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읽었지만 이제 는 제대로 기억나는 건 제목 뿐인 도스토옙스키의 작품들을 하나씩 읽어보려고 합니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권으로 먼저 시작. 정성껏 열심히 읽어보고 싶습니다.
도스토옙스키 읽기 시작
D-29

mamerry모임지기의 말
화제로 지정된 대화

도우리
싱글챌린지는 자신이 직접 정한 책으로 29일간 완독에 도전하는 과정입니다.
그믐의 안내자인 제가 앞으로 29일 동안 10개의 질문을 던질게요. 책을 성실히 읽고 모든 질문에 답하면 싱글챌린지 성공이에요.
29일간의 독서 마라톤, 저 도우리가 페이스메이커로 같이 뛰면서 함께 합니다. 그믐의 모든 회원들도 완독을 응원할거에요.
계속 미뤄 두기만 했던 책에 도전해 볼 수 있는 싱글챌린지!
자신만의 싱글챌린지를 시작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로 접속해 주세요.
https://www.gmeum.com/gather/create/solo/template

도우리
싱글챌린지로 왜 이 책을 왜 선택했나요?

mamerry
유투브 알 고리즘에 일당백이라는 채널에서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 관한 책 이야기 하는 영상을 봤다. 어렸을 때 읽은 내용은 제대로 기억나지 않고 러시아 이름이 어려웠던 기억만. 이번에 한 번 정독해보고 싶다.

mamerry
유투브 알고리즘에 일당백이라는 채널에서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 관한 책 이야기 하는 영상을 봤다. 어렸을 때 읽은 내용은 제대로 기억나지 않고 러시아 이름이 어려웠던 기억만. 이번에 한 번 정독해보고 싶다.

mamerry
“ 괴짜란 '언제나' 부분벅이고 특수한 현상인 것은 '아닐' 뿐더러 오히려 바로 그가 이따금씩은 자신의 내부에 전체의 핵심을 담지하고 있기 때문이며-고로 그의 시대의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어떤 거센 돌풍으로 인해 왠지 잠깐동안 그에게서 떨어져 나가 버린 데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p12,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도우리
오늘까지 읽은 부분에서 인상적인 내용을 알려 주세요.

mamerry
알로샤(알렉세이)의 사람을 온전히 믿으면서도 순진한 놈, 얼뜨기 취급을 받지 않는 것. 남에게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능력? 혹은 재능이라 표현. 사랑은 하는 대상에게서 오는 것이 아닌가? 받는 대상에게도 무언가 재능이라는 게 있어서 그것이 가능하게 하는 게 있는건가? 그걸 천성이라 표현한 도스토옙스키의 표현들이 흥미로움.

mamerry
“ 즉 그는 자신의 해방에 기뻐함과 동시에 자신을 해방시켜 준 여인을 애도하면 울었던 것이니-모든 것이 함께 뒤섞였던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이란 심지어 악인들조차도 우리가 대략적으로 단정 짓는 것보다는 훨씬 더 순진하고 순박한 법이다. 이건 우리 자신도 마찬가지이다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23,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mamerry
“ 그에게는, 남을 심판하고 싶지도 않고 남을 탓하는 일을 떠맡고 싶지도 않고 또 어떤 일이 있어도 남을 탓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주고 각인시켜 주는 뭔가가 있었다.(이후에도 평생 그러했다.)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p41,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 음, 김연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mamerry
“ 모욕을 마음에 담아 두는 일도 절대 없었다.(중략)그것도 자기가 받은 모욕을 어쩌다 잊었다거나 일부러 용서해 주었다는 식의 표정도 아니고 그저 그런 것은 모욕도 뭐도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것이 또한 아이들의 마음을 완전히 홀리고 사로잡았던 것이다.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p43,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mamerry
그는 못됐고 또 감상적이었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 p54,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연경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