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깜냥만큼 느리게 읽기
문학의 공간
D-29

소리없이모임지기의 말

소리없이
“ 비록 단편적이라 하더라도 한 권의 책은 책을 이끄는 중심을 지니고 있다. 고정되지 않은 중심, 하지만 책의 압력과 그 구성 상황에 따라 자리를 옮겨 가는 중심. 그것이 진정한 것이라고 할 때, 같은 것으로 남아 있으면서도 언제나 한층 더 중심이 되고, 한층 더 은밀하고, 한층 더 불확실하고, 한층 더 압도적인 것이 되면서 자리를 옮겨 가는, 그러면서도 고정된 중심. 책을 쓰는 자는 이 중심에 대한 욕망과 무지에서 책을 쓴다. 거기에 닿았다는 감정은 거기에 이르렀다는 환상에 불과한지도 모른다. 한 권의 책이 무엇인 가를 밝혀 줄 때, 그 책은 어떤 지점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일종의 방법상의 충실함이 있다. 이 책에서는 ‘오르페우스의 시선’이라 불리는 페이지들을 향하여.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더구나 우리는 흔히 말하듯이 자신의 예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그러한 예술가의 고독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 릴케가(1907년 8월 3일) 솔름즈 라우바흐 백작 부인에게 “몇 주 전부터 두 번의 짧은 멈춤의 시간을 제외하고는 한마디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나의 고독은 마침내 밀폐되고 나는 과일 속의 씨앗처럼 작업 속에 있습니다”라고 적을 때, 그가 말하는 고독은 본질적으로 고독이 아니다. 그것은 몰입이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그러나 작품 -예술작품, 문학작품- 은 완성된 것도 완성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작품은 존재한다. 작품이 말하는 것, 그것은 절대적으로 작품은 존재한다는 사실 그것뿐이다. 이것을 벗어나서 작품은 아무것도 아니다. 작품이 그 이상을 드러내 주기를 바라는 자는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하고, 그것이 아무것도 드러내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쓰기 위해서건 읽기 위해서건 작품에 기대어 살아가는 자는 존재한다는 말, 이를테면 언어가 그것을 숨기면서 보호하거나 작품의 침묵하는 공허 가운데 사라지면서 나타나게 하는, 그러한 존재한다는 말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고독에 처해 있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작가는 한 권의 책을 쓰지만, 아직 그것은 작품이 아니다. 작품은 작품 특유의 시작의 격렬함 가운데, 존재라는 말이 작품을 통하여 발음될 때 비로소 작품이 된다. 존재라는 말은 작품이 작품을 쓰는 어느 누구의, 작품을 읽는 어느 누구의 내밀성일 때 일어나는 사건이다. 그때 우리는 물어 볼 수 있다. 고독 그것이 작가의 위험이라면, 고독이란 그로서는 책이라는 형태의 대체물, 다가옴 그러나 환영밖에는 붙잡을 수 없는 작품으로부터 펼쳐지는 격렬함을 향해 그가 몸을 돌려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은 아닐까?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작가는 작품에 속한다. 하지만 그에게 속한 것은 불모의 단어들이 쌓인 말 못하는 무더기, 세계에서 가장 의미없는 것, 곧 오직 하나의 책뿐이다.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그리하여 그는 작품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그가 홀로 끝내고 싶은 것은 끝날 수 없는 것으로 남고, 그를 헛된 작업으로 데려간다. 그리고 작품은 마침내 그를 무시하고, 작품은 존재한다는 그 비인칭의 익명의 긍정 속에서 작품은 작품의 부재 속에 잠긴다. 그것뿐이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독서의 불가능성이란 창작에 의해 열려진 공간 안에 이젠 더 이상 창작을 위한 자리가 없다는, 그리고 작가에게는 이 작품을 계속해서 쓰는 것 이외에는 다른 가능성이 없다는 사실의 발견이다. 책을 쓴 그 누구도 작품 곁에 살거나 머무를 수 없다. 작품은 작품을 쓴 자를 내쫓고 지워 버려 그를 예술과 관계하지 않는 할일 없는 무력한 무위의 생존자로 만든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작가는 작품 곁에 머무를 수 없다. 그는 그것을 쓰는 수밖에 없는데, 작품이 쓰여졌을 때, 그는 그를 멀리하고, 그를 떼어 놓는, 혹은 그가 써야 했던 것과의 공모를 위해 그가 우선 들어섰던 그 ‘간극’으로 그를 되돌아가게 하는, 느닷없는 ‘나를 읽지 마세요’ 속에서 작품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리하여 이제 그는 다시금 최초의 임무로 되돌아오고, 다시금 이웃을, 즉 그가 머무를 수 없었던 떠도는 바깥의 내밀성을 되찾는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하이데거 - 존재의 망각
레비나스 - 타자성

소리없이
“ 에드거 포의 무덤
마침내 영원이 그를 그 자신으로 바꿔놓은 그런
시인은 검을 뽑아들고 불러낸다
이 낯선 음성 속에서 죽음이 크게 승리했음을
모른 채 겁에 질린 그의 시대를!
그들은, 히드라의 비열한 몸부림처럼 오래전 천사가
종족의 말에 더욱 순수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듣다가,
아 마법이 어느 검은 용액의 영광 없는 물결에
취한 것이라고 소리 높여 주장했다.
적대하는 땅과 구름의, 오 원성이여!
우리의 사상이 그것으로 포의 무덤을
눈부시게 장식할 얕은 부조를 새길 수 없기에
알 수 없는 어느 재난으로 여기 떨어진 침묵의 돌덩이,
이 화강암만은 영원토록 저의 경계를 보여주기를
미래에 흩어진 저 신성모독의 검은 비행들에게. ”
『목신의 오후 (앙리 마티스 에디션)』 스테판 말라르메 지음, 앙리 마티스 그림, 최윤경 옮김

목신의 오후 (앙리 마티스 에디션)20세기 미술의 거장 앙리 마티스가 직접 편집하고 삽화를 제작한 《목신의 오후: 앙리 마티스 에디션》이 국내 최초로 번역·출간된다. 2018년 출간 후 중쇄를 거듭한 스테디셀러 《악의 꽃: 앙리 마티스 에디션》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앙리 마티스 에디션’이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소리없이
“ 작가는 자신의 펜의 주인인 것처럼 보이고, 그는 단어들을, 그 단어들을 통해 표현하고 싶은 것을 훌륭하게 다스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 스림은 그를, 말이라는 것이 말의 외현이고 말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기에 결코 다스릴 수 없고 포착될 수 없고, 그리하여 잡을 수 없는 것, 놓칠 수 없는 것, 이를테면 매혹의 미결정의 순간으로 남아 있는, 그러한 태생적 수동성으로 데리고 가, 거기에 묶어 두는 데 도움이 될 따름이다. ”
『문학의 공간』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