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는
네 가지 요소를 살펴봐야 해요.
작자, 언어, 대상, 독자.
모든 허물은 나에게 있다 하지요.
언어, 대상, 독자에 대한
나의 생각과 태도를 바로 잡지 않는다면,
러닝 소매에 머리를 집어넣으려는 아이나
매연을 뿜으며 내달리는 트럭과 뭐가 다르겠어요.
어디 시 쓰는 일에서만 그러할까요.
ㅡ본문에서
<불화하는 말들> 읽기
D-29
eim모임지기의 말
eim
“ 시가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는
네 가지 요소를 살펴봐야 해요.
작자, 언어, 대상, 독자.
모든 허물은 나에게 있다 하지요.
언어, 대상, 독자에 대한
나의 생각과 태도를 바로 잡지 않는다면,
러닝 소매에 머리를 집어넣으려는 아이나
매연을 뿜으며 내달리는 트럭과 뭐가 다르겠어요.
어디 시 쓰는 일에서만 그러할까요.
'안 좋은 시인의 사랑을 받는
남(여)자는 얼마나 안 행복할까.' ”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0,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구이경지'라는 말처럼,
시는 끝까지 공경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 거예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1,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묵상 기도의 '주체'가 관상기도에서는 '역주체'로 바뀌는 것이지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2,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걸레를 비틀어짜면 땟물이 뚝뚝 떨어지지요.
말의 비틀림을 통해 내가 누군지 알게 되고,
속절없지 않은 삶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돼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7,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사랑은 사랑을 사랑하는 것이고,
반성은 반성을 반성하는 거예요.
시는 자신을 용서하지 않은 반성이에요.
어떻게 반성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지 마세 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9,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글쓰기는 오만한 우리를 전복시키는 거예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11,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시가 안 되면, 나에게 뒤집음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말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것을 이야기하세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13,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시 쓰는 건 자기 정화예요.
화장실에 볼일 보러 가듯이,
밥 먹은 다음 양치질하듯이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17,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 시를 쓸 때는 무언가 묻어나게 하세요.
그 묻어난다는 것이 사람을 아득하게 하고,
손 쓸 수 없게 하고, 막막하게 해야 해요.
죽은 이의 피부처럼 아무리 눌러도
돌아오지 않는 막막함, 그 막막함에
쓰는 사람 자신이 먼저 감전돼야 해요. ”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19,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분명한건, 이 막막함은 좋다는 거예요.
또는, 좋다고 받아들여야 하는 거예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20,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그렇게 해서 시인은 읽는 사람을 다치게 하는 거예요.
『불화하는 말들 - 2006-2007』 30,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