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rst Triassic mammals, therefore, were becoming brainier as they were becoming better chewers.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the real terror was not lava or ash, but the gases that rode up the volcanic vents from the deep earth, into the atmosphere-greenhouse gases like carbon dioxide and methane, which catalyzed a spurt of global warming. ”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아... 데자뷔... 역사는 반복되고..
borumis
Some dinosaurs, in fact, would have lived in fear of mammals.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 While it is true that dinosaurs kept mammals from getting big, mammals did the opposite, which was equally impressive: they kept dinosaurs from becoming small. ”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문장모음 보기
연해
“ 반면 포유류들은 여전히 작은 체구로 남았다. 주변에 수많은 공룡들이 득실거리고 있었으니 그래야만 했을 것이다. 하지만 공룡처럼 이들도 다양한 식습관, 행동, 이동 방식을 가진 여러 가지 신종으로 다양화했다. 이들은 땅 밑, 덤불 속, 어둠 속, 나무 꼭대기, 그늘 등에 숨어 있던 생태적 지위를 채우는 데 선수가 됐다. 거대한 공룡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라면 어디든 포유류가 존재했고, 또 번성하고 있었을 것이라 장담할 수 있다. ”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p.143,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문장모음 보기
베오
Thrinaxodon
Thrinax (θρῖναξ): 고대 그리스어로 ‘삼지창’ 또는 ‘포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Thrinaxodon의 이빨 배열, 특히 세 개의 뚜렷한 송곳니를 연상시키는 특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odon (ὀδών): ‘이빨’을 뜻하는 접미사로, 고생물학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Iguanodon(이구아나 이빨), Heterodontosaurus(다양한 이빨 도마뱀).
즉, Thrinaxodon은 “삼지창 모양의 이빨을 가진 생물”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이 동물의 특이한 치열과 포식성을 반영한 이름입니다. 이 이름은 1894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해리 시일리(Harry Seeley)가 처음 명명했습니다. Thrinaxodon은 포유류의 조상격인 시냅시드(cynodont)로, 포유류 진화의 중요한 연결고리입니다.
Cynodont
cyno κύων (kyōn): ‘개(dog)’를 의미합니다. 영어의 cyno- 접두사로도 쓰이죠.
odont ὀδούς (odous) 또는 ὀδόντος (odontos): ‘이빨(tooth)’을 뜻합니다. 이는 생물학에서 흔히 -odont라는 접미사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Cynodont는 문자 그대로 “개 이빨(dog tooth)”이라는 뜻입니다. 이 이름은 이 생물들의 이빨이 개처럼 뾰족하고 날카로운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이 명칭은 단순한 외형 묘사를 넘어서, 포유류로 진화하는 과정에서의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Cynodont는 포유류의 직접 조상에 해당하는 그룹으로, 이빨의 분화(절치, 송곳니, 어금니 등)와 같은 포유류적 특징을 이미 갖추고 있었어요.
**** 트리낙소돈의 어원을 저는 세개의 송곳니를 가진 생물이라고 멋대로 받아들였습니다. 근데 송곳니는 4개지 않습니까? 그래서 혹시 오명이 그대로 굳은 캐이스인가 싶어서 계속 파고들었죠. 와중에 cusp 교두라는 단어가 계속 나오는데도 멍청한 저는 이것을 캐치 못하고 오류를 계속 반복했더랬어요. 그러다 결국 교두cusp를 이해하고 드디어 관련된 이미지를 찾아버렸습니다. Yes!!!! 트리나독스의 스컬을 3D로 구현해 놓은 이미지를 보니 왜 삼지창이라고 명명했는지 너무 이해가 되어서 기뻤습니다. ㅎㅎㅎㅎ
베오
지금 보니 좀 뒤에 책에도 삼지창 이 사진이 이쁘게 나와있네요. 트리낙소돈이 아니라 Morganucodon 이긴 하지만요.
향팔
책 58쪽과 118쪽에 나오는 그림에서도 트리낙소돈의 ‘삼지창 치아’를 볼 수 있어요! :D
베오
아 그렇네요. 제가 아직 거기까지 진도가 안나가서요. ㅎㅎ 좀 참고 읽었으면 나오는 거였는데 .. --;;
borumis
맞아요, 송곳니 자체가 아니라 송곳니 뒤쪽 postcanine 이빨들이 산모양이나 삼지창모양으로 세개의 뾰족한 포인트(cusp)가 있는 tricuspid 모양이어서 Thrinaxodon(삼지창 모양 이빨)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 같아요.
제 추측인데... 이 tricuspid 모양 때문에 교 합이 정확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렇기 때문에 여러번 이빨을 새로 갈아버리는 것보다 평생 한번만 갈게 되는 특성이 발달된 게 아닌가 싶어요. cusp이 하나나 두개인 것보다 세개면 더 정확하게 끼워 맞춰야겠죠.
베오
그러니까요. 좀 더 진득하게 뒤를 읽어나갔어야 하는 건데 첨부터 오해를 하고 혼자 헤매고 있었어요. ^^;;
꽃의요정
오~저는 오늘부터 읽기시작했는데 어쩌다 보니 진도는 맞췄습니다. 근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ㅎㅎ
릴리풋 얘기랑 오언과 헉슬리 싸운 얘기 정도만 재미있고 지금은 견치류가 뭔지 찾아봤어요.
부엌의토토
오늘 2장 읽었는데 제목이 흥미로웠고, 내용도 재미있지만, 곧 까먹을 것 같아요. 책 덮으면, 또 새로울 것 같네요.
건강 운동으로 고치법이란 게 있다고 (여든 넘으신 선생님께) 들었었어요. 당시엔 피식 웃었는데 이 운동이 진화로부터 온 것 같아서. 어른 말씀 한 귀로 흘리지 말아야겠다 했어요.
borumis
오 전 처음 들어보는 운동인데 한의학에서 나온 건가봐요..ㅎㅎㅎ 한의학이 과연 진화를 염두에 두고 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건강한 치아를 갖는 것은 나이 들 수록 중요한 것 같아요. 임플란트 값 너무 비싸요..ㅜㅜ
연해
저도 읽는 동안은 끄덕거리면서 신나게 읽다가, 다음 날 펼쳐들면 용어들이 자꾸 헷갈려 다시 되돌아가 읽고, 또 읽고... 그래도 이 책은 다큐를 활자로 읽는 느낌이라 재미있어요.
YG
@부엌의토토@연해 그게 과학책, 특히 이런 진화사/자연사 책 읽는 맛(?)이랍니다. 하하하! 저도 종은 거의 기억하지 못해요. 그러다 몇 번 접하면 또 아, 하게 되더라고요!
향팔
하하 저도 딱 그렇습니다!
부엌의토토
“ 2. 털북숭이 네발동물의 새로운 턱
우리의 트리낙소돈은 주변에서 자신의 동족들이 땅굴에서 머리를 내밀고 코를 실룩거리며 털이 난 얼굴로 위로 비를 맞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들 모두 수염에 잔뜩 힘을 주고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인지 알아내려 애쓰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똑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나갈까, 말까?
땅굴에 물이 차오르는 것을 지켜보던 트리낙소돈은 불확실한 미래를 향해 총총걸음을 뗐다. 그 미래에 먹이와 짝이 기다리고 있을지 없을지는 알 수 없는 일이었지만, 어느 쪽이든 모든 건 곧 끝나게 될 것이다. (88쪽)
모든 혼란이 종결되고 뒤돌아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기 전까지는 자기가 대격변을 지나왔다는 사실조차 눈치채지 못할 때가 많다. 곧 밝혀지듯이 이 트리낙소돈은 지구 역사에서 가장 큰 대변동을 헤치며 살고 있었다. 재앙 같은 멸종 사건으로 시작된 수만 년에서 수십만 년에 이르는 이 짧은 기간은 멈칫거리며 회복기에 들어섰고 결국 수궁류 선조 무리로부터 포유류가 만들어지는 데 도움을 주었다. (88쪽)
트리낙소돈은 2억 5100만 년 전 즈음, 트라이아스기 아주 초반에 살았던 견치류다. 견치류는 포유류 '줄기 혈통'의 일부였다. (88쪽)
*견치- 송곳니
폐름기 말기는 모든 대멸종의 어머니였다. 그리고 이때 모든 종의 90% 정도가 사라졌다. 어쩌면 더 많았을 수도 있다. 화석 기록으로 남은 다른 멸종 사건들과는 달리 이 경우는 범인이 분명했다. 바로 화산이다. 지구의 맨틀 내부 깊숙한 곳에 자리 잡은 마그마의 핫스폿에서 힘을 얻은 이른바 거대화산이 저지른 짓이었다. (90쪽)
부글거리는 용암과 함께 침묵의 살인자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었다. 이산화탄소와 메탄 같은 독성 기체가 대기 중으로 스며들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것은 온실가스다. 온실가스는 복사를 흡수해서 다시 지구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으로 대기 중에 열을 가두어 고삐 풀린 말처럼 지구온난화를 가속한다. 수만 년 만에 기온이 섭씨 5~8도 상승했다. 비록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온난화보다는 속도가 느리지만 오늘날의 상황과 비슷하다(분명 이 말에 독자들 모두 잠시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바다를 산성화시켜 산소를 고갈시키고도 남을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껍질을 두른 무척추동물과 다른 해양 생명체들이 널리 죽어 나갔다. (91쪽)
수궁류가 맞이할 운명에는 세 가지가 있었다.
첫째는 멸종이었다. 이것이 고르고놉스류에게 일어난 일이었다.
둘째는 생존은 하되 쇠퇴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디키노돈류에게 일어난 일이다.
셋째는 생존과 지배다. 견치류가 이 길을 걸었다. 견치류는 화산 폭발, 지구온난화, 건조화, 우기, 숲의 붕괴, 내부로부터 무너진 생태계를 견디며 500만 년에 걸쳐 묵묵히 회복했고 또 그 과정에서 그만큼 강인해졌다.
이 견치류 계통 중 하나가 포유류로 이어지면서 그 과정에서 더욱 포유류다운 특성을 발전시켰다.
견치류가 몇몇 디키노돈류 사촌들과 함께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93쪽)
릴리풋 효과란 대멸종에서 살아남은 동물들의 체구가 줄어들어 그 후로 번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일이 항상 발생하진 않지만 견치류와 그 가까운 친척에서는 일어났고 이것이 그들의 인내력에서 큰 부분을 차지했다. (94쪽)
수궁류 선조들처럼 트리낙소돈도 앞니, 송곳니, 어금니 한 벌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차이점도 있었다. '삼지창 치아'를 의미하는 트리낙소돈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유도 이런 차이 때문이었다. 이 동물의 어금니는 클립 아트에 들어 있는 산맥 이미지처럼 생겨서 중앙에 하나의 봉우리가 있고 양옆으로 작은 봉우리가 나란히 솟아 있었다. 이런 봉우리를 교두라고 하는데, 날카로운 교두가 세 개 나 있어서 곤충의 외골격에 구멍을 내거나 살을 찢고 들어가는데 안성맞춤이었다. (98쪽)
”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103살 차이를 극복하는 연상연하 로맨스🫧 『남의 타임슬립』같이 읽어요💓2기-'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 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같은 책, 다른 모임!
[2024 여름_빌게이츠 추천도서] 데이비드 부룩스, 《사람을 안다는 것》 읽기[웅진지식북클럽] 2. <사람을 안다는 것> 함께 읽어요[Re:Fresh] 2.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어요. [그믐밤] 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기 @국자와주걱[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쉽게 읽히는 환경책들
[그믐클래식 2025] 11월, 침묵의 봄 [책증정] <해냈어요, 멸망> 그믐에서 만나는 가장 편안한 멸망 이야기[그믐북클럽Xsam]19. <아마존 분홍돌고래를 만나다> 읽고 답해요 [창원 안온] <숨은 시스템> 함께 읽기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책을 들어요! 👂
[밀리의서재로 듣기]오디오북 수요일엔 기타학원[그믐밤] 29. 소리 산책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하드 SF 의 정석
[도서 증정] <탄젠트>(그렉 베어)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사이언스 북스의 책들
[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서평단 모집]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사회에 투여하는 치료제! 『숫자 한국』[책증정] 스티븐 핑커 신간, 『글쓰기의 감각』 읽어 봐요!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내가 사는 '집' 🏠
[책 증정_삼프레스] 모두의 주거 여정 비추는 집 이야기 『스위트 홈』 저자와 함께 읽기[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번외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읽기<한국 소설이 좋아서 2>최양선 소설가와의 온라인 대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AI 함께 읽어요
[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 결과물과 가치중립성의 이면[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Intro – 인트로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 28:12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28:13–53:09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53:09-01:26:36
선과 악에 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8.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밀리의 서재로 📙 읽기] 14. 다윈 영의 악의 기원<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혼자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