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하지만 각각의 숫자가 더해져서 총계가 나오는 것이고.. the devil's in the detail..
레 미제라블 2권
D-29

borumis

borumis
Tome 2/Livre 1/09. L’inattendu
Napoléon avait été dénoncé dans l’infini, et sa chute était décidée.
Il gênait Dieu.
Waterloo n’est point une bataille ; c’est le changement de front de l’univers.
Napoleon had been denounced in the realms of the infinite and his downfall had been decided. He was an inconvenience to God.
Waterloo is no battle. It is a change of front in the universe.
나폴레옹은 무한 속에서 고발되어 있었고, 그의 추락은 결정되어 있었다.
그는 하늘의 뜻을 거스르고 있었다.
워털루는 결코 하나의 전투가 아니 다. 그것은 세계의 얼굴을 바꾸는 것이다.

borumis
Tome 2/Livre 1/13. La catastrophe
la pire des mêlées, c’est la déroute, les amis s’entretuent pour fuir
The worst of frays is a rout. Friends kill each other so as to make their escape.
교전 중 최악의 것은 궤주다. 도망하기 위해 친구들끼리 서로 죽인다.

borumis
Tome 2/Livre 1/14-15
Braves français, rendez-vous ! Cambronne répondit : Merde !
...
Foudroyer d’un tel mot le tonnerre qui vous tue, c’est vaincre.
...
il en subit l’énormité, mais il en constate le néant ; et il fait plus que cracher sur elle
...
Cette parole du dédain titanique, Cambronne ne la jette pas seulement à l’Europe au nom de l’empire, ce serait peu ; il la jette au passé au nom de la révolution.
'Brave Frenchmen, surrender!'
Cambronne replied, 'Merde!'
...
To hurl such a verbal thunderbolt at the bombshells that are killing you is to be vicorious!
...
He suffers the enormity of it but he can see its emptiness. And he more than spits on it.
...
This word of titanic disdain Cambronne hurls not only at Europe in the name of the Empire-that would be of little consequence- he hurls it at the past in the name of the Revolution.
"용감한 프랑스 병사들이여, 항복해라!" 캉브론이 대답했다. "아나, 똥 먹어라!"
...
자기를 죽이는 천둥에 그러한 말로써 벼락을 치는 것, 그것은 곧 이기는 것이다.
...
그는 이 승리의 엄청남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지만, 그것의 허망함을 인정한다. 그리고 그것에 침을 뱉는 것보다도 더한 일을 한다.
....
그 거창한 경멸의 말을 캉브론은 단지 제국의 이름으로 유럽에 던지는 것만이 아니다. 그건 대단한 게 아닐 것이다. 그는 그것을 혁명의 이름으로 과거에 던진다.

borumis
Tome 2/Livre 1/16. Quot libras in duce ?
Grâce au ciel, les peuples sont grands en dehors des lugubres aventures de l’épée. Ni l’Allemagne, ni l’Angleterre, ni la France, ne tiennent dans un fourreau.
...Un vaste lever d’idées est propre à notre siècle, et dans cette aurore l’Angleterre et l’Allemagne ont une lueur magnifique. Elles sont majestueuses par ce qu’elles pensent. L’élévation du niveau qu’elles apportent à la civilisation leur est intrinsèque ; il vient d’elles-mêmes, et non d’un accident.
....Il n’y a que les peuples barbares qui aient des crues subites après une victoire. C’est la vanité passagère des torrents enflés d’un orage. Les peuples civilisés, surtout au temps où nous sommes, ne se haussent ni ne s’abaissent par la bonne ou mauvaise fortune d’un capitaine.
... Souvent bataille perdue, progrès conquis. Moins de gloire, plus de liberté. Le tambour se tait, la raison prend la parole. C’est le jeu à qui perd gagne.
Thank heavens, nations are great regardless of the grim fortunes of war. Neither England, nor Germany, nor France is defined by the scabbard.
... A great intellectual dawn distinguishes our century, and in this advent of light England and Germany have their own magnificent radiance. They have majesty because they think. The advancement they bring to civilization is intrinsic to them. It derives from themselves and not from an accident.
...It is only barbarous peoples that suddenly flourish after a victory, such being the fleeting vanity of torrents swollen by a storm. Civilized peoples, especially in our own times, neither rise nor fall by the good or bad fortune of a leader.
... Often a battle lost is progress gained. Less glory, more freedom. The drum falls silent, reason speaks. It is the game of loser wins.
다행히도 그 국민들은 칼부림의 서글픈 사건들 밖에서 위대햐다. 독일도 영국도 프랑스도 칼집 속에 들어 있지 않다. ...
사상들의 융성은 19세기의 특유한 것이고, 그 여명 속에서 영국과 독일은 찬연히 빛난다. 이 나라들은 그들의 사상 때문에 장엄하다. 그들이 문명에 가져다준 수준의 상승은 그들에게 고유한 것이다. 그들 자체가 근원인지, 어떤 사건이 근원은 아니다.
... 어떤 승전 후에 갑자기 커진 것은 야만적인 국민들뿐일 것이다. 그것은 소나기로 불은 격류의 일시적인 허영이다. 개화된 국민들은, 특히 우리들이 살고 있는 시대에는 한 장수의 행운이나 불운에 의해 지위가 올라가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 흔히 전투에는 패하되 발전을 획득한다. 영광은 줄되 자유는 많아진다. 북소리는 사라지되 이성은 입을 연다. 그것은 지는 자가 이기는 노름이다.

borumis
Tome 2/Livre 1/17. Faut-il trouver bon Waterloo ?
Voulez-vous vous rendre compte de ce que c’est que la révolution, appelez-la Progrès ; et voulez-vous vous rendre compte de ce que c’est que le progrès, appelez-le Demain. Demain fait irrésistiblement son œuvre, et il la fait dès aujourd’hui. Il arrive toujours à son but, étrangement.
....Les sabreurs ont fini, c’est le tour des penseurs. Le siècle que Waterloo voulait arrêter a marché dessus et a poursuivi sa route. Cette victoire sinistre a été vaincue par la liberté.
....Ne voyons dans Waterloo que ce qui est dans Waterloo. De liberté intentionnelle, point. La contre-révolution était involontairement libérale, de même que, par un phénomène correspondant, Napoléon était involontairement révolutionnaire.
If you want to understand what revolution is, call it Progress. And if you want to understand what progress is, call it Tomorrow. Tomorrow comes into effect irresistibly, and does so even today.
.... The swordsmen have finished, it is the turn of the thinkers. The century that Waterloo tried to halt walked right over it and continued on its way. That inauspicious victory was vanquished by liberty.
.... Let us not see Waterloo for anything other than what it was. Not intentionally liberal. The counter-revolution was inadvertently liberal just as, by a corresponding phenomenon, Napoleon was inadvertently revolutionary.
혁명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진보'라고 불러 보라. 그리고 만약 진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것을 '내일'이라고 불러 보라. '내일'은 억제할 수 없게 자신의 일을 하는데, 그 일을 바로 오늘부터 한다. 그것은 이상하게도 언제나 제 목적에 도달한다.
.... 군도로 싸우는 사람들은 끝나고 이제 사상가들의 차례다. 워털루가 멈추고자 했던 시대는 워털루를 뛰어넘어 제 길을 갔다. 이 상서롭지 못한 승리는 자유에 의해 격파되었다.
.... 워털루에서 오직 워털루에 있는 것만을 보자. 의도적인 자유는 조금도 없다. 반혁명은 본의 아니게 자유적인 것이 되었고, 그와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현상으로, 나폴레옹도 본의 아니게 혁명가가 되었다.

borumis
Tome 2/Livre 1/18. Recrudescence du droit divin
L’homme avait été à la fois agrandi et amoindri par Napoléon. L’idéal, sous ce règne de la matière splendide, avait reçu le nom étrange d’idéologie. Grave imprudence d’un grand homme, tourner en dérision l’avenir. Les peuples cependant, cette chair à canon si amoureuse du canonnier, le cherchaient des yeux.
... Chose singulière, on s’éprit en même temps de cet avenir, Liberté, et de ce passé, Napoléon. La défaite avait grandi le vaincu. Bonaparte tombé semblait plus haut que Napoléon debout. Ceux qui avaient triomphé eurent peur.
Man had been both magnified and diminished by Napoleon. During that reign of glorious physical achievement, the ideal had been given the strange name of ideology. A grave imprudence in a great man, to deride the future. The populace, however, that cannon fodder so fond of the cannon loader, kept looking to him.
.... Strangely, people were inspired both by that future, liberty, and by that past, Napoleon. Defeat increased the stature of the vanquished. Bonaparte overthrown seemed greater than Napoleon standing. Those who had triumphed were scared.
인간은 나폴레옹에 의해 동시에 위대해지기도 하고 왜소해지기도 했다. 이상은 저 찬란한 물질의 시대에 관념론이라는 묘한 이름을 받고 있었다. 미래를 조롱한 것은 한 위인의 중대한 경솔이었다. 그렇지만 국민들은, 그 포수를 열렬히 사랑했던 그 총알받이는 그를 눈으로 찾고 있었다.
.... 이상하게도 사람들은 그 미래인 '자유'와 그 과거인 나폴레옹에게 동시에 열을 올렸다. 패전은 패전자를 위대하게 만들어 놓았다. 넘어진 보나파르트는 서 있는 나폴레옹보다 더 커 보였다. 승리한 자들은 두려워했다.

borumis
Tome 2/Livre 1/19. Le champ de bataille la nuit
La guerre a d’affreuses beautés que nous n’avons point cachées ; elle a aussi, convenons-en, quelques laideurs. Une des plus surprenantes, c’est le prompt dépouillement des morts après la victoire. L’aube qui suit une bataille se lève toujours sur des cadavres nus.
War has a terrible beauty of which we have made no secret. We can all agree it also has some uglinesses. One of the most surprising is the summary stripping of the dead after victory. The day after a battle always dawns of naked bodies.
전쟁에 끔찍한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을 나는 조금도 숨기지 않았는데, 거기에는 또한 추악함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자. 가장 놀라운 것 중 하나는 승리 후에 전사자들이 재빨리 당하는 약탈이다. 전투 다음 날 새벽은 언제나 벌거벗은 시체들 위에서 밝아 온다.

borumis
Tome 2/Livre 2/3. Qu’il fallait que la chaîne de la manille eût subi un certain travail préparatoire pour être ainsi brisée d’un coup de marteau
Une armée est un étrange chef-d’œuvre de combinaison où la force résulte d’une somme énorme d’impuissance. Ainsi s’explique la guerre, faite par l’humanité contre l’humanité malgré l’humanité.
An army is a strangely contrived masterpiece by which force results from an enormous amount of powerlessness. This is the explanation of war, waged by humanity against humanity despite humanity.
군대라는 것은 결합의 신기한 걸작이어서, 무능의 막대한 합계에서 힘이 생겨난다. 인류에 의하여, 인류에 대하여, 인류의 뜻에 반하여 행해지는 전쟁은 그렇게 설명이 된다.

borumis
Tome 2/Liver 3/08. Désagrément de recevoir chez soi un pauvre qui est peut-être un riche
Elle eut recours à l’expédient des enfants toujours effrayés. Elle mentit.
She resorted to the tactic adopted by children in constant fear. She lied.
그녀는 늘 겁을 집어 먹고 있는 어린아이들이 곧잘 둘러맞추는 수단을 썼다. 그녀는 거짓말을 했다.

borumis
Ces trois petites filles n’avaient pas vingt-quatre ans à elles trois, et elles représentaient déjà toute la société des hommes ; d’un côté l’envie, de l’autre le dédain.
These three little girls' ages did not add up to twenty-four years between them but they already represented the whole of human society: envy on the one hand, scorn on the other.
이 세 어린 계집애들은 그녀들 셋을 합쳐도 스물네 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벌써 어른들의 모든 사회를 나타내고 있었으니, 한쪽에는 선망이, 다른 쪽에는 멸시가 있었다.

borumis
ㅣ'envie를 선망보다는 시기로 번역해야 하지 않았을까

borumis
.... se figurer que quelque chose est quelqu’un, tout l’avenir de la femme est là.
....Le premier enfant continue la dernière poupée.
Une petite fille sans poupée est à peu près aussi malheureuse et tout à fait aussi impossible qu’une femme sans enfants.
... imagining that something is someone - a woman's entire future lies in this. .... The first child follows on from the last doll
A little girl without a doll is almost as unhappy and quite as inconceivable as a woman without a child.
...어떤 것을 어떤 사람이라고 상상하고, 이런 것에 여자의 모든 미래가 있다. .... 첫아이는 마지막 인형을 계속한다.
인형 없는 소녀는 어린애 없는 여자와 거의 같을 만큼 불행하고 아주 견뎌 내기 힘든다.

borumis
난 인형 갖고 안 놀았는데;; 그래서 애를 갖는 게 두려웠나? ㅋㅋ

borumis
Tome 2/Livre 5/05. Qui serait impossible avec l’éclairage au gaz
Jean Valjean avait cela de particulier qu’on pouvait dire qu’il portait deux besaces ; dans l’une il avait les pensées d’un saint, dans l’autre les redoutables talents d’un forçat. Il fouillait dans l’une ou l’autre, selon l’occasion.
It was a characteristic of Jean Valjean that he might have been said to carry two bags: in one he kept his saintly thoughts, in the other the formidable talents of a convict. He dug into one or the other, depending of circumstances.
장 발장은 그가 두 개의 배낭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그런 특별한 것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중 하나에는 한 성자의 생각을, 또 하나에는 죄수의 무서운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경우에 따라서 그중의 어느 하나를 뒤졌다.
<--한국어 번역 너무 이상;;

borumis
Tome 2/Livre 6/11. Fin du Petit-Picpus
La contemplation est, ainsi que la prière, un besoin de l’humanité ; mais, comme tout ce que la révolution a touché, elle se transformera, et, d’hostile au progrès social, lui deviendra favorable.
Contemplation, like prayer, is a human need. But like everything the Revolution has touched, it will change, and having been hostile to social progress it will become favourable to it.
명상은 기도와 마찬가지로 인류에게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혁명이 손을 댄 모든 것처럼, 명상은 장차 변화하여 사회의 진보에 적대적인 것에서 호의적인 것이 되리라.

borumis
.... que représente le crucifix ? Le sage assassiné.
Au dix-neuvième siècle, l’idée religieuse subit une crise. On désapprend de certaines choses, et l’on fait bien, pourvu qu’en désapprenant ceci, on apprenne cela. Pas de vide dans le cœur humain. De certaines démolitions se font, et il est bon qu’elles se fassent, mais à la condition d’être suivies de reconstructions.
.... Les contrefaçons du passé prennent de faux noms et s’appellent volontiers l’avenir. Ce revenant, le passé, est sujet à falsifier son passeport.
.....Le passé a un visage, la superstition, et un masque, l’hypocrisie. Dénonçons le visage et arrachons le masque.
Quant aux couvents, ils offrent une question complexe. Question de civilisation, qui les condamne ; question de liberté, qui les protège.
.... what does the crucifix represent? The killing of a man of wisdom.
In the nineteenth century religious thinking is undergoing a crisis. Some things can be unlearned, and rightly so, provided that when one thing is unlearned, another is learned. No vacuum in the human heart. Some demolitions occur, and a good thing too, but on condition that reconstruction follows.
.... The spurious things of the past assume false names and pass themselves off as the future. This spectre, the past, is liable to falsify its own passport.
....The past has a face, superstition, and a mask, hypocrisy. Let us expose that face and tear off that mask.
As for convents, they pose a complicated question: a question of civilization, which condemns them, a question of liberty, which protects them.
.... 그리스도의 수난상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살해된 현인이다.
19세기에 종교 관념은 위기를 맞고 있다. 사람들은 어떤 것들을 잊어버리고 있는데, 한 가지를 잊어버려도 다른 것을 배우기만 한다면 잘하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속에 빈 데가 있어서는 안 된다. 어떤 파괴가 이루어질 때, 파괴가 이루어지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파괴 다음에 재건이 뒤이어 온다는 조건에서만 그것은 좋은 일이다.
.... 과거의 위조물들은 가짜 이름을 갖고서 곧잘 미래라고 자칭한다. 이 유령은, 과거는 곧잘 그의 통행권을 위조한다. .... 과거는 하나의 얼굴을, 미신을 갖고 있고, 하나의 탈을, 위선을 갖고 있다. 그 얼굴을 널리 알리고 그 탈을 벗기자.
수도원들에 관해서는, 그것들은 하나의 복합적인 문제를 제공한다. 문명의 문제, 이것은 그것들을 배척하고, 자유의 문제, 이것은 그것들을 비호한다.

borumis
Tome 2/Livre 7/01. Le couvent, idée abstraite
Ce livre est un drame dont le premier personnage est l’infini.
L’homme est le second.
This book is a drama whose main character is the infinite.
Man is the secondary character.
이 책은 무한을 첫째 인물로 삼고 있는 한 편의 드라마다.
인간은 둘째 인물이다.

borumis
Tome 2/Livre 7/02. Le couvent, fait historique
Les claustrations ont fait leur temps. Les cloîtres, utiles à la première éducation de la civilisation moderne, ont été gênants pour sa croissance et sont nuisibles à son développement.
Claustration has had its day. Useful in the early education of modern civilization, cloisters have been a hindrance to its growth and are harmful to its development.
수도원 생활은 그 구실을 다했다. 수도원들은 근대 문명의 초기 교육에는 유익했으나, 문명의 성장을 위해서는 방해가 되었고 그 발전에는 해롭다.

borumis
Tome 2/Livre 7/03. À quelle condition on peut respecter le passé
Combattons, mais distinguons. Le propre de la vérité, c’est de n’être jamais excessive. Quel besoin a-t-elle d’exagérer ? Il y a ce qu’il faut détruire, et il y a ce qu’il faut simplement éclairer et regarder. L’examen bienveillant et grave, quelle force ! N’apportons point la flamme là où la lumière suffit.
Let us fight, but let us discriminate. The characteristic of truth is never to be extreme. What need has it to exaggerate? There is that which needs to be destroyed, and there is that which simply needs to be elucidated and examined. Well intentioned and serious examination, that is a force to be reckoned with! Let us not put to torch where it is enough to bring light.
싸우자. 그러나 분간하자. 진리의 특성, 그것은 결코 지나치지 않는 것이다. 진리에 무슨 과장할 필요가 있겠는가? 파괴해야 할 것이 있고, 단순히 밝히고 들여다보아야 할 것이 있다. 호의에 찬 진지한 고찰, 그것은 얼마나 강력한가! 빛이 충분한 곳에는 불꽃을 가져가지 말자.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