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무새 죽이기 <To Kill a Mockingbird> 영어 원서 함께읽기

D-29
“Atticus, you must be wrong....” “How’s that?” “Well, most folks seem to think they’re right and you’re wrong....” “They’re certainly entitled to think that, and they’re entitled to full respect for their opinions,” said Atticus, “but before I can live with other folks I’ve got to live with myself. The one thing that doesn’t abide by majority rule is a person’s conscience.”
[세트] 앵무새 죽이기 (그래픽 노블) + 앵무새 죽이기 - 전2권 프레드 포드햄 지음, 이상원 옮김, 하퍼 리 원작
에티커스가 말하는 양심이라는 것, 그건 일종의 도덕적 자립 아닐까. 그리고 그런 면에서 그 역시 메이컴 사람들을 닮아있지 않은가. 물론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어요. 저 역시도 단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일단 그런 가설을 한켠에 놓고 파트 2를 읽고 싶습니다. 그럼 왜 굳이 그런 가설이 필요한가, 무슨 의미지, 의아하실 수도 있는데. 우선 저는 Go Set a Watchman의 에티커스가 To Kill a Mockingbird의 에티커스와 같은 에티커스인지 궁금하고요. 전자가 후자와 달리 많이 비판 받고 아예 인정 안하는 독자들도 있지만, 저 역시 전자가 초고나 같고 하퍼 리도 출판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지만, 그럼에도 그 소설도 진짜 스카우트와 진짜 에티커스와 진짜 메이컴이 느껴지기에, 아무튼 그래요. 그리고 또, 에티커스가 래들리와 커닝햄과 듀보스 부인은 이해하면서도 이후 나오는 유얼에 대해선 거의 감정적으로 경멸하는, 망설임 없이 트래쉬라고 부르는, 그 이해의 한계선이 뭔지 궁금하고요. 여태 생각하기로는, 밥 유얼은 경제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자립하지 못한 양심도 내적인 진실도 없는 그런 인물로 그려져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하여튼 파트2를 읽으며 계속 생각해보고 싶은 문제입니다.
파수꾼과 같이 엮어서 생각하면 애티커스의 평가가 달라지겠죠. 저는 안 읽었기에 단언 할 수 없지만 논란을 살펴보았을때 파수꾼의 애티커스가 남부의 미덕과 가치관을 고수하는 신사라는 것에 동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만 앵무새 죽이기에서의 애티커스는 아니라고 보는거죠. 애티커스가 커닝햄, 두보스 부인과 같은 옹고집, 자립 이런 것들이 비슷하다고 그래서 남부적인 것이다 라고 하셨는데.. 남부적인 것을 무엇으로 보느냐에서 차이가 있네요.
그래서 파수꾼의 에티커스와 앵무새죽이기의 에티커스가 같은 에티커스인지 궁금하다는 얘기였어요. 그런데 저가 두 책을 읽고 느낀 바로는, 전자를 부정하고 후자만 긍정하기엔 둘 사이에 강한 일관성이 있었고 두 책 자체가 그러하고요. 파수꾼이 초고에 가까운 소설이라 완성도가 훨씬 떨어지지만 그럼에도 파수꾼과 앵무새 죽이기는 같은 세계이고, 작가 하퍼 리에게 있어 서로 벽을 쳐서 단절시킬 수 없는 이야기일 거라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물론 그런 부분도 베오님께서 보시면 전혀 다르게 생각하실 수 있겠죠. 그렇다면 일단 남부적인 것을 떠나서 베오님은 래들리, 커닝햄, 듀보스 부인과 미스 모디까지 아울러 메이컴 사람들과 에티커스가 닮은 점이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설령 비슷한 구석이 있더라도 그들은 보수적이고 고집을 부리는 것이고 에티커스는 지혜롭고 진보적이기에 전혀 다르다고 보시나요? 저는 비슷한 기질이 각자가 놓인 상황과 조건에 따라 때로는 긍정적으로 때로는 부정적으로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To Kill a Mockingbird 1부 함께읽기를 마무리하며> 오늘로서 1부 함께읽기가 마무리되고 일주일 휴식 겸 모집기간을 거쳐 10월 26일부터 2부 함께읽기가 시작됩니다. 원서 읽기가 부담스러울 수 있는 탓에 많은 분이 참여해주시지는 못했는데요. 그동안 바빠 책읽기가 뒤쳐졌다면 이번 일주일을 활용하시는 것도 괜찮고 아니면 번역서를 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2부 함께읽기에서는 번역서도 함께 읽으려고 하니까요. 참여해 달라고 애원하는 모양새인데ㅋ 비록 그동안 많은 얘기를 나누지는 못했더라도 22명 참여자분 모두 감사합니다. @모임 저는 앞으로도 그믐에서 영어 소설 함께읽기 모임을 계속하고 싶어요. 12월에는 The Catcher in the Rye를 새해가 되면 The Great Gatsby를 할까 생각 중이랍니다. 그러니까 오늘 안녕하더라도 계속 안녕하시고 다음에 또 안녕하길 바래요.
수고하셨어요 뭐야님. 앵무새 끝나고 하는 두 작품은 아쉽지만 제 취향이 아니라 원서로 읽는 것은 참여 안 할 듯 하고요, 그 후에 영어로 읽고 싶은 책이 있으면 그때 또 참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느덧 모임 마지막 날이네요. 힘을 내어 1부 마지막 챕터 11을 다 읽었습니다. 이에 관한 뭐야 님과 베오 님의 위 대화도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애티커스라는 인물에 대하여.. 들었던 생각을 두서 없이 적어보자면: - 중학교 때 읽었을 땐 그저 "정의로운 변호사"라는 다소 단편적인 느낌으로 받아들였던 기억인데, 이번에 다시 읽으니 여러 층위의 모습이 보였어요. 그 모습들을 꿰뚫는 가치가 무엇일까, 곱씹었었는데 베오님의 "사람을 단편적으로 판단하지 않는 애티커스 개인의 인간적 성숙함"이라는 표현이 굉장히 와닿았습니다. - 그런데 뭐야 님이 설명하신 "남부적 미덕과 가치관을 고수하려는 신사"에 대해서도 생각해봤는데요. 음 - 저도 "남부적"인 게 정확히 무엇, 인지 안다고 하기 어렵지만. JD 밴스의 "힐빌리의 노래" 책을 올해 초에 읽었었는데 앵무새 죽이기에 등장하는 어른들의 모습에서, 힐빌리에서 묘사되는 밴스의 할머니가 떠오르는 대목들이 있었어요. 원칙과 도덕성을 강조하고 자존심을 지키며 나름의 방식으로 올곶게 살아가는 어른이랄까? 그런데 두보스 부인은 자신의 자존심은 끝까지 지켰지만 끝내 자기와 다른 사람들을 품지는 못했다는 점에서 애티커스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링컨이 이런 말을 했었다고 하던데.."I don't like that man. I must know him better." 챕터 11을 보며 이 말이 자꾸 생각났습니다.) - 그렇지만 애티커스가 소위 뉴욕의 세련된 개혁적 진보인사와는 또 다르다고 생각되는 건 무엇일까요. 제가 볼 땐, "다 각자의 의견이 있는 것이니 존중해야지" 라는 점을 강조하다보면 가치중립적인 다원주의 자체만 가치로 남고,그 외의 방향성은 관철시키기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해서인 거 같기도 해요. 그래도 잘못된 건 잘못된 거니 고쳐나가야 개혁이 있고, 변화가 있을 수 있는 것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든달까. 때론 어떤 가치관 보다도 개인적 도덕심에서 비롯된 행동이 더 큰 힘을 발휘하곤 하니 비교나 평가를 하긴 어려운 문제이긴 하지만요. - 아무튼 그래서 2부 읽기도 기대가 됩니다. 애티커스가 볼 때 "그래도 이건 옳지 않아."라고 하는 지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반가워요, 싱아님. 챕터 11까지 읽으셨군요. 에티커스가, To Kill a Mockingbird에서는 마치 간달프 같은 위상이죠, 거의 완벽한. Go Set a Watchman에서는 더 복잡하고 논쟁적으로 나오는데, 저가 언급한 남부적인 가치관은 거기서 잭 핀치가 에티커스를 설명하기 위해 꺼낸 얘기였어요. 근데 그런 남부적인, 메이컴적인 특징이 여기 래들리나 커닝햄이나 듀보스 부인 같은 이웃들을 통해서 고스란히 나온다고 봤고. 그들을 이해하는 에티커스도 역시 공유하는 게 있다고 저는 봤어요. 듀보스 부인이야말로 흥미로운 인물인데 많이 다루지 못했네요. 그녀는, 지금 독자들에겐 용납 안될지도, 독자로서 그녀를 이해할 필요롤 못 느낄지도 모르겠네요. Racist니까 그럼 볼 장 다본 거니까. 하지만 소설이니까, 소설 속 맥락을 가진 인물이니 상상해보면, 그녀는 젬과 스카웃에게 왜 그랬을까? 그녀 입장에서는 그들이 옳지 않다고 여겼겠죠, 도덕적으로. 물론 그녀의 도덕은 잘못됐고 시대착오적이지마, 일단 그녀는 사회적으로 그렇게 학습했고 그결과 다가오는 시대의 도덕과 충돌하는 도덕적 비판을 한 거라고 생각해요, 괜한 꼬장만 부린 게 아니라. 그럼 그녀의 이런 잘못된, 시대착오적인 도덕을 어떻게 바꿀까? 대화를 해서 설득할 수도 있겠지만 너는 인종주의자고 악이라고 몰아붙일 수도 있겠죠. 저가 줏어듣기로는, 과거 미국사회는 후자의 방법을 택한 걸로 알고 있어요. 그 결과 정치적 지형이 크게 바뀌었고 남부는 송두리째 공화당으로 넘어갔고 바로 그 파장과 결과를 오늘날 미국인 뿐 아니라 전세계가, 우리나라 사람들도 체감하며 살아가는 게 아닐까, 이 소설을 다시 읽으며 고민하게 된 저나름 화두였고요^^ 에티커스가 말한 양심을 저는 일종의 내적진실이라고 표현하고 싶은데,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나는 내가 무슨 짓을 했는지, 무슨 생각을 했는지, 나 자신을 직면할 수 있는 것.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저는 듀보스 부인 또한 마지막까지 자신의 내적 진실을 추구했던 인물이라고 생각해요. 즉 남들이 나를 알아주든 몰라주든, 나를 옳다고 칭송하든 틀렸다고 비난하든, 가장 중요한 건 내가 바라보는 나 자신이 옳았는가, 그대로 실천했는가. 물론 이게 과하면 자립을 넘어 고립이 되고(래들리처럼) 커닝햄처럼 괜한 고집이 되기도 하고 듀보스 부인처럼 왜곡되기도 하지만 그런 내적진실 자체가 없다는 건(밥 유얼처럼) 그건 에티커스에게조차도 이해할 여지를 못 주는 게 아닐까. 일단은 그런 생각인데 2부를 읽으며 그 생각이 바뀔수도 있겠죠. 구구절절 말했지만, 소설 속 인물에 대해 저마다 달리 바라본다는 게 그 자체로도 좋다고 생각해요. 동시에 저마다 달리 본 걸 다른 사람과 열심히 얘기하는 것도 좋고요. 2부에서도 그렇게 지금처럼 대화를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뭐야님과 베오님, 그리고 그밖에 함께 해주신 모임원들 덕분에 더 풍성하고 즐겁게 책을 읽을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독서 모임을 하며 책을 읽는 재미를 느끼게 했던 모임이었습니다. 특히나 저는 막연히 저에게 특별한 책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추상적인 느낌으로만 남아있었던 이 책을 다시 한 번 꼼꼼히 읽어볼 수 있어서 의미 있는 시간이었어요. 모임을 만들어주신 뭐야님 감사 드려요. 2부에도 함께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마지막날 참여해주셔서 기뻤습니다. 또 뵈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앤솔러지클럽] 3. [책증정] 일곱 빛깔로 길어올린 일곱 가지 이야기, 『한강』[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도서 증정] 《아버지를 구독해주세요》마케터와 함께 자유롭게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죽음에 관해 생각합니다
[책 나눔] 송강원 에세이 <수월한 농담> 혼자 펼치기 어렵다면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18. <어떻게 죽을 것인가> 읽고 답해요 죽음을 사색하는 책 읽기 1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
[도서 선물] <알고리즘 포비아> 현 인류에게 꼭 필요한 질문, 편집자와 함께 답해요🤖[지식의숲/책 증정] 《거짓 공감》, 캔슬 컬처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서
노벨문학상이 궁금하다면?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책 증정]2020 노벨문학상, 루이즈 글릭 대표작 <야생 붓꽃>을 함께 읽어요.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작품 읽기
삶의 길을 밝히고 미래를 전망하는 한겨레 출판
[한겨레출판/책 증정] 《쓰는 몸으로 살기》 함께 읽으며 쓰는 몸 만들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11월의 책 <말뚝들>, 김홍, 한겨레출판올해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멜라닌>을 읽어보아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내일의 문학을 가장 빠르게 만나는 방법! <셋셋 2024> 출간 기념 독서 모임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 느리게 천천히 책을 읽는 방법, 필사
[책증정] 더 완벽한 하루를 만드는『DAY&NIGHT 50일 영어 필사』함께 읽고 써요필사와 함께 하는 조지 오웰 읽기혹시 필사 좋아하세요?영어 필사 100일의 기적 / 모임이 100일동안 이루어지지는 못하겠지만 도전해봅니다.[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수학은 나와 상관없다?! 🔢
[김영사/책증정]수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세상은 아름다운 난제로 가득하다》함께 읽기문학편식쟁이의 수학공부! 50일 수학(상) 마저 풀어요.[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