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베르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 가족과 친구들이 위베르의 내면에 치욕과 분노를 일깨워 놓았다. 위베르는 길에서 그들을 보았다. 그리고 그들과 비슷한 사람들도 보았다. 아름다운 노란색 트렁크를, 예쁘게 치장한 아가씨와 함께 달아나는 장교들이 가득한 차를, 자신의 임지를 버리고 도망치는 공무원들을, 겁에 질려 도로에 기밀 서류를 홀리고 다니는 정치인들을, 휴전협정이 체결된 날에는 치를 떨며 눈물을 흘려놓고 나중에는 독일군과 놀아나던 젊은 여자들을 위베르는 떠올렸다. '그래놓고도 이제 곧 한바탕 거짓말 놀음이 벌어질 테고, 프랑스 역사의 영광스러운 한 페이지를 조작해내겠지. 눈 씻고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 헌신적인 애국자, 불굴의 영웅을 찾느라 헛고생을 해가면서 말이야. 맙소사! 난 다 봤어! 물 한 잔만 달라며 아무리 두드려도 열리지 않는 문을, 닥치는 대로 약탈하는 피란민들을. 어디나 그랬지. 위에서 아래까지 무질서하고, 비열하고, 허영에 들뜨고, 무지하고! 아! 그 잘난 꼬락서니들이라니! ”
『6월의 폭풍』 289-290p, 이렌 네미롭스키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