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빌라> 단편소설이 독일에서 만난 노 부부와 캄보디아 여행가는 얘기 맞죠? 예전에 문지문학상 작품집에서 읽은것 같아요. 다음주는 백수린 week로 보내보겠습니다.
[책걸상 함께 읽기] #22. <여름의 빌라>
D-29

바나나

YG
@바나나 아, 맞아요. '그믐'에 지금까지 함께 읽자고 권한 책 중에서 유일하게 아직 안 읽은 책인데. 저도 「시간의 궤적」 외에도 「여름의 빌라」도 읽었네요. 저는 이건 또 어디서 읽었을까요? :(

Hazel
저는 유일하게 이미 읽은 책이네요. 21년에 읽었으니 책걸상을 알기 전이에요.

쭈ㅈ
와~! 유혹하는 '박평' 기대할께요. 주말에 읽어보겠습니다.
그런데 다음 방송 책 소개, 매주 목요일 올리시나요? 그믐에서 찾기가 쉽지 않네요. 스크롤 한참 내렸어요. '모집중'에서 찾으면 바로 보이기는한데 타이밍 못맞추면 이미 시작한 후 알게되는 경우도 있구요, 책걸상으로 검색해도 순서대로 보여지는게 아니니 좀 불편합니다. 저만 그런가요? 팁 좀 주세요.~

바나나
정말 그러네요? 책걸상으로 검색해도 시간순으로 검색되지 않고 뒤죽박죽...

Nana
작년 여름에 - 여름이니까…읽었던 듯 싶은데 왜…기억이 안날까요… 노부부와 여행가는 이야기만 어렴풋이 기억이 나네요. 흑흑

바나나
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좋은 날 같이 보낼 한 사람만 있으면 된다
『친애하고, 친애하는』 p.91, 백수린 지음

친애하고, 친애하는'현대문학 핀 시리즈' 열한 번째 소설선. 문지문학상, 이해조소설문학상 수상작가 백수린의 소설로, '사랑한다'는 고백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엄마에 대한 마음을 '친애하는'에 담은, 누군가의 엄마이거나 혹은 딸로 살아왔고, 또 살 아가는 모든 여성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바나나
현대문학 핀시리즈로 출간된 <친애하고, 친애하는>을 읽었어요. 100페이지 정도 되는 중편소설인데 모녀 서사는 너무 흔해서 읽을까 말까 했는데...읽다보니 유려한 문장에 후루룩 빨려 들었네요. 작중에 등장하는 아니 에르노의 <한여자>도 절묘하게 인용되었다고 생각했어요. 아니 에르노의 모녀와 이 책의 할머니와-엄마가 닮았거든요.

Nana
마음은 펄떡펄떡 뛰는 욕망으로 가득차 있는데 육신이 따라주지 않은 것만큼 무서운 형벌이 또 있을까? 꼼짝도 못하는 육체에 수감되는 형벌이라니
『여름의 빌라』 P.198, 백수린 지음
문장모음 보기

Nana
오늘 ‘흑설탕캔디’를 읽었는데, ‘밤에 우리 영혼은’이 생각나더군요.

김새섬
책이 표지가 참 예쁘네요. 표지의 그림 작품명이 '5월의 바람부는 오후'니까 정확히는 여름을 그린 건 아니지만 소설과 잘 어울려요. 책을 펴니 초록 배경의 작가님 사진과 톡톡하게 양각이 들어간 간지(?)가 나오네요. 이 중간에 들어간 종이도 독특하고 예뻐요. 신경써서 책 만든 티가 나네요.

바나나
오늘은 백수린 작가님 에세 이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을 읽고 있어요. 어제 방송에서 박평님이, 소설은 문장이 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문장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 에세이는 좀더 그런것 같아요.

바나나
문장이 좋아서 한번에 다 읽어버리기에 좀 아까워서 자칭 <백수린주간>동안 몇편씩 아껴서 읽어야 겠습니니다.

김새섬
<백수린주간> 이라는 말이 멋진데요.
제가 작가라면 저 이야기를 듣고 기분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정쏘주
엔도 슈사쿠 단편 선집 읽기 모임에도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첫 작품인 [그림자]의 한 대목과 [여름의 빌라]의 한 대목입니다.
정쏘주
어린 시절을 다롄에서 보낸 나는 고국에서 쫓겨나 그 식민지 거리에 사는 러시아 노인 몇몇을 본 적이 있는데, 그들 가운데 빵을 팔던 노인의 얼굴이, 이 늙은 외국인의 얼굴과 겹쳐졌습니다. 두 사람 모두 낡았다기보다는 거의 떨어진 외투를 입고 있었고......
정쏘주
그의 팬티가 내 눈에 띈 것은 양말을 벗기고 난 뒤 이불을 덮어주려 할 때였습니다. 언제 그렇게 낡았는지 팬티의 한쪽이 심하게 닳아 있었어요. 나는 손을 뻗어 팬티의 해진 부분을 가만히 만져보았습니다. 힘겹게 지호가 숨을 내쉴 때마다 터진 틈으로 엉덩이 살이 손끝에 닿았습니다.
정쏘주
마치 한 사람이 쓴 글 같습니다.
정쏘주
세대도 다르고 국적도 다르지만, 두 분 모두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많이 받으신 것 같아요.
정쏘주
ㅋㅋㅋ 이건 과잉 해석. 많이 지나치네요~~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