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일본 미스터리가 지금 나를 사로잡고 있다. 인간의 진짜 속마음을 알고 싶은 것이다. 그걸 아는 데는 추리 소설에 제격이다. 이제 마리 유키코를 만나보자.
언덕 위의 빨간 지붕
D-29
Bookmania모임지기의 말
Bookmania
학교생활을 지금은 붙여 쓴다. 전엔 씌어 썼을 것이다. 내가 보기엔 자주 쓰는 단어는 어느 순간 붙여 쓰는 것 같다.
Bookmania
대개는 주인공인 아닌 빌런이 하는 말이 전적으로 맞는 말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회에서 그러면 안 되니까그게 아니라고 한다. 사회는 진실이 안 통하는 곳이다.
Bookmania
주인공이 사람과 세상을 삐딱하게 본다.
Bookmania
세상엔 나도 그런 걸 당한 적이 있을지 모르는데 대응할 가치가 없다며 그냥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야 또 세상이 조용히 굴러간다.
Bookmania
부모가 나쁘게 말하면 그것에 부응해 그렇게 그대로 사는 자식들이 있다.
Bookmania
인간은 개나 고양이가 아니라 자신이 같이 인간 취급 당하기를 바란다.
Bookmania
솔직하지 못한 걸 경멸하는 사람들이 있다.
Bookmania
안 고쳐지는 인간들이 있다. 현실에선 그렇다. 그러나 버르장머릴 고쳐 놓겠다고 하는 인간은 어리석은 인간이다. 그냥 무시하는 사람이 현명하다. 이런 사람은 자기 할 일이 또렷한 사람들이다.
Bookmania
영화 기생충과 같은 내용인가.
Bookmania
비가 오고 날씨가 저기압이면 나이가 들면 몸도 저기압으로 바뀐다. 몸이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래 글도 다 시큰둥하게 읽힌다.
Bookmania
스케치 같은 말도 거의 한국어로 굳어진 말이다.
Bookmania
전체 줄거리나 결말보다는 중간에 무심코 던지는 말이 진짜, 아니면 현실적으로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일 수도 있다.
Bookmania
개인적인 호기심을 솔직하게 글로 표현하면 대중은 호기심을 갖고 그 글을 본다. 이 두 개나 합쳐져 글을 계속 쓰는 것일 수도 있다. 한 가지만 가지고는 쓰기 힘들다.
Bookmania
책에 기대하는 것은 겉으로의 사건이 아니라 그 내부에 있는 이면의 스토리인 것이다.
Bookmania
글 쓰는 자들은 대중을 무시한다. 자기 말을 안 듣고 자기 세계를 절대 이해 못 하며 자기처럼 절박하게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기가 하는 일은 엄청 다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즉 명예로 산다. 자기는 천박하지 않고 고상하다고 보는 것이다. 겉으로 말은 안 하지만 속으로는 다 그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누구나 다 그렇게 본다. 판사도 의사도 그걸 안 하는 인간을 저급하게 보는 것이다. 작가는 의사나 판사를 역시 무시한다.
Bookmania
못 사는 것들끼리 지지고 볶는 것이 세상의 모습이다. 위에서 보면 자신들이 던져 주는 고기 덩어리를 서로 먹겠다고 난리도 아니다. 절대 실컷 먹게 안 주고 죽지 않을 만큼만 준다. 오징어 게임에서 술을 마시며 여자에게 희롱 비슷한 것을 하며 가만히 모니터를 보는 있는 인간들에겐 그 밑에 것들은 사람도 아니다.
Bookmania
사회에 삐딱한 것은 대개는 빌런으로 나와 생각이 바른 주인공과 대결해 결국 지는데 과연 여긴 그 삐딱한 사람이 주인공이려나.
Bookmania
실제는 빌런이 하는 말을 따라야 세계적인 문제가 해결된다. 우린 성장이나 개발이 아니라 균등 분배를 해야 하고 환경과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당장 이익을 위해 대부분은 안 한다. 그 빌런을 미친놈이라고 폄하하며 무시한다. 그의 말을 따르는 게 실은 현명하지만 현실적으로 안 맞는다면 자기 고집을 피운다. 어리석은 짓이다.
Bookmania
일본인은 다리를 바짝 붙이고 앉아야지 꼬아 앉는 것을 예의 없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방송에서 미국을 따라해 꼬고 앉는다.
Bookmania
아마 내가 전에 그래도 자기계발서에 입문해 책을 읽기 시작해 보은도 있지만 세 번을 이젠 사서 다 실망해 자기 계발서은 이제 안 보려고 한다. 인간의 솔직성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