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

D-29
윗니와 아랫니가 완벽하게 맞물린다고 해도 윗니가 빠져버리면 아랫니는 교합을 이룰 파트너가 없어지게 된다. 물론 윗니는 다시 자라나겠지만 시간이 걸릴 것이고, 자라는 동안에는 계속 모양이 바뀌기 때문에 온전한 크기가 될 때까지는 아랫니와 정확히 맞물리지 않는다. 분명 이것은 씹어 먹는 동물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한 방식이다. 그래서 포유류는 다시 한 번 기발한 해결책을 내놓았다. 이들은 평생 이를 새로 가는 것을 멈추고,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p.121,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교합되는 치아를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씹을 수 있는 이런 이른 초기 포유류의 화석은 다른 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들은 두개골 속에 큰 공간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공간에 펠리코사우스류, 수궁류, 견치류 선조들보다 훨씬 큰 뇌가 들어 있었다. (…) 최초의 트라이아스기 포유류들은 씹기도 더 잘하게 됐지만 동시에 머리도 똑똑해지고 있었다. 어쩌면 먹이 섭취 증가가 더 크고 복잡한 뇌를 키워내는 데에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뇌가 확장되면서 턱큰육의 위치 변화를 강요했고, 그 덕분에 정교하게 턱을 움직이고 강하게 무는 것이 가능해졌는지도 모른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2장, 123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턱관절의 진화에서 시작해서 씹기의 진화, 영양분 섭취, 뇌 발달 게다가 오늘날 치과 진료까지! 제가 읽으면서 감탄했던 대목이에요!
포유류 하면 단순하게 새끼에게 젖을 먹이냐 아니냐로 구분하는 거라 여겼는데, 턱관절의 혁신이 포유류 정의의 기준이라는 사실을 이번 독서로 처음 알았습니다. 턱관절이 이렇게나 중요한 것이었다니!
저도요!!
저두요. 예전에 성형외과 교수님이 턱수술 잘못해서 발음 이상해진 배우들도 많다고 턱수술은 함부로 하는 거 아니라던데..ㅎㅎㅎ 이빨 모양이나 턱관절이 포유류 진화에 이렇게 중요한 것이 참 신박하네요. 생각해보면 머나먼 미래에 후손들이 우리나라의 성형기술로 변모된 두개골을 분석하면 의아하게 생각하면서 이런 진화의 원인에 대해 여러가지 가설을 세우지 않을까..하는 망상을 해봅니다.^^;;
패리스 젠킨스의 가장 유명한 그림은 메가조스트로돈이다. (…) 이 그림도 그냥 한 개체를 넘어서 훨씬 더 큰 무언가를 상징하고 있다. 이 그림은 최초의 포유류가 판게아 대륙으로 퍼져나가며 하나의 왕국을 열던 그 혁명의 초상화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2장, 127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트라이아스기가 끝나는 약 2억 100만 년 전에 초대륙이 중앙을 따라 지퍼가 열리듯 쪼개지기 시작했다. 북아메리카대륙이 유럽과 분리되고, 남아메리카대륙은 아프리카와 분리됐다. 현대의 대륙들은 판데아대륙의 균열로 생겨났고, 그 균열선이 지금 대서양으로 남았다. 하지만 새로 갈라지고 있는 육괴 사이의 틈을 바닷물이 밀려 들어와 채우기 전에 지구가 피를 토하듯 용암을 먼저 뱉어냈다. (…) 진짜 무서운 것은 용암이나 화산재가 아니라 화산 분출구를 따라 지구 깊숙한 곳에서 대기 중으로 뿜어져 나온 기체들이었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같은 온실 기체가 지구 온난화에 촉매로 작용했다. 그래서 페름기 말처럼 온도가 급상승하면서 바다를 산성화시켜 얕은 바다에서 산소를 고갈시켰고, 그에 따라 육상과 바다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했다. 다시 한 번 대멸종이 일어났다. 이번에는 적어도 30퍼센트의 종이 죽었다. 하지만 아마도 그보다 훨씬 더 많이 죽었을 것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41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쥐라기 중반에는 날개를 퍼덕거려 하늘로 날아오른 비둘기 크기의 생명체도 등장했다. 이들이 최초의 새였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43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The first Triassic mammals, therefore, were becoming brainier as they were becoming better chewers.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the real terror was not lava or ash, but the gases that rode up the volcanic vents from the deep earth, into the atmosphere-greenhouse gases like carbon dioxide and methane, which catalyzed a spurt of global warming.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아... 데자뷔... 역사는 반복되고..
Some dinosaurs, in fact, would have lived in fear of mammals.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Repenomamus의 화석에서 나오듯이 공룡을 먹는 포유류도 있었는데 (갑자기 치킨이 땡기는;;) 링크의 기사에서는 레페노마무스가 자기보다 더 커다란 앵무새부리를 가진 공룡 Psittacosaurus를 공격하는 화석이 나와있네요.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mammals-preyed-on-much-larger-dinosaurs-a-stunning-new-fossil-reveals/
While it is true that dinosaurs kept mammals from getting big, mammals did the opposite, which was equally impressive: they kept dinosaurs from becoming small.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반면 포유류들은 여전히 작은 체구로 남았다. 주변에 수많은 공룡들이 득실거리고 있었으니 그래야만 했을 것이다. 하지만 공룡처럼 이들도 다양한 식습관, 행동, 이동 방식을 가진 여러 가지 신종으로 다양화했다. 이들은 땅 밑, 덤불 속, 어둠 속, 나무 꼭대기, 그늘 등에 숨어 있던 생태적 지위를 채우는 데 선수가 됐다. 거대한 공룡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라면 어디든 포유류가 존재했고, 또 번성하고 있었을 것이라 장담할 수 있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p.143,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Thrinaxodon Thrinax (θρῖναξ): 고대 그리스어로 ‘삼지창’ 또는 ‘포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Thrinaxodon의 이빨 배열, 특히 세 개의 뚜렷한 송곳니를 연상시키는 특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odon (ὀδών): ‘이빨’을 뜻하는 접미사로, 고생물학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Iguanodon(이구아나 이빨), Heterodontosaurus(다양한 이빨 도마뱀). 즉, Thrinaxodon은 “삼지창 모양의 이빨을 가진 생물”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이 동물의 특이한 치열과 포식성을 반영한 이름입니다. 이 이름은 1894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해리 시일리(Harry Seeley)가 처음 명명했습니다. Thrinaxodon은 포유류의 조상격인 시냅시드(cynodont)로, 포유류 진화의 중요한 연결고리입니다. Cynodont cyno κύων (kyōn): ‘개(dog)’를 의미합니다. 영어의 cyno- 접두사로도 쓰이죠. odont ὀδούς (odous) 또는 ὀδόντος (odontos): ‘이빨(tooth)’을 뜻합니다. 이는 생물학에서 흔히 -odont라는 접미사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Cynodont는 문자 그대로 “개 이빨(dog tooth)”이라는 뜻입니다. 이 이름은 이 생물들의 이빨이 개처럼 뾰족하고 날카로운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이 명칭은 단순한 외형 묘사를 넘어서, 포유류로 진화하는 과정에서의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Cynodont는 포유류의 직접 조상에 해당하는 그룹으로, 이빨의 분화(절치, 송곳니, 어금니 등)와 같은 포유류적 특징을 이미 갖추고 있었어요. **** 트리낙소돈의 어원을 저는 세개의 송곳니를 가진 생물이라고 멋대로 받아들였습니다. 근데 송곳니는 4개지 않습니까? 그래서 혹시 오명이 그대로 굳은 캐이스인가 싶어서 계속 파고들었죠. 와중에 cusp 교두라는 단어가 계속 나오는데도 멍청한 저는 이것을 캐치 못하고 오류를 계속 반복했더랬어요. 그러다 결국 교두cusp를 이해하고 드디어 관련된 이미지를 찾아버렸습니다. Yes!!!! 트리나독스의 스컬을 3D로 구현해 놓은 이미지를 보니 왜 삼지창이라고 명명했는지 너무 이해가 되어서 기뻤습니다. ㅎㅎㅎㅎ
지금 보니 좀 뒤에 책에도 삼지창 이 사진이 이쁘게 나와있네요. 트리낙소돈이 아니라 Morganucodon 이긴 하지만요.
책 58쪽과 118쪽에 나오는 그림에서도 트리낙소돈의 ‘삼지창 치아’를 볼 수 있어요! :D
아 그렇네요. 제가 아직 거기까지 진도가 안나가서요. ㅎㅎ 좀 참고 읽었으면 나오는 거였는데 .. --;;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103살 차이를 극복하는 연상연하 로맨스🫧 『남의 타임슬립』같이 읽어요💓2기-'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같은 책, 다른 모임!
[2024 여름_빌게이츠 추천도서] 데이비드 부룩스, 《사람을 안다는 것》 읽기[웅진지식북클럽] 2. <사람을 안다는 것> 함께 읽어요[Re:Fresh] 2.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어요. [그믐밤] 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기 @국자와주걱[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쉽게 읽히는 환경책들
[그믐클래식 2025] 11월, 침묵의 봄 [책증정] <해냈어요, 멸망> 그믐에서 만나는 가장 편안한 멸망 이야기[그믐북클럽Xsam]19. <아마존 분홍돌고래를 만나다> 읽고 답해요 [창원 안온] <숨은 시스템> 함께 읽기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책을 들어요! 👂
[밀리의서재로 듣기]오디오북 수요일엔 기타학원[그믐밤] 29. 소리 산책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하드 SF 의 정석
[도서 증정] <탄젠트>(그렉 베어)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사이언스 북스의 책들
[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서평단 모집]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사회에 투여하는 치료제! 『숫자 한국』[책증정] 스티븐 핑커 신간, 『글쓰기의 감각』 읽어 봐요!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내가 사는 '집' 🏠
[책 증정_삼프레스] 모두의 주거 여정 비추는 집 이야기 『스위트 홈』 저자와 함께 읽기[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번외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읽기<한국 소설이 좋아서 2>최양선 소설가와의 온라인 대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AI 함께 읽어요
[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 결과물과 가치중립성의 이면[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Intro – 인트로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 28:12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28:13–53:09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53:09-01:26:36
선과 악에 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8.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밀리의 서재로 📙 읽기] 14. 다윈 영의 악의 기원<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혼자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