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e 2
레 미제라블 2권
D-29

borumis모임지기의 말

borumis
Tome 1에서는 En L'annee 1817 부분에서 대부분 좌절하고 포기한다면 Tome 2에서는 초반의 Waterloo부터 포기하는 경우가 많음.

borumis
Tome 1/Livre 2/02. Hougomont
La mort a une façon à elle de harceler la victoire, et elle fait suivre la gloire par la peste. Le typhus est une annexe du triomphe.
Death has its own way of harrying victory, and brings pestilence in the wake of glory. Typhus is a concomitant of triumph.
죽음은 승리를 괴롭히는 독특한 방법을 가지고 있어, 영광에 이어 흑사병을 가져다준다. 염병 또한 승전의 부속물이다.

borumis
당시 전장의 위생상태를 생각하면 역병이 하나 둘 쯤 도는 건 당연지사. 그나저나 Typhus를 한국말로 염병이라고 하는구나. 욕할 때 염병이 이런 뜻이었군.

borumis
Tome 2/Livre 1/03. Le 18 juin 1815
Quelques gouttes d’eau de plus ou de moins ont fait pencher Napoléon. Pour que Waterloo fût la fin d’Austerlitz, la providence n’a eu besoin que d’un peu de pluie, et un nuage traversant le ciel à contre-sens de la saison a suffi pour l’écroulement d’un monde.
A few drops of water more or less decided Napoleon's fate. For Waterloo to be the end of Austerlitz, providence needed only a little rain, and an unseasonal cloud in the sky was enough to bring a world to ruin.
몇 방울의 물이 더 많으냐 더 적으냐가 나폴레옹의 운명을 좌우했다. 워털루를 아우스터리츠 승전의 종말이 되게 하기 위해 천심은 조금의 비밖에 필요치 않았고, 하늘을 건너가는 때아닌 한 조각의 구름은 세상을 뒤집어 놓기에 충분했다.

borumis
Quant à nous, nous laissons les historiens aux prises ; nous ne sommes qu’un témoin à distance, un passant dans la plaine, un chercheur penché sur cette terre pétrie de chair humaine, prenant peut-être des apparences pour des réalités ; .... selon nous, un enchaînement de hasards domine à Waterloo les deux capitaines ; et quand il s’agit du destin, ce mystérieux accusé, nous jugeons comme le peuple, ce juge naïf.
We are but a remote witness, a passer-by on the plain, one seeking to learn from that soil composted with human flesh, perhaps mistaking appearances for realities. ... In our view, the two leaders at Waterloo are ruled by a concatenation of accidents. And where that mysterious culprit destiny is involved, we share the verdict of that naive judge, the people.
나는 다만 먼 데서 보는 목격자, 이 벌판의 통행자, 사람의 살로 반죽된 이 땅 위에 몸을 구부리는 탐구자일 뿐이다. 나는 아마 피상을 사실로 착각할지도 모른다. ...
다만 내가 보는 바로는 우연들의 연결이 워털루에서 두 장수를 지배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신비로운 피고인 운명이 문제일 때에는, 나는 저 순진한 판관인 민중처럼 판단한다.

borumis
nous를 1인칭인 나로 번역하니 좀더 작가 중심적인 개인적 의견 같다.

borumis
Tome 2/Livre 1/04. A
Cette clarté, l’histoire, est impitoyable ; elle a cela d’étrange et de divin que, toute lumière qu’elle est et précisément parce qu’elle est lumière, elle met souvent de l’ombre là où l’on voyait des rayons ; du même homme elle fait deux fantômes différents, et l’un attaque l’autre, et en fait justice, et les ténèbres du despote luttent avec l’éblouissement du capitaine. .....
La tyrannie suit le tyran. C’est un malheur pour un homme de laisser derrière lui de la nuit qui a sa forme.
This clarity, history, is unforgiving. What is strange and divine about it is that, though it brings light, and precisely because it brings light, it often casts a shadow in places where brightness used to be seen. It creates two different phantoms of the same man, and the one attacks the other and exposes him for what he is, and the shadows of the despot contend with the brilliancy of the leader.
... Tyranny follows the tyrant. It is a gragedy for a man to leave behind him darkness in his own image.
이 빛은, 역사는 무자비하다. 그것은 어떤 신기하고 신성한 것을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오로지 빛이고 바로 빛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빛을 보고 있던 곳에 흔히 그림자를 던진다. 그것은 같은 사람을 가지고 두 개의 서로 다른 망령을 만들고, 하나의 망령은 다른 망령을 공격하고 잘못을 따지며, 전제군주의 암흑은 장수의 광채와 다툰다. .... 폭군 뒤에는 포학이 따라온다. 자기의 모습을 갖는 암흑을 자기 뒤에 두고 가는 것은 한 인간에게 불행한 일이다.

borumis
Tome 2/Livre 1/07. Napoléon de belle humeur
L’homme qui avait été sombre à Austerlitz fut gai à Waterloo. Les plus grands prédestinés font de ces contre-sens. Nos joies sont de l’ombre. Le suprême sourire est à Dieu.
The man who had been grim at Austerlitz was cheerful at Waterloo. Those with the greatest destinies to fulfill often make these mistakes. Our joys are illusory. The supreme smile belongs to God.
아우스터리츠에서는 침울했던 이 사람이 워털루에서는 쾌활했다. 운명이 예정된 위인들은 그러한 모순을 갖는다. 우리의 기쁨은 그림자다. 최후의 미소는 하느님의 것이다.

borumis
Tome 2/Livre 1/08. L’empereur fait une question au guide Lacoste
Napoléon était habitué à regarder la guerre fixement ; il ne faisait jamais chiffre à chiffre l’addition poignante du détail ; les chiffres lui importaient peu, pourvu qu’ils donnassent ce total : victoire
Napoleon was used to looking at war steadily. He never counted the cost in the heart-rending detail of its individual numbers. Numbers mattered little to him, provided they gave this total: victory.
나폴레옹은 전쟁을 응시하는 것에 익숙했으므로, 결코 이 숫자 저 숫자의 세목을 가슴 아프게 계산하지 않았다. 숫자들은 그 총계인 승리를 가져다주기만 한다면 그에게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borumis
아 하지만 각각의 숫자가 더해져서 총계가 나오는 것이고.. the devil's in the detail..

borumis
Tome 2/Livre 1/09. L’inattendu
Napoléon avait été dénoncé dans l’infini, et sa chute était décidée.
Il gênait Dieu.
Waterloo n’est point une bataille ; c’est le changement de front de l’univers.
Napoleon had been denounced in the realms of the infinite and his downfall had been decided. He was an inconvenience to God.
Waterloo is no battle. It is a change of front in the universe.
나폴레옹은 무한 속에서 고발되어 있었고, 그의 추락은 결정되어 있었다.
그는 하늘의 뜻을 거스르고 있었다.
워털루는 결코 하나의 전투가 아니다. 그것은 세계의 얼굴을 바꾸는 것이다.

borumis
Tome 2/Livre 1/13. La catastrophe
la pire des mêlées, c’est la déroute, les amis s’entretuent pour fuir
The worst of frays is a rout. Friends kill each other so as to make their escape.
교전 중 최악의 것은 궤주다. 도망하기 위해 친구 들끼리 서로 죽인다.

borumis
Tome 2/Livre 1/14-15
Braves français, rendez-vous ! Cambronne répondit : Merde !
...
Foudroyer d’un tel mot le tonnerre qui vous tue, c’est vaincre.
...
il en subit l’énormité, mais il en constate le néant ; et il fait plus que cracher sur elle
...
Cette parole du dédain titanique, Cambronne ne la jette pas seulement à l’Europe au nom de l’empire, ce serait peu ; il la jette au passé au nom de la révolution.
'Brave Frenchmen, surrender!'
Cambronne replied, 'Merde!'
...
To hurl such a verbal thunderbolt at the bombshells that are killing you is to be vicorious!
...
He suffers the enormity of it but he can see its emptiness. And he more than spits on it.
...
This word of titanic disdain Cambronne hurls not only at Europe in the name of the Empire-that would be of little consequence- he hurls it at the past in the name of the Revolution.
"용감한 프랑스 병사들이여, 항복해라!" 캉브론이 대답했다. "아나, 똥 먹어라!"
...
자기를 죽이는 천둥에 그러한 말로써 벼락을 치는 것, 그것은 곧 이기는 것이다.
...
그는 이 승리의 엄청남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지만, 그것의 허망함을 인정한다. 그리고 그것에 침을 뱉는 것보다도 더한 일을 한다.
....
그 거창한 경멸의 말을 캉브론은 단지 제국의 이름으로 유럽에 던지는 것만이 아니다. 그건 대단한 게 아닐 것이다. 그는 그것을 혁명의 이름으로 과거에 던진다.

borumis
Tome 2/Livre 1/16. Quot libras in duce ?
Grâce au ciel, les peuples sont grands en dehors des lugubres aventures de l’épée. Ni l’Allemagne, ni l’Angleterre, ni la France, ne tiennent dans un fourreau.
...Un vaste lever d’idées est propre à notre siècle, et dans cette aurore l’Angleterre et l’Allemagne ont une lueur magnifique. Elles sont majestueuses par ce qu’elles pensent. L’élévation du niveau qu’elles apportent à la civilisation leur est intrinsèque ; il vient d’elles-mêmes, et non d’un accident.
....Il n’y a que les peuples barbares qui aient des crues subites après une victoire. C’est la vanité passagère des torrents enflés d’un orage. Les peuples civilisés, surtout au temps où nous sommes, ne se haussent ni ne s’abaissent par la bonne ou mauvaise fortune d’un capitaine.
... Souvent bataille perdue, progrès conquis. Moins de gloire, plus de liberté. Le tambour se tait, la raison prend la parole. C’est le jeu à qui perd gagne.
Thank heavens, nations are great regardless of the grim fortunes of war. Neither England, nor Germany, nor France is defined by the scabbard.
... A great intellectual dawn distinguishes our century, and in this advent of light England and Germany have their own magnificent radiance. They have majesty because they think. The advancement they bring to civilization is intrinsic to them. It derives from themselves and not from an accident.
...It is only barbarous peoples that suddenly flourish after a victory, such being the fleeting vanity of torrents swollen by a storm. Civilized peoples, especially in our own times, neither rise nor fall by the good or bad fortune of a leader.
... Often a battle lost is progress gained. Less glory, more freedom. The drum falls silent, reason speaks. It is the game of loser wins.
다행히도 그 국민들은 칼부림의 서글픈 사건들 밖에서 위대햐다. 독일도 영국도 프랑스도 칼집 속에 들어 있지 않다. ...
사상들의 융성은 19세기의 특유한 것이고, 그 여명 속에서 영국과 독일은 찬연히 빛난다. 이 나라들은 그들의 사상 때문에 장엄하다. 그들이 문명에 가져다준 수준의 상승은 그들에게 고유한 것이다. 그들 자체가 근원인지, 어떤 사건이 근원은 아니다.
... 어떤 승전 후에 갑자기 커진 것은 야만적인 국민들뿐일 것이다. 그것은 소나기로 불은 격류의 일시적인 허영이다. 개화된 국민들은, 특히 우리들이 살고 있는 시대에는 한 장수의 행운이나 불운에 의해 지위가 올라가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 흔히 전투에는 패하되 발전을 획득한다. 영광은 줄되 자유는 많아진다. 북소리는 사라지되 이성은 입을 연다. 그것은 지는 자가 이기는 노름이다.

borumis
Tome 2/Livre 1/17. Faut-il trouver bon Waterloo ?
Voulez-vous vous rendre compte de ce que c’est que la révolution, appelez-la Progrès ; et voulez-vous vous rendre compte de ce que c’est que le progrès, appelez-le Demain. Demain fait irrésistiblement son œuvre, et il la fait dès aujourd’hui. Il arrive toujours à son but, étrangement.
....Les sabreurs ont fini, c’est le tour des penseurs. Le siècle que Waterloo voulait arrêter a marché dessus et a poursuivi sa route. Cette victoire sinistre a été vaincue par la liberté.
....Ne voyons dans Waterloo que ce qui est dans Waterloo. De liberté intentionnelle, point. La contre-révolution était involontairement libérale, de même que, par un phénomène correspondant, Napoléon était involontairement révolutionnaire.
If you want to understand what revolution is, call it Progress. And if you want to understand what progress is, call it Tomorrow. Tomorrow comes into effect irresistibly, and does so even today.
.... The swordsmen have finished, it is the turn of the thinkers. The century that Waterloo tried to halt walked right over it and continued on its way. That inauspicious victory was vanquished by liberty.
.... Let us not see Waterloo for anything other than what it was. Not intentionally liberal. The counter-revolution was inadvertently liberal just as, by a corresponding phenomenon, Napoleon was inadvertently revolutionary.
혁명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진보'라고 불러 보라. 그리고 만약 진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내일'이라고 불러 보라. '내일'은 억제할 수 없게 자신의 일을 하는데, 그 일을 바로 오늘부터 한다. 그것은 이상하게도 언제나 제 목적에 도달한다.
.... 군도로 싸우는 사람들은 끝나고 이제 사상가들의 차례다. 워털루가 멈추고자 했던 시대는 워털루를 뛰어넘어 제 길을 갔다. 이 상서롭지 못한 승리는 자유에 의해 격파되었다.
.... 워털루에서 오직 워털루에 있는 것만을 보자. 의도적인 자유는 조금도 없다. 반혁명은 본의 아니게 자유적인 것이 되었고, 그와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현상으로, 나폴레옹도 본의 아니게 혁명가가 되었다.

borumis
Tome 2/Livre 1/18. Recrudescence du droit divin
L’homme avait été à la fois agrandi et amoindri par Napoléon. L’idéal, sous ce règne de la matière splendide, avait reçu le nom étrange d’idéologie. Grave imprudence d’un grand homme, tourner en dérision l’avenir. Les peuples cependant, cette chair à canon si amoureuse du canonnier, le cherchaient des yeux.
... Chose singulière, on s’éprit en même temps de cet avenir, Liberté, et de ce passé, Napoléon. La défaite avait grandi le vaincu. Bonaparte tombé semblait plus haut que Napoléon debout. Ceux qui avaient triomphé eurent peur.
Man had been both magnified and diminished by Napoleon. During that reign of glorious physical achievement, the ideal had been given the strange name of ideology. A grave imprudence in a great man, to deride the future. The populace, however, that cannon fodder so fond of the cannon loader, kept looking to him.
.... Strangely, people were inspired both by that future, liberty, and by that past, Napoleon. Defeat increased the stature of the vanquished. Bonaparte overthrown seemed greater than Napoleon standing. Those who had triumphed were scared.
인간은 나폴레옹에 의해 동시에 위대해지기도 하고 왜소해지기도 했다. 이상은 저 찬란한 물질의 시대에 관념론이라는 묘한 이름을 받고 있었다. 미래를 조롱한 것은 한 위인의 중대한 경솔이었다. 그렇지만 국민들은, 그 포수를 열렬히 사랑했던 그 총알받이는 그를 눈으로 찾고 있었다.
.... 이상하게도 사람들은 그 미래인 '자유'와 그 과거인 나폴레옹에게 동시에 열을 올렸다. 패전은 패전자를 위대하게 만들어 놓았다. 넘어진 보나파르트는 서 있는 나폴레옹보다 더 커 보였다. 승리한 자들은 두려워했다.

borumis
Tome 2/Livre 1/19. Le champ de bataille la nuit
La guerre a d’affreuses beautés que nous n’avons point cachées ; elle a aussi, convenons-en, quelques laideurs. Une des plus surprenantes, c’est le prompt dépouillement des morts après la victoire. L’aube qui suit une bataille se lève toujours sur des cadavres nus.
War has a terrible beauty of which we have made no secret. We can all agree it also has some uglinesses. One of the most surprising is the summary stripping of the dead after victory. The day after a battle always dawns of naked bodies.
전쟁에 끔찍한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을 나는 조금도 숨기지 않았는데, 거기에는 또한 추악함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자. 가장 놀라운 것 중 하나는 승리 후에 전사자들이 재빨리 당하는 약탈이다. 전투 다음 날 새벽은 언제나 벌거벗은 시체들 위에서 밝아 온다.

borumis
Tome 2/Livre 2/3. Qu’il fallait que la chaîne de la manille eût subi un certain travail préparatoire pour être ainsi brisée d’un coup de marteau
Une armée est un étrange chef-d’œuvre de combinaison où la force résulte d’une somme énorme d’impuissance. Ainsi s’explique la guerre, faite par l’humanité contre l’humanité malgré l’humanité.
An army is a strangely contrived masterpiece by which force results from an enormous amount of powerlessness. This is the explanation of war, waged by humanity against humanity despite humanity.
군대라는 것은 결합의 신기한 걸작이어서, 무능의 막대한 합계에서 힘이 생겨난다. 인류에 의하여, 인류에 대하여, 인류의 뜻에 반하여 행해지는 전쟁은 그렇게 설명이 된다.

borumis
Tome 2/Liver 3/08. Désagrément de recevoir chez soi un pauvre qui est peut-être un riche
Elle eut recours à l’expédient des enfants toujours effrayés. Elle mentit.
She resorted to the tactic adopted by children in constant fear. She lied.
그녀는 늘 겁을 집어 먹고 있는 어린아이들이 곧잘 둘러맞추는 수단을 썼다. 그녀는 거짓말을 했다.

borumis
Ces trois petites filles n’avaient pas vingt-quatre ans à elles trois, et elles représentaient déjà toute la société des hommes ; d’un côté l’envie, de l’autre le dédain.
These three little girls' ages did not add up to twenty-four years between them but they already represented the whole of human society: envy on the one hand, scorn on the other.
이 세 어린 계집애들은 그녀들 셋을 합쳐도 스물네 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벌써 어른들의 모든 사회를 나타내고 있었으니, 한쪽에는 선망이, 다른 쪽에는 멸시가 있었다.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