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책을 통해 '다시' 힘을 얻고 싶은 분들과 함께 하고 싶은
모임지기 '다시'입니다.
불안을 이기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행동’
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책,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롭 다이얼 지음. 서삼독>를 함께 읽으려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불안,
그 불안을 두려워하기보다 작은 행동으로
삶을 바꿔가는 힘을 나누고 싶습니다.
의지박약, 만성적 미루기를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일주일 동안 함께 읽으면서 책과 함께 작은 생각들을
나눴으면 해요.
🗓 모임 기간
9월 8일(월) ~ 9월 13일(토), 6일간
매일 2장씩 읽고, 글과 생각을 나눕니다.
📌 읽기 일정
9/8 (월) : 1~2장
9/9 (화) : 3~4장
9/10 (수) : 5~6장
9/11 (목) : 7~8장
9/12 (금) : 9~10장
9/13 (토) : 11~12장 (마무리 & 전체 소감)
🌱 함께 나눌 주제
불안이 나를 붙잡을 때,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행동은 무엇일까?
책 속에서 공감되거나 도전받은 문장
‘개인, 타인, 공동체’의 차원에서 불안과 행동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
🤝 참여 안내
하루에 2장씩, 부담 없는 분량으로 읽고 글로 생각을 나눕니다.
완독보다 중요한 건 함께 읽으며 자기 삶과 연결 짓는 경험이에요.
모임 전에는 “참여 이유, 책에 대한 기대”를 수다방에서 함께 나눠주세요.
불안을 넘어서는 작은 행동의 힘을 함께 경험해 보시길 기대합니다.
<모임 전 수다>에서는 함께 읽기를 통해서 기대하는 것,
참여이유, 책과 관련한 정보 등을 공유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5 변화와 성장을 위한 자기계발서 읽기 ]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읽기
D-29

다시모임지기의 말

다시
'움직임'과 '행동'을 주저하는 시간에 좋은 책 한권이 다가왔습니다. 지식이 아는것을 넘어서서 움직임과 실천을 통해서 더 나아지는 경험을 기대합니다.

달달하게산
의지박약보다는 자기 희생을 좀 하더라도 끝까지 해내는 편이긴 해요. 다만 시작하기전에 쓸데없는 걱정을 하는 버릇이 있어서, 제목이 무슨 뜻인지도 알것 같달까요. 이미 갖고 있는 자기 신념이 좀더 강화되어 일상의 탄력을 기대하며 신청했습니다.

달달하게산
당신의 가장 큰 적은 누구인가? 혹시 당신 자신이 아닐까?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8,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달하게산
우리의 인생은 두려워하고, 화내고, 불안해하고, 슬퍼하고, 걱정하고, 부정적 감정의 수렁에 빠져 허덕이기에는 너무 짧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38,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달하게산
그 어떤 것도 당신이 스스로 들려주는 이야기처럼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당신의 이야기 (정체성) 가 바뀌지 않는 한 삶도 바뀌지 않는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58,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달하게산
... 이 모든 것은 SAT 점수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단지 그가 얼마나 똑똑한 사람인지 자신에게 들려주는 이야기가 중요했을 뿐이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73,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달달하게산
저는 들어가는 서문의 첫 두 문장에 가장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나의 가장 큰 적은 바로 나. 자신이 원하는 상황보다는 원치 않는 상황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는게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하지만, 저 문장이 그 어느 때보다 더 강렬하게 다가온 이유는, 어쩌면 내가 긍정적인 생각에 좀더 집중하는 연습을 이젠 정말 적극적으로 해야할 시기가 아닐까란 생각이 들어서인것 같습니다. 한국어 제목도 간단 명료하면서 핵심을 찔러 좋은데, 우연히 발견한 영제가 사실 더 마음에 듭니다. LEVEL UP. 이제는 다른 차원의 내가 되어보고 싶다는 생각. 일상에서 보다 의식적이 되려고 오늘부터 그 노력을 시작합니다. 마음같아선 "100일 완주"같은 거창한 무언가를 감히 도전해보고 싶지만, 당장 이 책을 읽는 6일간만이라도 제대로 이 마인드를 장착하고 지내보는 걸로!

다시
충격을 주는 문장과 구절들이 저도 많았어요. 행동하지 못하고 두려워하는 나 자신을 직면하게 해주는 문장들에 정신이 바짝 들었던 앞부분이었습니다.

달달하게산
뒤늦게 생각난것이 있어 덧붙여봅니다. 서문 어디쯤엔가 저자가 아버지의 사랑 운운하는 부분이 있어요. 그 대목에서, 저도 저의 특정 행위가 어떤 특정 이유에서 비롯되었다는 걸 깨달았어요. 예를 들면, 시험이나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내가 할수 있는 준비는 분명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안해하며 '더 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의구심으로 좌불안석이 되는 거요. 그 습관적인 태도의 배후에는 "아직 부족하다" 는 생각이 늘 있었기 때문이었단게 느껴졌습니다. 내가 나를 늘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상, 그 어떤 준비도 만족스러울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이미 지금도 충분하다"는 말을 하기 시 작했는데, 행동으로도 정말 그렇게 옮기니 효과가 좋았던 경험이 얼마전 있어서 공유해봅니다.

다시
행동과 머뭇거림의 경계선상에는 '망설임' 이 있는듯해요. 할까 말까 생각이 될때는 하는것이 낫다. 라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는데, 늘 쉽지 않은 문제죠. "이미 지금도 충분하다!" 정말 큰 위안과 바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힘을 주는 말이네요. ^^

다시
인생이란 꽤 단순하다. 목표를 달성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둘중의 하나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17,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우리가 걱정하는 일 중의 97퍼센트는 기우에 불과하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34,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당신이 '행동하지 않은' 대가도 반드시 당신 자신이 치르게 될 것이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42,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공포는 당신이 안전지대의 경계선에 도달했음을 알려주는 장치다. 다시 말해 어떤 장애물을 뛰어넘어 앞으로 나아가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가르쳐주는 안내판인 셈이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45,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당신의 이야기(정체성)가 바뀌지 않는 한 삶도 바뀌지 않는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58,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나는 당신이 생각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또한 나는 내가 생각하는 그 사람도 아니다. 나는 당신이 나를 어떤 사람으로 생각할 거라고 믿는 바로 그 사람이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66,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하나의 견고한 시스템을 무너뜨리려면 원하는 겨로가를 얻어낼 만한 행동이 필요하다. 정체성을 바꾸려면 어떤 일이 가능하다고 믿기 전에 먼저 행동에 나서야 한다.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70, p.71,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지금 내가 하는 일은 목표에 다가서는 데 도움이 되는가, 아니면 나를 목표에서 더 멀어지게 하는가? "
『행동은 불안을 이긴다 - 의지박약과 만성적 미루기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행동 설계』 p.83, 롭 다이얼 지음, 박영준 옮김
문장모음 보기

다시
매일 나에게 다가오는 해야할 일과, 하루를 보내며 했던 행동을 떠올려봤습니다. 그냥 모른척 하고 지나쳐버리기도 하고 '하긴 해야 하는데...' 하면서 결국은 못한 것들이 결국 책에서 이야기하는 '안전지대'안에 갇혀있어서였군요. 안전지대를 벗어나는 방법은 내가 갖고 있는 정체성을 바꾸는 일이며, 그 정체성을 바꾸는 가장 빠르고 강력한 방법은 '행동'을 통해서다. 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접합니다. p.83에 나와있는 "지금 하는 일이 목표에 가깝게 다가서는 데 도움이 된다면, 계속 실천하라. 그렇지 않으면 즉시 중단하라. 필요하다면 하루에 백 번 이라도 스스로에게 질문하라. 는 이야기가 가장 강하게 남습니다.

달달하게산
안전지대를 넓힌다는 건, 사실 우리 모두가 늘 해온 일 같아요. 갓난아기가 엉금엉금 기어 다니다 걸어다니는 것도 결국 같은 맥락인것 같거든요. 나보다 더 대담해보이는 이는, 분명 나보다 더 큰 안전지대를 갖고 있겠구나 란 생각을 저도 했습니다. 그래서 나 역시, 과거의 나와는 다른 차원의 내가 되려면 이 안전지대를 계속 넓혀나가야 한다는 것. 쉽진 않겠지만, 가치는 있는 것.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