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를 짓누르고, 감당하지 못할 것만 같던 큰 고민과 어려움도 시간이 흘러 떨어져서 바라보면 '왜 그렇게나 힘들었을까' '그렇게까지 괴로워했을까' '사실 그렇게까지 큰일은 아니었는데'라고 생각되기도 하죠. 버겁게 느껴지는 오늘이 3년 후, 10년 후의 Alice2023님께 '그때 그랬었지. 하지만 내 나름대로 잘 대처하고, 불안하지만 나만의 안정감을 잘 발휘했던 것 같아' 하면서 웃고 지나갈 수 있는 날들로 기억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
D-29

동양북스
HERB
늦게나마 제출합니다
A1.
작년까지만 해도 완전한 위험 회피형이었어요. 요즘 진로에 대한 걱정이 많아요. 지금 다니고 있는 전공은 그냥 흘러가는 대로 아무데나 지원해서 온 곳이거든요. 그냥 자각 없이 다니다가 최근에서야 진로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 것 같아요. 너무 어릴때부터 억누르고 있어서 저는 안정된 직장을 가지고 걱정만 없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안정을 가장 중요시 하는 인간이었어요. 그리고 올해 저 자신을 돌아보며 안정도 좋지만 역시 난 성장하고 설레는 성취감 있는 삶이 좋더라구요. 그렇지만 아직도 불안과 실패가 두렵고 안정을 원하는 마음도 큰 상태에요. 성장하고 재밌는, 성취감 있는 삶을 살고 싶어도 애초에 좋아하는게 뭔지도 모르겠고 뭘 해야할지도 모르겠으니까요. 여러 경험을 해봐야한다해도 그게 어떤 경험인지 알려주지 않으면서 그런말들만 한다고 수동적인 생각을 많이 해요. 그럼에도 아무것도 모르겠는 막막함에 그냥 조용히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싶지만 하고 싶은게 뭔지 모르겠어서 막막함과 동시에 조급함이 올라오는 건 어쩔 수 없는 거 같네요..
A2.
아닌걸 알면서도 끊어내지 못했어요. 그 사람이 없다고 제가 못산다고 생각은 안했지만, 그 순간이 너무 아플거 같아서, 제 감정과 신체 반응이 제 통제를 벗어나는 그 감각이 너무 무서웠어요. 사랑이 아니었단 것도 알았고 이 관계가 위험하고 나를 망쳐가고 있다는 것도 알았지만 그걸 알고도 놓지 못할만큼 감정적으로 몰려있었다는 거겠죠. 지금도 완전히 나아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당시의 나에게 불안하고 힘들어해도 된다고 말해주고 싶네요. 힘든 감정이 너무 싫어서 부정적인 감정들이 올라올때마다 힘들기 싫다거나 불안해하지 좀 말라거나 많이 부정했었거든요. 그리고 선택을 후회하고 자신을 혐오하던 나에게 나의 선택에는 다 그럴 수밖에 없던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당시의 합리적인 사고에서 나온 선택이었다는 것을 그러니 본인을 탓하기보다 그럴 수밖에 없던 자신을 안아주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어쩌다보니 너무 공감이 가서 50페이지 이후쯤부터는 타자로 통필사를 하게됐네요.

동양북스
먼저 <안정감 수업>이 HERB님께 공감이 될 수 있었다니 기쁘네요.😊 직접 써내려 가면서 한층 더 <안정감 수업>을 느끼고, 그 내용을 깊이 받아들일 수 있을 테니 HERB님의 필사를 응원합니다.
많은 사람이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로 끊임없는 성장, 발전을 꿈꾸지만 그것을 잃지 않고 나아가기엔 현실적인 문제들 앞에서 부딪히곤 하죠. 특히나 실수에 인색한 사회와 나 자신에게 인색한 우리들의 모습 때문에 우리는 더욱 진짜로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하고 싶은 것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적은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당장 삶의 방향이나 커다란 목표를 정하는 것이 아닌 내 안의 목소리를 들으며 사소한 내 취향부터 이루고 싶은 것들을 정리해보는 건 어떨까요?
내 삶의 모든 날들이 편안할 수만은 없고, 불안하지 않은 상황들만 이어질 수는 없어요. 중요한 것은 그러한 시간 속에서 내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정하느냐에 따라 안정감은 달라질 수 있으니까요. 불안하지 않은 삶은 없고, HERB님에게도 당시에 그럴 수밖에 없는 HERB님만의 이유가 있었을 거예요. 그러니 그 시간 속 후회하고, 나 자신을 미워하던 내게 괜찮다고, 그때는 힘들고 괴로웠지만 지금은 그 시간을 버티고 지나왔다고 고생했다고 말해준다면 좋겠어요. HERB님의 안전하고 편안한 오늘을 응원합니다.🤗
느티나무
“ 불안감이 한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깊습니다. 단순히 심리적,감정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행동, 대인관계, 그리고 건강에도 장기간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요. 또한 삶의 중요한 결정들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그러므로 불안감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안정감 수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71~72,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안정감의 정도에 따라 한 사람이 바라보는 세상의 크기와 그가 어디까지 용기 내서 나아갈 수 있는지가 결정됩니다.
『안정감 수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77,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객관적이지 않은 '불안감'은 마치 거대한 불랙홀과 같습니다. 안정감을 느낄 만한 요인은 무엇이든 삼켜 버리기 때문에 언제나 안정감이 부족하다고 여기지요. 아무리 주변에서 안정적인 조건과 요소를 제공해도 '안정감이 있다'는 사실을 온전히 느끼지 못합니다. ”
『안정감 수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141,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안정감을 다시 세우기에 앞서 우리는 이 세상에 '절대적인 안전'이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완전한 안정감', '완벽한 안정감'을 바라는 마음이 클수록 오히려 가장 크게 고통받는 건 자기 자신입니다. ”
『안정감 수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144,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감정 조절은 과고하게 고조되거나 지나치게 가라앉은 감정을 즉시 어루만져 평온한 상태로 돌아오기 위한 것입니다.
『안정감 수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217,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 사실 진정한 안정감이란, 침착하고 여유로운 마음이자 변화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힘, 그리고 변화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마음입니다. 안정감은 결코 '통제'를 통해 얻어지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의 오해일 뿐입니다. ”
『안정감 수 업 - 스스로 만들어 낸 걱정과 불안에 지친 이들을 위한 안정감 회복 솔루션』 p248, 쑤쉬안후이 지음, 김소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느티나무
A1. 6단계 통제 불가능한 요인 받아들이기에서 나온 문장중에 "진정한 안정감이란 변화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유연하면서고 단단한 마음"이라는 문장이 제 마음에 와닿네요. 그전에는 완벽주의 성향과 회피하는 성향이 강했는데요. 모든걸 잘해야한다는 부담감이 두려워서 회피하려는 성향이 짙어졌구 더 악순환이 자주 찾아왔어요. 책에서 나온 문장처럼 진정한 안정감을 찾아가는 연습을 하다보면 나중에는 좀 더 직접적으로 깨닫게 될거라고 믿어요 ~
A2. 일이 많아서 바쁘기도 하고 몸이 안좋아서 이런저런 상황속에서 불안감이 커지기도 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제가 어떤 상황에서 안정감을 느끼는지 돌이켜보는 시간이였어요. 저처럼 불안함을 자주 느끼거나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분들에게 책을 추천해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