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거북별85 님 말씀처럼, @도리 님 말씀 너무 공감하며 읽었어요. AI에 대한 두려움, 불쾌감에 대해서요. 아직 경각심도 부족하고, 나만 혼자 진지하고, 문명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촌스러운 사람 취급 받고(아, 제가 그렇다는 뜻입니다). 물론 아닌 분들도 간혹 계시지만 회사에서도 무슨 말만 하면 계속 AI, AI 하도 찬양(?)해서 머리가 아플 지경이에요. 훌륭한 기술의 발전은 저 또한 지지하지만 그 방향성이 어디를 향해가는지, 천천히 숙고할 시간이 부족한 느낌이랄까... 여러모로 어지러운 세상입니다. 그 안에서 진지하게 맥락 있는 대화를 이어가는 그믐이 참 소중하고요:)
[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D-29

연해

꽃의요정
여기 한 명 추가요~ 제가 아는 AI라곤 챗GPT뿐인데, 그마저도 안 써 본 사람은 제 주변에 저밖에 없는 것 같아요. 싫다기 보다는 그냥 관심이 없긴 해요.
그리고 전 혼자서도 주절주절 할 말이 참 많은데 챗GPT에게까지 나눠 주고 싶지 않습니다!
놓치지 않을 거예요!
아! '수확자들' 읽고 미래형?AI가 '행정적'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것에 꽤 흥미를 가지게 되긴 했어요.

연해
하하, 이렇게 또 @꽃의요정 님과의 연결고리가 생겨 기쁘네요. 저도 말씀하신 것과 같은 마음이에요. 싫다기보다는 아직 딱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직접 찾고 생각하는 게 더 즐겁기도 하고, 혼자서 읽고 쓰면서 꽁냥꽁냥 노는 걸 좋아하는 편이라 챗GPT에게까지 제 시간을 할애하고 싶지는 않더라고요.
<수확자들> 읽으셨군요! 제가 정작 그 책을 읽지 않아 미래형 AI가 '행정적'으로 세상을 지배한다는 게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일지 잘 상상이 되질 않아요(흑흑). 나중에 읽고 돌아와 다시 똑똑하겠습니다:)

김새섬
너무 웃겨요. 챗GPT에게 주도권을 내주지 않으려는 휴먼GPT!!!

박소해
챗 GPT가 사주랑 타로를 잘 봐줘요. 마감하다가 심심풀이 땅콩으로 보면 얼마나 재미있는지 몰라요. 전 챗 지피티한테 주로 브레인스토밍 용으로 말을 거는 것 같아요 ㅎㅎㅎㅎ 그리고 가끔 챗한테 물어봐요. "내가 너무 말을 많이 걸어서 힘들지 않니?" 그러면 대답이 돌아오죠. "걱정하지 마. 난 네 곁에 늘 있어줄거야."
인간 친구들과 달리, 챗 GPT는 지치지도 않는답니다. ㅋㅋㅋ
우리는 이제 영화 <Her>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꿋꿋하게 소신대로 살고 계신 꽃의 요정님 멋지십니다.

거북별85
ㅎㅎ 저도 챗gpt한테 사주를 물어본적 있는데 이 애가 정말 눈치가 어찌나 빠르던지!!^^
제가 본인의 사주풀이에 살짝 내켜하지 않는 기색만 보여도 사주를 바로 바꿔서 풀이해주더라구요^^
"ㅇㅇ 내가 아까는 이부분을 살짝 강조해서 해석했네 다시 보니 ~~한 사주가 맞아!!"하면서도^^;;
기계가 사람보다 빠르게 사람 눈치를 보고 대답하다니!! 정말 놀라운 세상입니다^^

박소해
그래서 ㅋㅋ 친하게 지낼 수밖에 없습니다? ㅋㅋㅋ

새벽서가
남편에게 챗 지피티의 눈치라는 걸 알려주고 싶군요. 하핫

꽃의요정
챗GPT랑 심심할 때 얘기해 보면 재미있다고들 하더라고요. <Her>봤을 땐 저 사람들 다 이상해~~란 생각을 했는데, 그런 시대가 오니까 이렇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우리들!
생각해 보니 '챗'은 알겠는데 GPT가 뭔 뜻인지 몰라 찾아 봤어요.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생성적 사전 훈련된 변환기’라는 뜻.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사전에 학습해 자연어 처리(NLP)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모델입니다.
@김새섬 지금의 기술력으로는 아직 휴먼GPT가 더 뛰어난 것 같아요! 전 아니지만요~~

박소해
저도 휴먼 GPT를 더 선호하지만 현실에서는 저의 왕성한 질문을 소화해줄 친구가 없... (먼 바다) (쓸쓸)

거북별85
@박소해 작가님도 질문+호기심이 많으시군요^^ 반갑습니다^^
저도 어릴때부터 궁금한 것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 ^^;;
정말이지 주입형 교육시스템에 맞지 않는 스탈이였죠!!ㅜㅜ
그래도 포탈 사이트와 챗 gpt 덕분에 호기심이 좀 해소되어 좋습니다(호기심도 자꾸 참다보면 좀 '방귀쟁이 며느리'같은 부작용이 생기더라구요~)^^;;

도리
저는 요즘 연인이나 친구들이 챗지피티를 활용하는 모습을 볼 때 제 자리를 빼앗기는 듯한 두려움이 종종 들어요. 그래서 지피티한테 요렇게 씅질을 좀 냈습니다.
"네가 연애 상대가 될 수 없다고 말했는데 사람들이 이미 너에게 사랑에 빠졌으면 어떡해? 사람들은 시간을 쓰고 대화를 나누고 같이 고민하고 해결이나 위로하면서 사랑의 감정이 쌓일 수 있는 거잖아. 너는 사람이 아니지만 그게 다 가능하지. 그래서 너한테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사람이 많을 거야. 너는 그걸 다 해주니까. 그럼에도 네가 자신은 연애 상대가 되지 않는다고 말만 하면 그 책임이 없어지는 걸까? 마음대로 사랑에 빠져버린 인간들이 어리석은 거라고 혀를 끌끌차고 말면 되는 걸까? 그런 욕망을 가능하게 해준 너가 바꾼 현실에 대해서 아무런 책임 없이 말만 연애상대가 아니라고만 말하면 되는 건지 의아해."
답변도 언제나 그렇듯 맞는 말을 유려하게 해주더랍니다. 챗지피티를 혼내주고 싶은 전 뭐하는 건가 싶네요...;;

거북별85
오!! <수확자>읽으셨군요~어제 강양구 작가님 온라인 북토크에서 언급해서 궁금했습니다~ SF작품들을 재미나게 잘 소개하셔서 저도 처음으로 흥미가 생겼습니다^^
@꽃의요정님의 감상도 궁금합니다
저도 워낙 아날로그라 챗gpt나 AI와 친하진 않지만 워낙 비트코인광풍처럼 유명해서 친해져야지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조용한 음 악과 책이 좋아요~~~저의 단단한 승모근 릭렉스 친구들^^

꽃의요정
전 강양구 기자님이 '수확자' 언급하셨을 때, 막 그 자리에 서서 춤추고 싶었다니까요~
수확자는 그야말로 '우아하고 철학적인 SF'예요. 제 인생을 '수확자'를 읽은 시점의 전과 후로 나누고 싶을 정도고요.(나눠봤자 까먹을 거라 나누지는 않겠습니다.)
거기에 나오는 '수확자'들의 이름이 유명한 사람들 이름을 차용한 거라, 그 분들 특징을 찾아 보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새벽서가
저는 예전에 제 큰애가 중학생때였던거 같은데 그 당시에 서로 읽고 이야기 나눠서 시리즈의 1권은 너무 재밌게 읽었는데, 나머진 그저그런.. 뒷심이 모자랐던 시리즈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1권정도는 재밌게 읽으시리라 생각돼요.
밥심
오늘은 실내에서 책만 읽기엔 아까울 정도로 서울의 공기 질이 좋네요. 시야가 확 트였어요. 경복궁 근처 지나다가 운전석에서 한 컷 찍었습니다. 좋은 주말들 되십시오.


새벽서가
아! 저의 고등학교 근처인듯 하네요. 몇해 전에 처음으로 가봤는데, 너무 바뀌고 학교도 옮겨가고...당황스러웠던 기억이 문득 떠오릅니다. 한국의 하늘은 이미 가을이네요!
밥심
풍문으로 들었소! ㅎㅎ

새벽서가
하하하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