 그건 아니잖아요?”
---
질문 2. 국민이 직접 설계한다면 어떤 제도를 추가/폐지하고 싶으신가요?
“추가하고 싶은 건요, 국민 목소리를 바로 들을 수 있는 창구예요.
예를 들면, 온라인으로 규제 불편 같은 거 바로 신고하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정부가 자동으로 검토하게 하는 거요.
그리고 국회 회의 같은 것도 국민이 다 볼 수 있게 투명하게 공개하면 좋겠고요.”
“없애야 할 건… 아휴, 정치인 특권이죠.
불체포 특권? 그게 왜 있어야 하는 건데요?
일반 사람들은 다 법 앞에 똑같은데, 국회의원이라고 특권 주는 건 말도 안 돼요.
그리고 공무원들, 맨날 부서 옮기면서 책임은 없고 자리만 챙기는 그 관행도 좀 없애야죠.”
👉 “저는요, 결국 국민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 직접 손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나라가 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게 진짜 민주주의 아닌가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