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개인적으로 계간 미스터리를 처음 접했습니다. 운이 좋은 케이스지요.
어떤 책이든 확실히 혼자 읽는 책보다는 함께 읽는 편이 더 풍부한 사유를 가능케합니다.
그 안에서 배우는 것들과 깨닫는 것들, 그리고 소소한 즐거움이 오가는 게 좋습니다.
남은 꼭지들도 아끼며 읽어볼게요 :-)
홍선주 추리 소설가와 <계간 미스터리> 77호 함께 읽기
D-29

밤비

홍선주aka쥬한량
저도 독서를 누군가와 같이 하는 건 거의 처음인데(독서 모임 같은 것도 해본 적 없... 아, 대학 때 딱 한번 있네요. 카프카의 <변신> ㅎㅎㅎ)
새로운 시각도 알 수 있고 생각보다 재밌는 활동이었네요.
참여자 분들이 조금 더 많은 얘기를 해주시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들지만, 그래도 이 정도면 성공적인 참여라고 (계간미스터리 마케터분이) 알려주셔서 첫술은 이 정도로 만족해볼까 합니다.
이제 5일 남았네요! 어서 읽고 또다른 감상 들려주세요~

도도새우
일상에 쫓겨 속도를 맞춰가지 못하여서 뒤늦게 열심히 쫓아가는 중입니다. 설곡야담과 단편소설 두 편을 읽었는데, 매우 흥미진진하고 오랜만에 보는 추리물이라 그런지 심장이 콩닥쫄깃했습니다. 마감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아 많은 답변을 하긴 어려울 듯 하지만 계간미스터리는 구독하게 될 것 같습니다. 절반만 읽었는데도, 이렇게 매력적이라니요! ^^ 좋은 책을 알게 해준 그믐에게 감사 인사를 드려야겠습니다 ㅎㅎ

홍선주aka쥬한량
처음 계간미스터리를 접하신 독자님들이 많이 참여해주셨군요!
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읽은 소감을 편히 공유해주시면 됩니다. 오랜만에 추리물을 읽으신다면 얼마나 더 재밌으실까요. ㅎㅎ
매호 새롭고 재미있는 소설들과 기획기사들이 많으니까 구독하시면 후회하지 않으실 거예요. :)
화제로 지정된 대화

홍선주aka쥬한량
그믐에서의 <계간 미스터리> 77호 함께 읽기 마지막 주말이네요!
아직 못 읽으셨던 분들도 이번 주말에도 달려보실 수 있겠죠?
편하게 소설이나 평론에 대한 후기나, 앞으로 추가되었으면 하는 꼭지나 기획 방향 등을 얘기해주세요.
+ 아마 이번 여름에도 추리작가협회에서 '써머 미스터리 페스티벌(과거의 '여름 추리 학교')'을 개최하실 걸로 알고 있는데, 그믐 모임에 참여해주셨던 분들도 그곳에서 다시 만나게 되길 바라봅니다. (제 맘대로 이렇게 미리 알리고 다녀도 되는 진 모르겠지만... ㅎㅎ)
그럼, <계간 미스터리> 77호와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메롱이
주말 동안 마저 완독했습니다. <소설가라는 이상한 직업>이라는 에세이에도 나오지만 실명 대신 가명을 쓰는 한국 소설의 어떤 경향성이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훼손된 모나리자>의 진품가품, 삼송그룹 이상철 회장, <코로나 시대의 사랑>의 엘제이아이 그룹, 미래 일보 등. 최근에 이 에세이를 읽고 대놓고 실명을 쓰는 <빌리 서머스>를 읽어서 더 이런 게 의식된 거 같기도 하고요. '본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제품 및 단체는 실제와 무관한 것으로 허구임을 밝힙니다.'라는 명시 이전에 한국인들이 가지는 어떤 예의바름과 배려가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홍선주aka쥬한량
메롱이님 글은 프사 때문인지 저 캐릭터가 눈 맑은 광인처럼 말하는 느낌이 들어서 재밌는데 저만 그런 걸까요? ㅎㅎ
한국인의 예의바름과 배려...라고 생각하시다니 저로서는 조금 신기한데요, 오히려 명예훼손과 같은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메롱이
그래도 눈이 맑아서 다행이네요. 찾아보니 말씀하신대로 영미권에서는 표현의 자유가 우선되어 명예훼손이 범죄로 인정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고 하네요. 범죄를 다룰 수밖에 없는 미스터리물에서는 충분히 예민할 수밖에 없는 이슈 같기도 하면서 우리나라 미스터리 작가들이 고생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홍선주aka쥬한량
후후... 노고를 알아주셔서 고맙습니다. ㅋ
빈츠
『계간 미스터리』 한 권을 완독한 건 처음인데 특집 기사와 소설, 인터뷰, 독자 리뷰 등 다양한 구성의 글이 적당한 분량으로 담겨서 좋았어요. 전에 읽은 다른 잡지는 『계간 미스터리』보다 큰 판형에 긴 분량의 글이 빽빽하게 담겨서 완독하기 어려웠거든요. 특히 『계간 미스터리』는 줄 간격이 좁지 않아서 정말 좋아요. 한정된 페이지 수 에 많은 분량을 담기 위해서인지 잡지들이 갈수록 페이지 여백이 좁아지는 것 같더라고요. 독자 입장에서 『계간 미스터리』는 가독성이 확보된 느낌이라 시원한 마음으로 완독했습니다! 그리고 건의사항까진 아니지만... 2023 봄호에서 영화 리뷰글이 굉장히 반가웠기에 영화 리뷰글도 꾸준히 담겼으면 좋겠어요!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게 흥미로워서 영화 리뷰를 자주 찾아보거든요. 그러다 조금 각잡힌(?) 리뷰가 보고싶어지면 잡지나 평론가의 글을 찾아보곤 해요. 그래서 『계간 미스터리』에도 다른 미스터리 작품 리뷰가 꾸준히 실렸으면 좋겠습니다. 순전히 제 취향이지만요 :)

홍선주aka쥬한량
이번 <계간 미스터리>는 조판을 살짝 변경하였습니다. 그러면서 글씨가 좀 작아지는 바 람에 기존 독자들에겐 살짝 당황스러운 부분이 있었는데, 빈츠님은 좋게 봐주셔서 다행이네요.
2023년 봄호부터 미스터리 영화 추천 꼭지가 추가되었습니다. 앞으로 드라마도 포함하여 추천이 진행될 예정인데, 관심있던 분야라고 하시니 좋네요. 편집장님께 전해드리겠습니다. :)

나비클럽마케터
<계간 미스터리> 디자인은 몇 권에 한 번씩 조금조금 바꿔가며 우리 책만의 디자인 찾기 + 좋은 가독성에 대한 실험을 해나가는 중인데 이번 봄호도 겨울호와 비교한다면 많은 부분 달라졌어요:)
전체 글자수는 이전 호들과 비슷하지만 폰트 크기, 여백, 줄간격 등 내지 디자인을 바꾸게 되면서 책은 조금 더 얇고 가벼워졌답니다. 가독성이나 미적으로 어떤 인상을 받고 계신지 정말 궁금했는데 빈츠님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해요:) 말씀해주신 부분은 디자인 실장님께도 공유하겠습니다🖤

홍선주aka쥬한량
노안인 분들 글자 안 보인다고도 전해주세요...

나비클럽마케터
ㅎㅎㅎ네:)
Kiara
거의 다 읽어갑니다. 백휴작가님 글만 남았어요!!
좋은 소설 좋은 평론 등등 여러가지 읽으니까 생각의 거리가 많아지더라고요. 인구 구조와 사회의 범죄 관련해서 흥미로웠어요. 조금 이해가 안가거나 어려운 부분도 (블레이드러너) 있었는데, 그건 저의 부족으로....;;; 프랑켄슈타인은 소설 줄거리가 많이 나왔는데 부분적으로 조금 더 심도깊게 다뤘으면 좋지 않았을까 살짝 아쉬웠습니다.
그믐이 처음이라 컴퓨터로만 한 것이 바로바로 참여하기 부족했던 부분이 있었어요. 사실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왔는데 다들 너무 전문가적(?)으로 말씀하셔서 깨갱하며 읽기만 하고 있기도 했습니다... 헤헷.
좋은 경험 감사합니다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_<

홍선주aka쥬한량
흥미롭고 즐겁게 잘 읽으셨다니 기쁩니다!
저도 그믐에 글 남기는 게 쉽지 않아서 참여자분이 댓글을 달아 주셔도 바로바로 휴대폰으로 답글 달진 못하고 노트북으로 작업할 때만 글쓰게 되다보니, 불편하셨던 부분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ㅎ
더불어, 콘텐츠라는 것은 개인의 기호가 많이 반영되는 영역이기 때문에(제가 쥬한량으로 영화 리뷰에도 썼습니다만 ㅎ), 누구에겐 최고의 작품도 다른 누구에겐 최악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좀 더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말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혹여 다 털어놓지 못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더 풀어놔주세요 ㅎㅎㅎ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토끼풀b
이번 모임을 통해 계간 미스터리를 처음 접하게 된 독자입니다.
77호라는걸 보고 홀린듯 신청했던 모임이었는데,, 이제 며칠 남지 않았네요;; 부르심을 받고 늦게나마 한줄 남겨봅니당
단편소설들로만 구성된 책인줄 알았는데 평론에 영화리뷰까지! 읽을거리가 다양해서 좋았어요. 처음에 목차를 보고 <나이브스 아웃> 리뷰가 있길래 저는 그것부터 읽어봤어요. 근데 그 리뷰 쓰신 분이랑 <마트료시카> 작가님이 같은 분!? 모임글을 보다가 알았어요. 와아-
저는 마트료시카를 읽고나서 넷플릭스 시리즈 <너의 모든 것>의 '조'가 떠오르더라구요. 매너있고 다정한 얼굴과 말들로 감추고있는 냉소적인 속마음. 드라마에서는 그런 장면들이 코믹하게 느껴지기도 했는데, 소설에서는 더 섬뜩한 느낌이예요.
무서운걸 보고나면 늘 후회하는 스타일이라 읽기 전에 두려움이 좀 있었는데요.. 제가 미스터리에 대한 오해가 컸다는걸 알게되었어요. (이렇게 재밌기만 한걸 ㅋ)
저 정기구독 신청했어요...ㅎ_ㅎ)/

홍선주aka쥬한량
반갑습니다 토끼풀님!
이번 모임으로 계간 미스터리를 처음 접하게 되셨다니 더욱 반갑고, 정기구독까지 신청하셨다니 너무 감사합니다!
하지만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한국추리작가협회에서 발간하는 잡지인만큼 편집위원인 작가님들이 자존심을 걸고(?!) 열심히 만들고 계시거든요.
미스터리 영화 추천 리뷰는 이번에 처음 시작된 꼭지인데 관심있으셨다니 기쁩니다. 사실 너무 쥬한량의 취향으로 리뷰와 추천을 하다보니, 욕먹을 각오로 쓴 거라 여전히 걱정이 많습니다. (이렇게 다 밝힐 걸 왜 굳이 쥬한량의 이름으로 쓴 거냐 하시겠지만, 영화 추천은 조금 깨발랄한 문체로 쓰고 싶었거든요 ㅎ)
<마트료시카>도 잘 봐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너의 모든 것> 시리즈 정말 좋아해요. 저는 특히 시즌3가 좋았는데, 시즌4를 어떻게 진행시킬까 궁금했다가 제대로 뒤통수 맞았습니다. 가끔 이런 식의 전개를 하는 미드에 짜증이 나기도 하지만, <너의 모든 것>은 수습을 너무 잘해버렸더라고요. 작가들의 상상력이 정말 부럽습니다. 흑.
앞으로도 [계간 미스터리] 즐겁게 즐기시고 소문도 많이 내주시길 부탁드려요! :)

메롱이
미스터리는 2022년 겨울호 이후 두 번째로 읽습니다. 제가 아무래도 미스터리 장르에 특화된 독자가 아니라서 그럴 수도 있을 거 같은데 이번 호의 경우는 소설 외에 기획 및 특집 기사의 난이도(?)가 지난 겨울호에 비해 높았던 거 같아요. 물론 저만 그렇게 느낄 수도 있을 거 같고요. 꾸준히 미스터리를 읽어오신 다른 분들은 어떠셨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홍선주aka쥬한량
음 저는 평론가 분들의 글은 언제나 어려웠어요. (백휴 작가님과는 직접 대화를 해도 어렵습니다. 아하하;)
염건령 교수님의 글은 그래도 재미있지 않으셨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