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한 달간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를 읽으며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과 파괴적 욕망, 그리고 존재의 의미에 대한 깊은 사색을 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완벽한 미(美)와 그것을 파괴하려는 충동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간 내면의 복잡한 풍경을 탐험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제 11월에는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과 함께 우리의 시선을 개인의 내면에서 우리가 발 딛고 선 '세계'로 확장하려 합니다.  <금각사>가 개인의 내면에서 폭발하는 미적 집착을 다뤘다면, 11월에는 <침묵의 봄>을 통해 인간이 자연에 가하는 폭력과 그로 인한 생태계의 침묵을 목격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 전체에 대한 책임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에요.
(제목은 '침묵의 봄'이지만, 우리는 낙엽이 지는 가을에 이 책을 읽습니다. 어쩌면 생명이 움트는 봄이 아니라, 자연이 스스로를 돌아보는 가을이야말로 이 책을 읽기에 더 적절한 계절일지도 모릅니다.)
왜 지금 <침묵의 봄>을 읽어야 할까요?
1.인간의 오만함과 자연의 취약성에 대한 경고: 레이첼 카슨은 살충제(DDT)와 화학물질이 자연을 어떻게 파괴하는지를 과학적으로 밝히며, 인간이 자연을 통제할 수 있다는 오만한 믿음에 도전합니다. 새들이 노래하지 않는 봄의 침묵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우리가 직면한 실존적 위협에 대한 날카로운 경고입니다.
2. 환경 운동의 출발점이 된 고전: 1962년에 출간된 이 책은 현대 환경 운동의 시작을 알린 기념비적 저작입니다. 60년이 지난 지금, 기후 위기와 생태계 붕괴가 현실이 된 시대에 카슨의 예언적 통찰은 더욱 절박하게 다가옵니다. 과거의 경고가 현재의 위기로 이어지는 과정을 함께 추적해볼 수 있습니다.
3. 과학적 엄밀함과 시적인 문장의 조화: 해양생물학자였던 카슨은 복잡한 생태학적 원리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명료한 언어로 풀어냅니다. 동시에 자연의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그녀의 시적 감수성이 담긴 문장들은 독자에게 지적 자극과 감동을 동시에 선사합니다.
4. 개인의 용기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증명: 거대 화학 기업들의 압박과 비난 속에서도 진실을 말하고자 했던 저자의 용기는 한 사람의 목소리가 얼마나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침묵하지 않고 행동하는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그믐클래식 2025] 11월, 침묵의 봄
D-29

그믐클럽지기모임지기의 말

그믐클럽지기
[그믐클래식 2025]
1월 책 <일리아스> 기원 전 8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191 
2월 책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 기원 전 4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273
3월 책 <군주론> 16세기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351
4월 책 <프랑켄슈타인> 1818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452
5월 책 <월든>  1854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527
6월 책 <마담 보바리> 1857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653
7월 책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920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721
8월 책 <순수의 시대>  1920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802
9월 책 <제 2의 성> 1949년 : 완독
https://www.gmeum.com/meet/2899
10월 책 <금각사> 1956년 : 진행 중
https://www.gmeum.com/meet/3035
11월 책 <침묵의 봄> : 모집 중

침묵의 봄 - 개정증보판2024년은 레이첼 카슨이 세상을 떠난 지 60주기가 되는 해다. 개정증보판은 ‘제2의 레이첼 카슨’으로 평가받는 샌드라 스타인그래버의 서문과 《침묵의 봄》 출간 이후 환경 관련 글,   연보 등을 추가했다. 《침묵의 봄》을 더 깊이 이해하고, 카슨을 좀더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책장 바로가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침묵의 봄> 함께 읽기, 이렇게 진행됩니다.
-읽기 기간: 11월 1일 ~ 11월 29일 (29일간)
-모임 방식: 온라인 독서 모임 플랫폼 그믐을 통해 진행
-주요 내용: 함께 <침묵의 봄>을 읽고,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합니다.
-함께 하는 대상: 텀블벅의 후원자들과 2025년도 내내 함께 하는 모임입니다. 혹시 이번 달만 함께 하기 원하시는 분들은 따로 신청해주세요. 
신청링크 : https://forms.gle/7ZZq33n5vr8BnPot8
(10/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sam 1개월 구독권을 드려요. 참가비 1만원)
사회적 인식을 바꾸고 거대한 환경 운동을 가능케 한 <침묵의 봄>을 11월 동안 함께 읽을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활발한 참여를 기대합니다. 🙏

조영주
저는 이 책으로 읽습니다 ^^ 이번 책도 어려울 것 같으니 미리 시작하겠습니다. 왠지 완독 못할 것 같은 불길함이 스멀스멀 올라옵니다. ㅜ.ㅜ

침묵의 봄 - 개정판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20세기 환경학 최고의 고전 <침묵의 봄>이  50주년 기념 개정판으로 나왔다. 이번 개정판에는 서문과 후기가 완전히 새롭게 단장되었으며, 2002년 출간본에는 없던(원서에도 없었음) 찾아보기를 새롭게 추가  했다. 그리고 편집과 장정도 완전히 바뀌었다.
책장 바로가기

조영주
카슨이 이 책을 쓸 때 유방암 투병을 하며 조카의 아들을 입양한 상태, 암 말기였다는 이야기에 뭉클한 1덕입니다...

조영주
“ 카슨은 분노와 도덕적 책임감으로 《침묵의 봄》을 쓰기 시작했다. 끔찍한 문제를 목격하고 이해하면서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 느꼈다. 메스꺼움, 피로, 암 말기에 찾아온 장애를 겪는 와중에 미혼의 몸으로 혼자 조카의 아들을 입양해 키우며 책을 완성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설령 손을 들어버리거나 포기한다고 해서 그를 탓할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 책의 존재 자체가 그의 강인한 성격과 깊은 헌신을 증언해준다. 56세의 나이로 사망하기 몇 달 전, 오듀본 협회 연설에 나선 그는 환경 혁명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레이첼 카슨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환경 혁명에 기여한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계속 노력해야만 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말입니다. 비록 이런 임무가 결코 끝나지 않는 것이라 해도 물러서지 않는 인내심, 장애물을 극복하겠다는 결의, 그토록 대단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특권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모두가 이 임무를 완수해야만 합니다.
침묵의 봄 | 레이첼 카슨 저자, 김은령 번역, 홍욱희 감수
| 부커스 |
 ”
『침묵의 봄 - 개정증보판』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 어떤 방식으로든 부모 세대의 중독은 그다음 세대에도 고통을 전해준다. 이런 결과가 인간에게도 나타날지 여부를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비행기로 이런 유독물질을 근교 농촌과 농장 일대에 무차별적으로 살포하고 있다.
 ”
『침묵의 봄 - 개정증보판』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머리하러 왔다가 전자책 찾아보니 경기사이버도서관 구독형 서비스 부커스에서 발견해서 읽는데요, 엄청나게 잘읽혀서 벌써 3장입니다 ^^;

조영주
“ ‘다이나이트로’ 계열의 화학물질 역시 제초제로 사용된다. 이 물질은 미국에서 사용하는 것 중 매우 위험한 물질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다이나이트로페놀은 물질대사를 급격히 촉진해 한때 체중감량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살을 빼는 데 알맞은 적정량과 중독 또는 죽음에 이르는 치사량 사이의 차이가 아주 미미해서, 몇몇은 사망하고 많은 사람이 만성 중독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
『침묵의 봄 - 개정증보판』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다이어트에 혹했다...가 정줄잡자

조영주
혼자 다 읽어버릴까봐 3장서 멈췄슴다. 완독자신감이 생겻슴다!

박소해
조영주 작가님은 벌써 많이 읽으셨네요. 저는 오늘에야 전자책 구매 완료하였습니다~!!! 이번엔 완독! (외침)

조영주
“ 그저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해 이런 일을 저지르는 사람들이 있다. 저수지에서 낚시를 조금 더 쉽게 즐기려는 낚시꾼들은 당국을 설득해 모종의 계획을 실행하곤 한다. 원치 않는 어종을 몰살해 낚시꾼들의 입맛에 맞는 양식장의 물고기들로 대체하기 위해 화학물질을 투입하는 것이다. 이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나 등장할 법한 기이한 일이다. 저수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을 공급하려고 만들었지 낚시꾼들을 위한 곳이 아니다. 그런데 낚시꾼들의 이런 계획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그저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아니면 유독물질을 제거하고 수질을 정화하기 위해 세금을 더 내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하지만 아무리 수질을 정화한다고 해도 유독물질을 완전히 걸러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침묵의 봄 | 레이첼 카슨 저자, 김은령 번역, 홍욱희 감수
| 부커스 |
 ”
『침묵의 봄 - 개정증보판』 레이첼 카슨 지음, 김은령 옮김, 홍욱희 감수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알고는 있었지만 문장으로, 것도 오래전 책으로 보는 건 오싹하네요 ^^;;; 4장 읽는 중입니다!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