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7. <경이로운 생존자들>

D-29
오늘 진도까지의 내용을 몇 문장으로 잘 요약해주셨네요.
우리 몸에서 가장 작은 뼈인 이소골이 턱관절에서 진화한 것은 예전에 배웠는데 이소골이 여러번에 걸쳐 진화한 것은 몰랐네요. 참고로 대부분의 포유류는 색맹이지만 인간과 구대륙 원숭이들은 진화과정 중 색을 보는 원추세포 포톱신 유전자를 얻는 진화를 여러번에 걸쳐 잃었다 얻었다 반복했다고 하네요. 마치 포유류도 이소골이 진화했다 퇴화했다 다시 진화했다를 반복한 것처럼.. 그들이 살던 환경이 계속 바뀌면서 그 기관이나 기능을 잃었다 다시 얻었다 반복한 걸까요?
이소골 3가지: 망치뼈(추골, malleus-hammer), 모루뼈(침골, incus-anvil), 등자뼈(등골, stapes-stirrup) 턱관절: Angular-->Ectotympanic / Articulate-->malleus / Quadrate-->incus 등뼈 stapes는 파충류 등 비포유류에도 있음 (columella라는 용어로도 많이 불림)
화제로 지정된 대화
오늘 10월 16일 목요일에는 3장 '랴오닝성의 특별한 포유류들'부터 '포유류의 귓속뼈는 어디서 왔을까'까지 읽으면서 3장을 마무리합니다. 한국어판 종이책 기준 174쪽부터 144쪽까지입니다. 공룡의 시대였던 중생대 쥐라기와 백악기에 포유류가 상당한 존재감을 가진 조연이었다는 사실, 포유류의 특징인 젖의 진화, 그리고 뜻밖에 포유류 진화의 증거인 귓속뼈의 존재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적어도 레페노마무스(Repenomamus)라는 백악기 (포유류) 종 하나만큼은 무언가 비범한 일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몸집이 컸다. 이 화석은 위 속에 아기 공룡의 뼈가 담긴 채로 발견됐다. 그리하여 공룡 대 포유류에 관한 그 오랜 이야기가 완전히 뒤집어졌다. 사실 일부 공룡은 포유류를 두려워하며 살았던 것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47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공룡 때문에 포유류가 계속 체구를 키우지 못한 것도 사실이지만, 포유류는 반대로 공룡의 체구 소형화를 막았다. 이것 역시 못지않게 인상적인 부분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52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이 포유류들이 완전한 온혈동물이었다는 사실은 반박이 불가능하다. 자신의 몸 전체를 털로 뒤덮을 필요가 있는 동물은 오직 열을 스스로 만들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내온 동물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실 냉혈 동물에게는 이런 털이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햇살이 뜨거운 날에 체온이 과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59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사실 포유류가 포유류라는 이름을 갖게 된 까닭이 바로 이것이다. 이 특성은 우리를 다른 모든 동물과 차별화해준다. 바로 젖샘(mammary gland)이다. 우리의 피부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구조물이 바로 이 젖샘이며, 포유류의 어미는 이것을 가지고 젖분비(lactation) 혹은 수류라는 과정을 통해 새끼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60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젖분비가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나와 있다. (…) 현재는 두 개의 중요한 이론이 나와 있다. 첫 번째는 피부의 분비샘이 갓 태어난 새끼를 세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항균성 액체를 분비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나중에 완전한 식량원으로 발달했다는 이론이다. 두 번째는 젖이 처음에는 포유류의 작은 알이 마르지 않도록 습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갓 부화한 새끼가 그것을 먹기 시작하면서 자연선택에 의해 젖이 새끼의 영양 공급원으로 바뀌었다는 이론이다. 맞다. 당신이 제대로 읽은 것이다. 알이 있었고, 알에서 부화한 새끼가 있었다. 우리는 포유류라고 하면 직접 새끼를 출산하는 동물이라 생각하는 데에 익숙해져 있지만, 이것은 수아강(therians)이 갖춘 고등 능력이다. 수아강은 우리와 같은 태반류와 유대류를 아우르는 파생 집단이다. 오리너구리와 바늘두더지 같은 단공류처럼 현존하는 가장 원시적인 포유류는 알을 낳는다. 우리가 지금까지 얘기했던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의 포유류는 모두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61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이 귓속뼈 연쇄는 세 가지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우선 전화선처럼 고막(수용기)에서 달팽이관(처리기)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확성기 여러 개를 꼬리를 물고 이어 놓은 것처럼 이 소리를 증폭시켜 준다. 그리고 다른 나라로 여행을 갈 때 가져가는 전원 플러그 어댑터처럼 공기로 전파되던 음파를 달팽이관 내부의 액체를 따라 전달되는 파동으로 전환해준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65~166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수백만 년에 걸친 견치류의 역사에서 나타났던 이런 진화 순서가 오늘날 성장하는 포유류 개체 한 마리의 발달 과정에도 판박이처럼 반영되어 있다. 생물학자들의 말마따나 개체발생(ontogeny)이 계통발생(phylogeny)을 되풀이한다. 바꿔 말하면 배아의 발달 과정이 턱뼈가 귀속뼈로 변화하는 진화의 여정을 저속 촬영으로 담아낸 영화와 같다는 것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3장, 170쪽,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그것이 뜻하는 바는 의미심장했다. 포유류의 귓속뼈 중 새로 발명된 것은 없었다. 즉, 턱뼈였다가 진화가 청각이라는 새로운 기능으로 용도를 변경한 것이었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p.167,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참 신기하고 오묘합니다…
포유류는 어째서 여러 번에 걸쳐 턱을 귀와 분리시키려 들 정도로 씹는 일에 몰두했을까? 쥐라기에는, 특히 백악기에는 새로운 먹이가 많았기 때문이다. 맛있는 새로운 곤충이 떼로 나타났고, 이 곤충들이 색상이 밝고 아름다운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식물을 꽃가루받이해주었다. 그럼 이 식물들은 온갖 종류의 맛있는 꽃, 열매, 이파리, 뿌리, 씨앗을 만들어냈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p.174,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어찌 보면 너무 당연한 섭리 같은데.. 생존과 번식을 위한 진화과정이 자연환경의 변화에 적응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을... 생존은 먹이가 결정적이고.. 전혀 생각 안하고 살았지만... 씹는 일이 너무나 중요했던 것인 것을요.
저도 턱관절의 진화가 이렇게나 장황할 수 있구나, 싶어 놀라워요. @borumis 님 말씀처럼, 예나 지금이나 인간은 미식가인 것 같고(하하하). 씹을 수 있을 때(?) 마음껏 씹어야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라는 오래된 광고 슬로건이 머릿속에 맴돌기도 하네요. 여담이지만 저는 딱딱한 식감의 먹거리를 좋아하는 것 같아요. 과일과 야채를 즐겨 먹는데, 말랑한 과일(제 기준에서는 딸기, 망고, 포도, 홍시 등?)은 손이 잘 안 가더라고요. 복숭아도 무조건(!) 딱복!
와, 그림이 몹시 다채롭고 상세하네요! 특히 귓속뼈의 자세한 모양이 궁금했는데 공유 감사합니다.
(유치와 영구치, 빨기에 적합한 골격 구조)이런 증거들로 종합하면 어미들은 포유류의 역사 초기 부터 새끼에게 젖을 먹이기 시작한 것이 틀림없다. 아마도 모르가누코돈 같은 최초의 포유류가 트라이아스기에 여기저기 뛰어다니던 시절 즈음이었을 수도 있고, 쥐라기에 도코돈류가 번성하던 시절에는 분명 그랬다. 이와 같은 시기에 큰 뇌가 등장한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큰 뇌는 대사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젖처럼 영양이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언제든 공급 가능한 먹이라면 더 많은 신경조직. 특히 포유류의 지능과 감각통합이 일어나는 초고속 처리 센터인 6층구조 신겉질을 꾸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수 있었을 것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생물학자의 말마따나 개체 발생이 계통발생을 되풀이한다. 바꿔 말하면 배아의 발달 과정이 턱뼈가 귓속뼈로 변화하는 진화의 여정을 저속촬영으로 담아낸 영화와 같다는 것이다.
경이로운 생존자들 - 다섯 번의 대멸종을 벗어난 포유류 진화의 여섯 가지 비밀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김성훈 옮김, 박진영 감수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103살 차이를 극복하는 연상연하 로맨스🫧 『남의 타임슬립』같이 읽어요💓2기-'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코스모스> 읽고 미국 현지 NASA 탐방가요!
[인생 과학책] '코스모스'를 완독할 수 있을까?
같은 책, 다른 모임!
[2024 여름_빌게이츠 추천도서] 데이비드 부룩스, 《사람을 안다는 것》 읽기[웅진지식북클럽] 2. <사람을 안다는 것> 함께 읽어요[Re:Fresh] 2.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어요. [그믐밤] 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다시 읽기 @국자와주걱[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편지 가게 글월] 서로 꿈을 이야기하며 안부를 전하는 글쓰기를 하고자 합니다.
쉽게 읽히는 환경책들
[그믐클래식 2025] 11월, 침묵의 봄 [책증정] <해냈어요, 멸망> 그믐에서 만나는 가장 편안한 멸망 이야기[그믐북클럽Xsam]19. <아마존 분홍돌고래를 만나다> 읽고 답해요 [창원 안온] <숨은 시스템> 함께 읽기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책을 들어요! 👂
[밀리의서재로 듣기]오디오북 수요일엔 기타학원[그믐밤] 29. 소리 산책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하드 SF 의 정석
[도서 증정] <탄젠트>(그렉 베어)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함께 읽는 SF소설] 01.별을 위한 시간
사이언스 북스의 책들
[사이언스북스/책 증정]진화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세계, 『자연스럽다는 말』 함께 읽기 [서평단 모집]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사회에 투여하는 치료제! 『숫자 한국』[책증정] 스티븐 핑커 신간, 『글쓰기의 감각』 읽어 봐요!
책 추천하는 그믐밤
[그믐밤] 41. 2026년, '웰다잉' 프로젝트 책을 함께 추천해요.[그믐밤] 39. 추석 연휴 동안 읽을 책, 읽어야 할 책 이야기해요. [그믐밤] 27. 2025년은 그림책의 해, 그림책 추천하고 이야기해요.
베오의 <마담 보바리>
절제는 감정의 부재가 아니라 투명함을 위한 것 읽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Lego Ergo Sum 플로베르의 스타일에 관한 인용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 나타난 보바리즘의 개념과 구현
내가 사는 '집' 🏠
[책 증정_삼프레스] 모두의 주거 여정 비추는 집 이야기 『스위트 홈』 저자와 함께 읽기[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번외편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읽기<한국 소설이 좋아서 2>최양선 소설가와의 온라인 대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AI 함께 읽어요
[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 결과물과 가치중립성의 이면[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Intro – 인트로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 28:12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28:13–53:09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53:09-01:26:36
선과 악에 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8.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다산북스/책 증정] 『악은 성실하다』를 저자 &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밀리의 서재로 📙 읽기] 14. 다윈 영의 악의 기원<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혼자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