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쓰는 건 말의 수로를 만들어주는 거예요.
내 안에서 지나가는 말의 흐름을 주시하세요.
ㅡ본문에서
<무한화서> 읽기
D-29
eim모임지기의 말
eim
하나의 이미지에는 많은 감정들이 달라붙지만,
하나의 감정에는 하나의 이미지밖에 붙어 있지 않아요.
『무한화서 - 2002-2015』 9,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시를 쓰는 건 말의 수로를 만들어주는 거예요. 말을 끌고 가려 하지 말고, 내 안에서 지나가는 말의 흐름을 주시하세요.
『무한화서 - 2002-2015』 12-13,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말을 사탕처럼 입안에 굴리고 다니세요. 끼어드는 말, 들러붙는 말, 스며드는 말이 좋은 말이에요.
평소 하는 말인데, '도망가는 어떤 말'이 시예요.
『무한화서 - 2002-2015』 55-59, 이성 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시의 첫걸음은 도취이고 광기이지만, 두 번째 걸음은 방정식이에요.
불투명하고 불안정한 언어를 다루는 시는 수학보다 정확해야 해요. 시인에게 이보다 더 중요한 윤리는 없어요.
『무한화서 - 2002-2015』 60-61,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eim
별것 아니었는데 밥 먹다 생각하니 은근히 기분 나쁜 말, 그런 말이 힘 있는 말이에요. 치명적 상처를 입은 사람은 '난 괜찮 아......' 한대요. 그러고는 퍽 쓰러지지요.
『무한화서 - 2002-2015』 72, 이성복 지음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