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정기 작가님 소설 읽으면서 진짜 넘 잼나서 손을 놓읗 수가 없었습니다. 재벌집 드라마도 마니 봐서 그런가 등장인물들 얼굴이 전부 배우 얼굴로 보이기까지 했습니다 ㅎㅎ
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D-29
미나가

홍정기
재벌집 요소는 많이 덜어냈는데도 그렇군요. ㅎ

추읽남
소설 속 인물들을 드라마 인물들이 연상되도록 만드신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어떤 의도가 있으셨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홍정기
아무래도 등장인물이 많으면 각각의 캐릭터 설정 때문에 불필요한 분량이 늘게 되는데, 드라마 캐릭터를 차용하면 이런 설명이 싹 다 필요 없거든요. ㅎㅎㅎ 귀차니즘으로인한 간소화랄까요.

홍정기
팔각관에 녹아든 작품은 꽤 됩니다.
드라마 재벌집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아야츠지 유키토의 십각관의 살인
사카키바야시 메이의 15초 후에 죽는다
미키 아키코의 기만의 살의
윤자영 작가의 나당탐정사무소 사건일지
작년 여름추리 학교에서 윤자영 작가님이 수업에서 언급했던 마로니에 열매 까지
완전 잡탕 찌개군요. -_-

무경
추석 끝나고 먹는 잡탕 전찌개가 맛있듯이, 잡탕이라고 하셔도 그게 맛있으면 최고죠^^

홍정기
ㅎㅎㅎㅎ 그렇죠. 맛만 있음 그만이죠.
화제로 지정된 대화

홍정기
망했지만 끝까지 갑니다.
마지막 박소해 작가의 '해녀의 아들'에 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좌형사 사계 마지막 시리즈라는데 한 권분량으로 4편은 모자라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그럼 계절이 돌아 다시 봄인지 어떤지 모르겠군요. ㅎㅎㅎ

홍선주aka쥬한량
힘내라 힘! ㅜㅠ

홍정기
그래도 막판에 흥하는군요. ㅎㅎㅎ

박소해
@홍정기 망하긴요...! 댓글이 벌써 200개 넘었는데요. :-) 제가 요즘 정신이 없어서 참여하지 못했네요. 죄송해요. 오늘밤에 좀 더 올려볼게요~!

홍정기
캄싸합니다!!

박소해
@홍정기
아 답변을 드리자면 만약에 사계 시리즈를 작품집으로 묶게 된다면 단편 하나를 더하게 될 것 같습니다. :-) <불꽃놀이>는 아닙니다...
미나가
안 망했습니다!

홍정기
마지막 불꽃을 태우리. 불타올라라~~~~~

Henry
이러저러한 일들로 이곳 미스터리 방에 두문불출해서 우선 미안한 마음 입니다. @홍정기 작가님 이곳 꾸리시느라 고생 많으셨고 끝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해녀의 아들>은 좌형사 시리즌 시즌1 마지막 이야기라 남다른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우리의 아픈 과거인 제주4.3 이 뭍어있는 이야기라 더욱 그러했습니다. 제주4.3 이야기를 처음 접한 건, 대학다니던 1990년대 중반 이었던 것 같습니다. 몇 해전에 작고하셨다고 들었는데, 제가 대학 졸업 후 사회생활하며 찾아본 내용과 반대의 입장에서 생전에 제주4.3을 알리셨다는 사실을 접하고 허걱 했던 기억입니다. 아무튼, 10여년 전에 우연히 보게된 오멸 감독의 <지슬>을 보고나서 제주4.3을 새롭게 조명하고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5년 전 가족 여행으로 방문한 제주는 그 이야기를 쫓아보는 것으로 테마를 잡아 돌아다녔었습니다. @박소해 작가님이 언급하셨듯, 아직 그 성격조차 역사적으로 분명히 규정해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마음이 아픕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해녀의 아들> 같은 노력들이 중요하다 싶습니다.
최근엔 <순이삼춘>으로 유명한 현기영 작가의 <제주도우다>가 출간되었는데, 꽤나 울림이 있는 대하소설 이었습니다.

박소해
@Henry 님 소중한 시간 할애해 제 소설 읽어주셔서 기쁩니다. 말씀대로 <해녀의 아들>은 좌승주 형사 ‘사계’ 시리즈의 마지막 계절인 봄을 그려낸 단편입니다. 만물이 생동하는 파릇파릇한 봄에 하필 4.3 이야기를 쓴 까닭은 4.3이 늦봄에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기획 자체는 2년 전부터 해뒀지만 막상 올해 5월에 쓰기 시작하면서 고민이 정말로 많았습니다. 과연 이렇게 쓰는 게 맞는 걸까. 이렇게 써도 되는 걸까. 혹시 나의 부족함이 역사와 도민들에게 누가 되는 건 아닐까. 내가 뭐라고... 내가 이런 무거운 주제를 다뤄도 되는 걸까. 그러다 보니 주저하면서 며칠 집필을 쉬기도 하고, 괸당 친구들에게 초고 줄거리를 보여주면서 개연성 문제와 역사적 오류는 없는지 체크도 부탁하고 그랬습니다. 제주어 감수는 무려 네 명한테 받았구요. 출판사에 보내는 이메일에 <해녀의 아들> 원고를 첨부해 놓고 몇십 분이나 보낼까 말까 고민했습니다.이렇듯... 4.3이 주는 묵직한 무게라는 외부적 장애 외에도 내부적 장애와 고뇌가 있었답니다.
현기영 선생님의 <제주도우다> 북토크가 얼마 전에 4.3 평화공원에서 있었습니다. 첫 날은 제주역사 강의, 둘째 날은 <제주도우다> 북토크였어요. 전 이틀 모두 갔는데요. 이 이틀 동안 이루 말할 수 없는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현장에서 만난 도민들은 자긍심과 긍지로 빛나고 있었습니다. 제주도를 대표하는 작가, 4.3의 상징인 작가 현기영 선생님을 직접 만나러 온 들뜬 얼굴들.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가본 모든 북토크를 통틀어서 노년층 독자들이 가장 많이 왔습니다. 아마 현 선생님(80대) 나이대의 독자분들인 것 같았습니다. 저는 어린 축(?)에 속할 정도로... 북토크 Q & A 시간은... 일종의 팬 미팅 같았답니다. “우리 가족 모두 소설을 돌려 읽고 있습니다. 울 어머니는 90 다 되셔서 눈도 안 좋은데 현기영 샘 책이라니까 읽고 있습니다.” “소설에서 미국이 제주도는 다 쓸어버려도 좋다라고 얘기하는 부분에서 울컥 분노가 치밀어오르고 쌍욕이 나왔습니다. 우리, 도민은 생생하게 여기 살아 있는데 말입니다.” “제가 바로 그 동네에서 왔습니다. 소설의 주 무대가 다 제 고향입니다.” 네. 북토크 현장이 바로 제주도였습니다. 거기가 바로 제주도우다.
4.3은 아직까지도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화두입니다. 정명조차 이루어지지 못한 비극이지요. 하지만 자꾸 이야기하지 않으면 회자되지 않으면... 이 비극이 잊힐까 두렵습니다. 그 마음으로... 첫 작업으로 <해녀의 아들>을 썼고 두 번째 작업은 4.3에 관련된 살인사건을 다룬 좌승주 장편이 될 것입니다.
헨리 님. 정성어린 리뷰에 감사드립니다. 장르살롱에서 또 봬요. :-)

Henry
짧지 않은 작가님의 글에서, 치열했던 창작의 시간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습니다. 그 시간이 잘 열매 맺었다고 봅니다.
현기영 선생님 북토크는 정말 부러운 시간이었겠습니다. 대신 분위기 스케치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영민
안녕하세요 제가 그믐을 깜빡해서 참여를 지금까지 못 했네요 죄송합니다

홍정기
늦게라도 잊지않고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