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답답하다고 느껴질 때는 생각이 많아질 때이고 행동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을 때일까요? 회피 본능도 삶의 한 방식일테니 ~~때를 기다린다는 것은 소심함일까요? 이성적일까요?
작가는 이유가 중요한 사람이라 쉬이 행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헌책과그런책] 이승우 <지상의 노래>
D-29

인선

Andiamo
@인선 요즘 목요일마다 듣고 있는 도서관지혜학교 성격유형분석과 감정치유 강의에서 교수님께서 하신 말씀에 깊게 공감했는데요.
한번 생긴 감정은 없어지지 않고 그것을 해결이 아니라 해소하려면 흘려보내야 한다. 그것을 언어로 하는 것이 상담이고 행동으로 하는 것이 사이코드라마 심리극이다. 내 속의 감정이 언어화되지 않을 때는 무의식으로 가라앉아 있고 인지되지 않다가 비슷한 상황, 육체적 심리적으로 취약해질 때 그 무의식이 다양한 감정의 형태로 의식 위로 떠오른다.
말로든 행동으로든 표현해야 하는데 회피는 감정 억압이라고 하셨어요. 직면하기 어려우니 회피하는 거라고 그래서 파생감정이 생기고 합리화를 하게 된다고. 맨처음 1차 감정을 체 쳐서 찾아내고 그걸 해소해야한다가 어제 강의 요지. 너무 감탄하며 들었답니다.
제가 이승우 소설 읽으면서도 그렇게 격하게 공감했던 것도 제가 언어화하지 못하던 것을 작가가 언어화해 주었을 때 느껴지는 카타르시스가 있어서였을 거에요. 저한테는 정말 살기 위한 글쓰기 글읽기였거든요. 심리치유를 저는 책을 통해 했던 거죠. 그걸 작가는 삶이 괴로운 사람들이 마취제를 찾는다고 표현했구요.

김새섬
한국 소설 꽤 읽는 편인데 아직 이승우 작가님 책은 읽어본 적 없었어요. 모임지기님 책 소개글 읽고 흥미가 생겨 일단 손에 들었습니다. 제법 두께가 있는 장편소설인데 모임 끝나기 전까지 다 읽을 수 있을까 싶었는데 어제 지하철로 왔다 갔다 하는 중에 5분의 1 이상 읽었어요. 어려운 책 아닐까 싶었던 처음의 고민은 일단 사라졌어요. 계속 읽어볼게요.

우람
오 반갑습니다. 저도 사놓고 어쩐지 손에 잡히질 않아서 오랫동안 펼쳐보지 못하고 있었는데, 막상 읽기 시작하니 금세 빠져들었습니다. 오는 일요일이 책모임 날인데 저도 이제야 다시 읽기 시작하네요.

김새섬
갑작스레 사망한 여행작가 강영호의 동생이 죽은 형의 미완성 원고를 발견하면서 소설은 시작됩니다. 여행 작가였던 형은 '천산 수도원'이라는 곳에 관해 짧은 메모를 썼고요. 이 수도원 묘사를 읽으니 너무 가보고 싶어집니다. 물론 작가님 상상의 공간이겠지만요.

김새섬
호기심을 자극하며 시작한 소설은 '후'라는 낯선 등장인물이 나오며 갑자기 이야기를 달리 합니다. 계속 흥미가 동하는데요, 오늘 날도 흐리고 집에서 차분하게 읽어보기 좋은 책인 것 같아요.
아직 이야기가 어디로 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새섬
연희누나와 박중위의 이야기를 읽고 있습니다. 챕터 제목 '사랑, 또는 죄'를 곱씹어 보게 되네요.

김새섬
흔적도 없는 사라짐. 그 바닥 없는 깊은 공허를 견딜 수 있는 담력을 소유한 사람은 많지 않다. 고통보다 공허가 견디기 힘들다.
『지상의 노래 - 2013년 제4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p.174, 이승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새섬
저 역시 공허를 견딜 수 있는 담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끝이 없는 심연을 바라보는 것 보다는 피와 눈물을 흘리는 쪽이 낫겠습니다.

김새섬
흡입력이 대단한 책이네요. 금요일부터 읽기 시작했는데 이 기세대로라면 곧 다 읽을 것 같아요.

김새섬
“ 아내는 하나님의 생각과 사람의 생각은 다르다고 말했다. 하나님의 뜻을 헤아릴 능력이 없는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다 헤아릴 수 있는 것처럼 판단하고 비판하는 건 옳지 않다고 답했다. ”
『지상의 노래 - 2013년 제4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p.180, 이승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김새섬
저는 종교는 없지만 한정효의 아내와 비슷한 생각입니다. 하나님이 있다 한들 하나님이 왜 '나'를 신경써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님이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