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 Misérables

D-29
— Oui, les brutalités du progrès s’appellent révolutions. Quand elles sont finies, on reconnaît ceci : que le genre humain a été rudoyé, mais qu’il a marché. 'Yes, the brutalities of progress are called revolutions. When they are over, what we recognize is this: the human race has had a rough time, but it has advanced.' "그렇소, 진보의 난폭함을 혁명이라 부르오. 혁명이 끝나면 사람들은 인정하오, 인류는 곤욕을 치렀으나 진보했음을."
— L’infini est. Il est là. Si l’infini n’avait pas de moi, le moi serait sa borne, il ne serait pas infini ; en d’autres termes, il ne serait pas. Or il est. Donc il a un moi. Ce moi de l’infini, c’est Dieu. 'The infinite exists. It is there. If the infinite had no selfhood, selfhood would set a limit upon it; it would not be infinite. In other words there world be no such thing. Yet exist it does. So it has a self. That selfhood of the infinite is God.' "무한은 존재한다. 무한은 저기에 있다. 만약 무한에 자아가 없다면, 이 나의 자아가 그것의 한계가 될 것이다. 그러면 무한은 무한이 아닐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무한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무한은 존재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자아를 갖는다. 무한의 자아, 그것이 곧 신이다."
This is tautological logic, to be sure. However, it is as powerfully delivered as it is falsely based.
Personne ne pourrait dire que le passage de cet esprit devant le sien et le reflet de cette grande conscience sur la sienne ne fût pas pour quelque chose dans son approche de la perfection. No one could say that the passing of that soul before his own, and the reflection of that great conscience on his own, did not somehow contribute to his approach to perfection. 주교의 정신 앞을 지나간 그의 정신과 주교의 양심 위에 반영된 그의 위대한 양심이 주교가 완전의 경지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는 아무도 말할 수 없으리라.
Tome 1, Livre 1, Ch. 11. Une restriction Mais ce qui nous plaît vis-à-vis de ceux qui montent nous plaît moins vis-à-vis de ceux qui tombent. Nous n’aimons le combat que tant qu’il y a du danger ; et, dans tous les cas, les combattants de la première heure ont seuls le droit d’être les exterminateurs de la dernière. Qui n’a pas été accusateur opiniâtre pendant la prospérité doit se taire devant l’écroulement. Le dénonciateur du succès est le seul légitime justicier de la chute. But what pleases us in the treatment of those on their way up is less pleasing in the treatment of those on their way down. We approve of fighting only so long as there is danger, and in any case only those who fought in the first instance have the right to be exterminators at the last. He who has not been a persistent opponent in times of prosperity should remain silent when the downfall comes. Challenging success gives the only legitimacy to prosecuting failure. 같은 행위라도 상승하는 사람들에게 할 때에는 우리 마음에 들지만 추락하는 사람들에게 할 때에는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우리는 위험이 있는 동안에만 싸움을 좋아한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초기의 투사들만이 막판에 전멸시키는 자가 되는 권리를 갖는다. 흥성할 때에 집요한 비난자가 아니었던 자는 몰락 앞에서 침묵을 지켜야 한다. 성공의 고발자만이 몰락의 정당한 판정자다.
Tome 1, Livre 1, Ch. 12. Solitude de monseigneur Bienvenu Réussir, voilà l’enseignement qui tombe goutte à goutte de la corruption en surplomb. Soit dit en passant, c’est une chose assez hideuse que le succès. Sa fausse ressemblance avec le mérite trompe les hommes. Pour la foule, la réussite a presque le même profil que la suprématie. Le succès, ce ménechme du talent, a une dupe, l’histoire. Succeed - that is the lesson drip-dripping down from the corruption at the top. Let it be said in passing, success is a fairly hideous thing. Its false resemblances to merit deceives men. For the masses, success has almost the same profile as supremacy. Success, talent's seeming double, has a dupe: history. 성공하는 것, 거기에는 앞으로 튀어나온 부패에서 한 방울 한 방울 떨어지는 교훈이 있다. 말이 났으니 말이지만, 성공이란 참 끔찍스러운 것이다. 진실한 가치와 성공의 허울 뿐인 유사성이 사람들을 속인다. 군중에게 성공은 우월성과 거의 같은 모습을 띤다. 재능과 쌍둥이같이 닮은 성공에 속는 것이 있다. 즉 역사다.
Prospérité suppose capacité. Gagnez à la loterie, vous voilà un habile homme. Qui triomphe est vénéré. .... soyez heureux, on vous croira grand. Principle of success: prosperity implies capability. Win the lottery and you are a clever man. Whoever wins is respected. .... Be fortunate and you will be thought great. '영달'은 곧 '능력'이라고 추측된다. 복권에 당첨돼라. 그러면 그대는 재주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승리하는 자는 숭배받는다. ....행복해라. 그러면 사람들은 그대를 위대하다고 믿으리라.
Tome 1, Livre 1, Ch. 13. Ce qu’il croyait Les laideurs de l’aspect, les difformités de l’instinct ne le troublaient pas et ne l’indignaient pas. Il en était ému, presque attendri. Il semblait que, pensif, il en allât chercher, au delà de la vie apparente la cause, l’explication ou l’excuse. Il semblait par moments demander à Dieu des commutations. Physical unsightlinesses, aberrations of instinct, did not disturb him and did not offend him. He was moved almost to pity by them. He seemed thoughtfully to seek the cause, explanation or excuse for them beyond the visible world. At times it seemed as if he were asking God to go easier on them. 겉모양의 추함도 본능의 약점도 그를 괴롭히거나 화나게 하지 않았다. 그는 그러한 것에 감동하고 가엽게까지 여겼다. 그는 깊이 생각에 잠겨, 그 원인과 설명 또는 변명을 표면의 삶을 넘어서 추구하려는 것 같았다. 때로는 주에게 그것의 변경을 구하는 것같이도 보였다.
Il n’étudiait pas Dieu ; il s’en éblouissait. Il considérait ces magnifiques rencontres des atomes qui donnent des aspects à la matière, révèlent les forces en les constatant, créent les individualités dans l’unité, les proportions dans l’étendue, l’innombrable dans l’infini, et par la lumière produisent la beauté. Ces rencontres se nouent et se dénouent sans cesse ; de là la vie et la mort. He did not study God, he yielded to the radiance of God. He considered these magnificent conjunctions of atoms that lend appearances to matter, reveal forces by putting them into effect, create individuality within unity, proportion within the continuum of space, the numberless within the infinite; and produce beauty through light. There is a continuous binding and loosening of these conjunctions. Hence, life and death. 그는 주를 연구하지 않았으며, 주에 마음이 사로잡혀 있었다. 그는 원자들의 그 놀라운 만남을 고찰하고 있었다. 물질에 외관을 주고, 힘을 확인하면서 그 힘을 나타내고, 통일 속에 개성을, 넓이 속에 균형을, 무한 속에 무수(無數)를 만들어 내고, 빛으로 아름다움을 낳는 원자들의 만남을. 만남들은 끊임없이 맺어졌다가 풀어진다. 이로 말미암아 생과 사가 생겨난다. Ces rencontres se nouent et se dénouent sans cesse ; 이 만남과 이어짐, 엮임과 꼬임 등의 비유는 뒤에서도 계속 나옴. 'dénouement'
N’est-ce pas là tout, en effet, et que désirer au delà ? Un petit jardin pour se promener, et l’immensité pour rêver. À ses pieds ce qu’on peut cultiver et cueillir ; sur sa tête ce qu’on peut étudier et méditer ; quelques fleurs sur la terre et toutes les étoiles dans le ciel. Was not all here, in fact - what more could anyone wish for? A little garden in which to stroll and boundless space for dreaming. At his feet, what a man may grow and pick, and above his head, what he may study and meditate on: a few flowers in the ground and all the stars in the firmament. 사실 거기에 모든 것이 있지 않은가? 그 밖에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산책하기 위해서는 작은 정원이 있고, 명상에 잠기기 위해서는 무한한 하늘이 있다. 발아래에는 가꾸고 거둘 수 있는 것이 있고, 머리 위에는 연구하고 명상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며, 땅 위에는 몇 송이의 꽃이 하늘에는 그 모든 별이 있다.
Tome 1, Livre 1, Ch. 14. Ce qu’il pensait le mystérieux monde qui nous entoure rend ce qu’il reçoit, il est probable que les contemplateurs sont contemplés. The mysterious world that surrounds us returns what i receives. The contemplators are probably contemplated. 우리들을 둘러싼 신비한 세계는 제가 받은 것을 되돌려 주어, 관조자는 피관조자가 될 수도 있으리라.
L’univers lui apparaissait comme une immense maladie ; il sentait partout de la fièvre, il auscultait partout de la souffrance, et, sans chercher à deviner l’énigme, il tâchait de panser la plaie. .... Il y a des hommes qui travaillent à l’extraction de l’or ; lui, il travaillait à l’extraction de la pitié. L’universelle misère était sa mine. La douleur partout n’était qu’une occasion de bonté toujours. .... Monseigneur Bienvenu était simplement un homme qui constatait du dehors les questions mystérieuses sans les scruter, sans les agiter, et sans en troubler son propre esprit, et qui avait dans l’âme le grave respect de l’ombre. The universe seemed to him an immense sickness. He was aware of fever everywhere, everywhere he heard the sound of suffering, and without seeking to understand the mystery he strove to dress the wound. .... There are men who toil to extract gold. He toiled to extract pity. Universal wretchedness was his mine. Suffering everywhere was but an opportunity for kindness always. .... Monseineur Bienvenu was simply a man who noted the mysterious questions from the outside, but without studying them, without debating them and without troubling his own mind over them, and who had in his soul a serious respect for the unknown. 이 세상이 그에게는 하나의 커다란 질병처럼 보였다. 그는 도처에서 열병을 느끼고, 도처에서 고통스러운 소리를 들었으며, 불가해한 문제를 풀려고 하지 않고, 상처를 치료하려고 애썼다. .... 세상에는 황금 파내기에 애쓰는 사람들이 있는데, 주교는 연민 파내기에 힘썼다. 온 누리의 바참함은 그의 광산이었다. 도처에 있는 인간의 고뇌는 언제나 친절을 베풀 기회일 뿐이었다. 비엥브뉘 예하는 신비한 문제들을 밖에서 확인할 뿐, 그것들을 탐색하고, 흔들어 보고, 그것들로 자기 자신의 정신을 어지럽히지 않는, 그리고 마음속의 망령에 근엄한 존경심을 품고 있는 단 하나의 인간일 뿐이었다.
Tome 1, Livre 2, Ch. 3. HÉROÏSME DE L’OBÉISSANCE PASSIVE Monsieur à un forçat, c’est un verre d’eau à un naufragé de la Méduse. L’ignominie a soif de considération. 'Monsieur' to a convict is like a glass of water to one of the shipwrecked survivors of the Medusa. Ignominy thirsts for respect. 죄수에게 '노형'이라는 말은 메뒤즈호의 조난자에게 주는 한 컵의 물과도 같았다. 모멸을 받아 온 자는 존경받기를 갈망한다. Monsieur을 '노형'이라는 말로 번역할 수 밖에 없나..;;;
— Cette porte ne demande pas à celui qui entre s’il a un nom, mais s’il a une douleur. Qu’ai-je besoin de savoir votre nom ? D’ailleurs, avant que vous me le disiez, vous en avez un que je savais. — Vrai ? vous saviez comment je m’appelle ? — Oui, répondit l’évêque, vous vous appelez mon frère. 'This door does not ask whoever enters whether he has a name but whether he is in distress. ... Why should I need to know you name? Besides, even before you told me, I already knew your name.' 'Really? You knew me by my name?' 'Yes", replied the bishop, 'by the name of "Brother".' "이 집의 문은 들어오는 사람에게 이름을 묻지 않고, 그에게 고통이 있는가 없는 가를 물을 뿐이오. .... 어찌 내가 당신의 이름을 알 필요가 있겠소? 더구나 당신이 이름을 말하기 전에 당신에게는 내가 알던 이름 하나가 있소." "정말입니까? 사제님은 제 이름이 무엇인지 알고 계셨습니까?" "그렇소." 주교는 대답했다. "당신 이름은 나의 헝제요." I, 1, 6 Par qui il faisait garder sa maison 에서 나온 말: Ne demandez pas son nom à qui vous demande un gîte. C’est surtout celui-là que son nom embarrasse qui a besoin d’asile.
Si vous sortez de ce lieu douloureux avec des pensées de haine et de colère contre les hommes, vous êtes digne de pitié ; si vous en sortez avec des pensées de bienveillance, de douceur et de paix, vous valez mieux qu’aucun de nous. ' .... If you come away from that place of sorrow with thoughts of hatred and anger against mankind, you're deserving of pity. If you come away with benevolent thoughts, of kindness and peace, you're worth more than any of us.' 당신이 그 고통스러운 곳에서 인간에 대한 증오와 분노의 생각을 가지고 나온다면, 당신은 가엾은 사람이오. 반면 거기서 호의와 온정과 화합의 생각을 가지고 나온다면, 단신은 우리들 중 누구보다도 훌륭한 사람이오."
Tome 1, Livre 2, Ch. 6. Jean Valjean Les villes font des hommes féroces, parce qu’elles font des hommes corrompus. La montagne, la mer, la forêt, font des hommes sauvages. Elles développent le côté farouche, mais souvent sans détruire le côté humain. Towns produce vicious men because they produce corrupted men. The mountains, the sea, the forest produce men of the wild; they develop the wildness in them, but often without destroying their humanity. 도회지는 부패한 인간과 흉포한 인간을 만든다. 산과 바다, 숲은 야성인을 만든다. 이것들은 인간의 사나운 면을 키워 주기는 하지만 흔히 인간벅인 면을 파괴하지는 않는다.
Le clocher de ce qui avait été leur village les oublia ; la borne de ce qui avait été leur champ les oublia ; après quelques années de séjour au bagne, Jean Valjean lui-même les oublia. Dans ce cœur où il y avait eu une plaie, il y eut une cicatrice. The clock-tower of what had been their village forgot them. The boundary of what had been their land forgot them. After a few years in prison Jean Valjean himself forgot them. In that heart where there had been an open wound there was now a scar. 그들이 살던 마을의 종루는 그들을 잊었고, 그들이 살던 농촌의 경계석도 그들을 잊었으며, 장 발장조차도 감옥살이 몇 년 끝에 그들을 잊었다. 상처가 있었던 그의 가슴 속에는 흉터가 남았다.
Tome 1, Livre 2, Ch. 7. Le dedans du désespoir Il faut bien que la société regarde ces choses puisque c’est elle qui les fait. It is surely incumbent on society to examine these things, since it is society that creates them. 이런 것들을 만들어 내는 것은 사회이니까 사회는 모름지기 그것들을 봐야만 한다.
Ses préméditations passaient par les trois phases successives que les natures d’une certaine trempe peuvent seules parcourir, raisonnement, volonté, obstination. His premeditations went through three successive phases, a progress of which only natures of a certain quality are capable: rationalization, resolve, determination. 행동하기 전에 그가 하는 사색은 연속적인 세 단계를 거쳤는데, 그것은 어떤 종류의 기질을 가진 자들만이 거칠 수 있는 순서로서, 추리, 의지, 집요합이었다. 추리보다는 '자기 합리화', 의지보다는 '결단/결의'가 낫지 않았을까..
Tome 1, Livre 2, Ch. 8. L’onde et l’ombre La mer, c’est l’inexorable nuit sociale où la pénalité jette ses damnés. La mer, c’est l’immense misère. L’âme, à vau-l’eau dans ce gouffre, peut devenir un cadavre. Qui la ressuscitera ? The sea is the inexorable social darkness into which the penal system casts its damned. The sea is immense wretchedness. The soul cut adrift in these fathomless deeps may become a corpse. Who will resuscitate it? 바다, 그것은 형벌이 벌 받은 자를 던지는 사회의 가혹한 밤이다. 바다, 그것은 엄청난 비참함이다. 영혼이 이 심연 속에 흘려들면 시체가 될 수 있다. 누가 그것을 되살릴 것인가?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 증정] 완독 기대평 쓰고, '코스모스' 받기![그믐앤솔러지클럽] 3. [책증정] 일곱 빛깔로 길어올린 일곱 가지 이야기, 『한강』[도서 증정] 《아버지를 구독해주세요》마케터와 함께 자유롭게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같은 책, 다른 모임!
[2024 여름_빌게이츠 추천도서] 데이비드 부룩스, 《사람을 안다는 것》 읽기[웅진지식북클럽] 2. <사람을 안다는 것> 함께 읽어요[Re:Fresh] 2.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어요. [그믐밤] 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기 @국자와주걱[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쉽게 읽히는 환경책들
[그믐클래식 2025] 11월, 침묵의 봄 [책증정] <해냈어요, 멸망> 그믐에서 만나는 가장 편안한 멸망 이야기[그믐북클럽Xsam]19. <아마존 분홍돌고래를 만나다> 읽고 답해요 [창원 안온] <숨은 시스템> 함께 읽기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노벨문학상이 궁금하다면?
[밀리의 서재로 📙 읽기] 31. 사탄탱고[책 증정]2020 노벨문학상, 루이즈 글릭 대표작 <야생 붓꽃>을 함께 읽어요.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작품 읽기
하드 SF 의 정석
[도서 증정] <탄젠트>(그렉 베어)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사이언스 북스의 책들
[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서평단 모집]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사회에 투여하는 치료제! 『숫자 한국』[책증정] 스티븐 핑커 신간, 『글쓰기의 감각』 읽어 봐요!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내가 사는 '집' 🏠
[책 증정_삼프레스] 모두의 주거 여정 비추는 집 이야기 『스위트 홈』 저자와 함께 읽기[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번외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읽기<한국 소설이 좋아서 2>최양선 소설가와의 온라인 대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Intro – 인트로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 28:12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28:13–53:09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53:09-01:26:36
선과 악에 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8.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밀리의 서재로 📙 읽기] 14. 다윈 영의 악의 기원<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혼자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