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대가
"어떤 것과 관계를 맺지 않도록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보지 않는 것이다.
어떤 것을 보지 않게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끔찍한 순환이 완성된다. "
동화
"우리 사회 제도의 위험 중 많은 부분은 우리 사회가 협력이 아니라 경쟁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과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을 매우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하도록 훈련받았다.
공정 영역의 모든 면에서 경쟁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즉각적으로 그리고 불가피하게
불안과 혐오를 낳는다."
한국 사회가 더 경쟁이 심한 사회로 바뀌면서 세대 갈등, 젠더갈등, 계급 갈등이 더 심해진 것이군요.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고 늘 경계 상태에 있다면 그것 거의 노예나 다름없다는 말이 꽤 날카롭네요.
그리고 흔히 미국을 용광로에 비유했는데 이는 원래의 아이덴티티나 개성을 모두 녹이고 없애는 것이라
샐러드 그릇에 비유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그렇다면 적당히 섞이고 적당히 개성이 살아있는 피자는 어떨까 하고 혼자 생각해 봅니다.
[도서 증정] 『문명과 혐오』를 함께 읽어요.
D-29

Alice2023

아고라
오늘은 416쪽부터 447쪽까지, 「개척지 넓히기」를 함께 읽겠습니다.
이불
15일차 / 문명과 혐오
우리 문화의 뿌리 깊은 '경쟁'이라는 토대는 분노와 혐오의 물결을 만들어낸다. 이 분노가 방향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은 분노를 힘없는 자들에게 표출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고, 힘없는 사람들끼리 서로 싸우게 부추기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다. 즉 그 분노와 혐오의 진짜 근원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면, 우리는 곧 우리 정체성 자체를 의문시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p.444

Alice2023
생산
나쁜 선택지들 중에서 고르게 한다는 것,
그것이 체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
우리 경제의 특징이다.
어떤 생각의 노예가 되는 것은 어떤 사람의 노예가 되는 것보다 훨씬 위험하다.
허위 계약
어떤 사람이 부를 축적했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다른 사람의 가난에서 나온 것일 뿐 아니라
지구의 황폐화에서 나온 것이라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아고라
오늘은 448쪽부터 473쪽까지, 「철창 닫기」를 읽겠습니다.
우리가 함께 이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보다 깊고 넓은 생각들을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이불
16일차 / 문명과 혐오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기업들이 파시즘 체제를 지원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닐 것이다. (중략) 미국은 세계 곳곳의 독재자들에게 권력을 쥐어줘서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고 있고, 자원의 유출 - 도둑질 - 에 대한 저항은, 가능하다면 장소를 가리지 않고 뿌리를 뽑으려 한다.
p.471
파시즘은 기업주의라고 불러야 마땅하다. 국가와 기업 권력이 합병한 것이기 때문이다.
p.473

아고라
오늘은 474쪽부터 527쪽까지, 「홀로코스트」를 읽겠습니다.
이불
17일차 / 문명과 혐오
독일 경제의 붕괴는 희생양을 찾기에 딱 좋은 조건을 만들었고 이미 존재하던 경멸을 혐오로 무르익게 하기에 좋은 조건을 만들었다. (중략) 민중의 불행의 진짜 원인이 아닌 사람들, 즉 유대인, 슬라브인 등을 향한 혐오가 무르익어갔다. 히틀러는 이 분노를 정확히 드러냄으로써 많은 독일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압도적으로 인기있는 정치가가 되었다.
p.484
편협한 믿음은 타자들이 누구든간에 그들이 우리와 분리되어 있고 그들보다 우리가 우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이유가 전혀 없이도 그 타자들의 목숨을 앗아갈 권리가 우리에게 있다고 믿는다.
p.495

아고라
오늘은 우리가 <문명과 혐오>를 함께 읽는 마지막 날입니다.
그동안 열심히 모임에 참여해주신 @이불 님께는 모임이 끝난 후 수료증을 발급해드리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책이 우리 안의 차별과 혐오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불
18일차 / 문명과 혐오
문제는, 구체보다 추상을 높이 평가하는 것이다. (중략) 문제는 우리 자신과 타인들을 관계 속에서 기쁨을 얻을 사람들로 보는 대신, 사용해야 할 도구로 보는 것이다.
p.531
혐오를 멈추게 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그 틀을 만드는 조건을 제거해야 한다. (중략) 우리는 문명을 제거해야 한다.
p.533
정말 의미있고 즐거운 독서였습니다. 더 많은 분들에게 이 책이 인연이 닿았으면 좋겠네요. 좋은 책 소개해주시고 운영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