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을 잘 알지 못하는 제게 이 병은 거대하고 막연한 상징입니다. 개인이 겪을 수 있는 가장 극심한 내적 위기, 탄압 받지만 위험해 보이기도 하는 소수자, 갈수록 파편화되며 맥락을 잃어가는 현대의 시대정신…. 무언가의 비유로서가 아닌, 실체로서의 조현병에 대해 조금이나마 배워보고 싶습니다. 760쪽인데, 특별한 형식 없이 그냥 밑줄 친 부분들 옮겨 적는 방식으로 가볼까 하네요. 그러다 자연스럽게 이야기도 나눠보고요.
[벽돌책 챌린지] 4. 조현병의 모든 것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존르카레라이스
읽고 싶었던 책이라 이북이 나왔을 때부터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벼르고 있었는데 모임이 열리게 되어 무척 기쁩니다. 앤드류 솔로몬의 책들을 읽고 정신질환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한낮의 우울 - 내면의 어두운 그림자 우울의 모든 것날이 갈수록 환자의 숫자가 늘고 있으며, 사망원인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는 우울증에 대한 책이다. 실제 우울증을 겪었던 작가가 방대한 인터뷰와 자료 조사를 통해 집요하게 추적한 '멜랑콜리'의 실체를 담았다.
부모와 다른 아이들. 1흔히 ‘비정상’으로 치부되는 특징들이 하나의 ‘정체성’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전미비평가협회상을 수상한 바 있는 앤드루 솔로몬이다. 수많은 언론으로부터 ‘혁명적’인 책으로 찬사를 받고 있는 책 『부모와 다른 아이들』로 돌아온 솔로몬은 이 책에서 예외적인 정체성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대로 방치했다면 짐승에 가까웠을 수 있었을 중증 정신질환자 아이에게 보호와 치료 그리고 사랑을 줌으로써 아이가 비교적 독립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와 이 책 중 어느 걸 읽을까 조금 고민하다 골랐습니다. 둘 다 평가가 무척 좋더라고요.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도 나중에 읽어볼 생각입니다.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탓하는 문화를 떨쳐냈다. 수많은 이론의 폭력성과 비과학성을 극복하고 자폐성향이 인간 정신에 내재된 특성이며, 인간은 모든 측면에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그리고 마침내 과거 같으면 괴짜나 얼간이 취급을 받았을 자폐인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설명하고, 축복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변화가 저절로 성취된 것은 아니다. 수많은 사람이 뛰어들어 각자의 몫만큼 역사의 수레바퀴를 굴렸다. 꿈쩍도 않던 수레바퀴가 마침내 진창을 빠져나와 구르기
책장 바로가기

존르카레라이스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는 저도 꼭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요 몇년 사이에 정신질환에 관한 책이 많이 나오네요. 이런 벽돌책들도 나오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